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텐아시아=윤준필 기자]
그룹 레드벨벳 / 사진제공=SM엔터테인먼트

“강렬하고 매혹적인 컬러 레드와 클래식하고 부드러운 느낌의 벨벳에서 연상되는 감각적인 이미지.”

2014년 8월 데뷔 당시 그룹 레드벨벳은 팀의 정체성을 이렇게 소개했다. 한 그룹에서 두 콘셉트를 추구하는 팀답게 레드벨벳은 지난 3년 4개월여 동안 ‘레드’와 ‘벨벳’ 두 가지 콘셉트를 번갈아가며 활동했다. 레드벨벳의 데뷔곡 ‘행복(Happiness)’부터 ‘아이스크림 케이크’ ‘덤덤’ ‘루키’ ‘빨간 맛’까지는 ‘레드’ 콘셉트의 노래였다. ‘비 내추럴’ ‘오토매틱’ ‘7월 7일’ 등은 벨벳 콘셉트의 노래다.정규 2집 앨범명이 ‘퍼펙트 벨벳(Perfect Velvet)’으로 공개됐을 때 일부 팬들은 걱정부터 했다. 지금까지 발표한 노래들 중 벨벳 콘셉트의 노래들은 레드 콘셉트에 비해 음원 성적이 썩 좋지 못했기 때문이다. 걱정은 기우였다. 17일 발매된 정규 2집 타이틀 곡 ‘피카부(Peek-A-Boo)’는 공개되자마자 국내 최대 음원사이트 멜론 실시간 차트에 5위로 진입했다.

‘피카부’는 벨벳 계열의 노래다. 올해 발표된 ‘루키’ ‘빨간 맛’ 등 레드 계열 콘셉트의 곡에 비해 음역대도 낮고, 그루브를 강조했다. 그러나 후렴구 가사에는 ‘피카부’가 반복적으로 등장하며 중독성을 높인다. 레드와 벨벳의 적절한 조화다.

사실 레드벨벳은 지난해부터 새 앨범을 발표할 때마다 레드와 벨벳을 구분하지 않았다. 지난해 9월 발매된 ‘러시안 룰렛’은 ‘덤덤’처럼 비트가 살아있는 댄스곡을 기반으로 하지만 랩 파트 없이 보컬로만 노래를 구성했다. 레드보다 부드럽고, 벨벳보다 극적인 전개로 듣는 사람들을 매료시켰다.지난 16일 열린 쇼케이스에서 레드벨벳은 “우리의 음악은 중독성과 레드, 벨벳으로 설명할 수 있다”고 말했다. 멤버 조이는 “언젠가부터 ‘벨벳’은 ‘7월 7일’ 같은 곡, 안무도 없고 조용한 콘셉트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아진 것 같다”며 “‘비 내추럴’ ‘오토매틱’ 등 우리가 벨벳이라고 정의한 노래 중에서도 비트감이 느껴지는 노래가 많았다”고 강조했다.

이어 “레드벨벳이 ‘레드’와 ‘벨벳’을 번갈아가며 다양하게 보여준 건 ‘피카부’를 보여주기 위해 필요했던 과정이었다. 레드와 벨벳 모두 잘 해야 이 두 가지를 오묘하게 섞은 음악도 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한 가지 스타일에 묶여 있지 않고 다양한 스타일을 마치 자기의 것처럼 모두 소화할 수 있는 그룹이 되고 싶다는 뜻이었다.

레드벨벳은 레드와 벨벳, 두 가지 콘셉트가 병립하는 팀이 아닌 두 개의 콘셉트를 하나로 융화시킨 팀이다. 이번 신곡 ‘피카부’는 ‘레드+벨벳’이 아니라 ‘레드X벨벳’으로 확실하게 각인되는 쐐기포가 될 가능성이 크다.

윤준필 기자 yoon@tenasia.co.kr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