몇몇 사람들에게는 정말 미안하지만 고백컨대 내 마음을 흔들어 놓은 여인은 딱 한 명이었다. 토끼를 닮은 얼굴, 앵두 같은 입술, 눈웃음만으로도 갸르르 떨게 만드는 그녀. 영화 의 소소(구숙정)를 처음 본 순간 브라운관에서 전자파가 아닌 다른 강력한 파장이 인체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연애 따위는 청춘드라마에나 나오는 ‘나부랭이’라고 치부하던 냉소적인 한 중학생의 가슴에 ‘사모’라는 감정을 아로새겼다. 그 감정은 이내 방대한 그녀의 필모그라피를 추적하는 열정이 되었고, 심지어 버스를 타고 나가 그녀의 사진을 사 모으기까지 했다. 남자의 길을 걷는 내게 치욕스런 과거지만 어쩔 수 없었다. 만물이 소생하는 봄의 생동감은 그녀의 웃음을, 5월에 피어난 초록 잎사귀의 푸르름은 통통 튀는 그녀의 생기와 같았다. 아침 햇살의 싱그러움은 그녀의 새하얀 피부빛을 닮았다.
그런데 안타깝게도 국내에서는 그녀를 영화 으로만 기억하는 팬들이 많다. 정말 안타깝지 않을 수 없다. 일일드라마 감독보다 창작욕이 왕성한 왕정 감독의 페르소나였던 그녀의 필모그라피를 한 작품으로만 말하기는 매우 곤란하다. 등 장르불문하고 어떤 영화나 역을 맡아도 제 역할을 다해냈던 그녀다. 장난끼 어린 얼굴과 당찬 표정은 코믹에서, 태극권을 특기로 삼은 운동신경은 액션에서, 타고난 하드웨어는 에로에서 빛을 발했다. 굉장히 보폭이 큰 스펙트럼을 갖고 있으면서도 모든 자기화 해버리는 스펀지 같은 배우. 장난끼와 관능미 사이를 오가며, 백치미를 걷어내고 제대로 애교를 부릴 줄 아는 그녀는 도시의 그림자와 시끌벅적한 남자의 세계를 동경한 90년대 홍콩 영화계를 빛내준 꽃병이었다.
그런데 안타깝게도 국내에서는 그녀를 영화 으로만 기억하는 팬들이 많다. 정말 안타깝지 않을 수 없다. 일일드라마 감독보다 창작욕이 왕성한 왕정 감독의 페르소나였던 그녀의 필모그라피를 한 작품으로만 말하기는 매우 곤란하다. 등 장르불문하고 어떤 영화나 역을 맡아도 제 역할을 다해냈던 그녀다. 장난끼 어린 얼굴과 당찬 표정은 코믹에서, 태극권을 특기로 삼은 운동신경은 액션에서, 타고난 하드웨어는 에로에서 빛을 발했다. 굉장히 보폭이 큰 스펙트럼을 갖고 있으면서도 모든 자기화 해버리는 스펀지 같은 배우. 장난끼와 관능미 사이를 오가며, 백치미를 걷어내고 제대로 애교를 부릴 줄 아는 그녀는 도시의 그림자와 시끌벅적한 남자의 세계를 동경한 90년대 홍콩 영화계를 빛내준 꽃병이었다.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