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스틸

“빠라람, 빰빰, 빠라라~.” 귀에 익숙한 BGM이 없어도! 전매특허인 쫄쫄이 팬티가 없어도! 그래도 미국 관객들은 돌아온 수퍼맨을 두 팔 벌려 환영했다. 북미박스오피스모조의 18일 집계에 따르면 은 14일부터 16일까지 4,207개 극장에서 1억 1,661만 달러를 쓸어 담으며 금의환향했다. 이는 역대 6월 개봉작 중 가장 좋은 오프닝으로, 올해 개봉작 중에서는 의 주말 성적에 이어 2위에 해당하는 기록이다. 특히 전편 격인 의 개봉 성적 5,253만 달러를 두 배 가량 앞선 수치라는 점에서 눈길을 끈다. 제작자로 참여한 의 크리스토퍼 놀란과 을 연출한 잭 스나이더 감독의 만남이 관객들의 호기심을 부추긴 것으로 보인다. 영화는 전야제 성적까지 포함해 북미에서 1억 2,868만 달러를, 해외에서는 7,330만 달러를 챙긴 상태다.

성적
이 건너야 할 장벽이라면, 영화에 대한 평가다. 호불호가 나뉘고 있는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미국에서의 평가도 다소 엇갈리는 분위기. 특히 크리스토퍼 놀란의 참여로 인해 정도의 완성도를 내심 기대했던 관객들의 실망감이 큰 것으로 보인다. 잘 알려졌다시피 은 경쟁사 마블의 성공을 배 아프게 바라봤던 DC가 칼을 가는 마음으로 내놓은 비장의 카드다. 의 흥행여부에 따라 ‘DC의 격’인 의 향방이 어느 정도 가늠되기에 특히나 중요한 프로제트라 할 수 있다. 영화의 흥행 뿐 아니라, 평가에도 워너브라더스가 잔뜩 신경을 쓰는 이유다.

여기에서 또 하나 짚고 넘어가야 하는 건, 캐릭터다. 수퍼히어로 무비에서는 해당 캐릭터를 연기한 배우의 호감도가 중요한데(의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를 보라!) 주인공 헨리 카빌에 대한 반응이 마냥 호의적이지 못하다는 점이 아쉽다. 참고로 헨리 카빌은 의 주연으로 매번 거론됐다가, 막판에 ‘뚝’ 떨어진 경험이 있는 상처 입은 남자다. 7전 8기 끝에 어마어마한 캐릭터를 손에 쥔 헨리 카빌이 S 마크를 가슴에 달고 마지막까지 크게 웃을 수 있을까. 두고 볼 일이다. 한편 잭 스나이더에게는 이 영화가 최고의 흥행작이 될 가능성이 크다. 잭 스나이더는 이번 영화의 오프닝 성적만으로 의 누적 수익을 뛰어넘었다. 그의 최고 흥행작은 이다.

잭 스나이더 감독, 작품 흥행 성적
이라는 어마어마한 강적과 함께 출격한 신작 영화 (This is the End)는 2,071만 달러를 기록하며 2위에 자리했다. 수퍼맨을 의식해 이틀 빠른 수요일에 개봉 했는데, 이것이 누적 수익에는 나름 도움이 된 것으로 보인다. 누적수익 3,302만 달러로 제작비 3,200만 달러를 첫 주에 모두 회수했다. 는 세스 로건, 제임스 프랑코, 조나 힐 등이 뭉친 R등급(청소년 관람불가) 영화로 지구 종말을 소재로 한 코믹물이다. 엠마 왓슨이 카메오 출연한다.

이 1,101만 달러로 3위를 지킨 가운데, 이 958만 달러를 더한 누적 2억 1,972만 달러로 드디어 시리즈 최고 기록 달성에 성공했다. 그야말로 흥행 맥시멈이다. 지난 주 예상을 깨고 1위를 차지, 모두를 경악케 했던 공포영화 는 75.6%라는 엄청난 낙폭을 경험하며 831만 달러로 5위에 자리했다. 물론 첫 주에 워낙 많이 벌었고, 제작비도 초저예산인 덕에 아쉬울 건 없어 보인다. 제작비가 300만 달러라니.

북미박스오피스(6월 14~16일)
한편 는 월드와이드 4억 1,278만 달러로 전편의 기록을 넘어섰고, 는 북미 누적 수익 5,451만 달러에 그치며 저물어 가는 나이트 M 샤말란의 시대를 증명했으며, 는 전세계 수익 12억 달러를 돌파했다. 세 영화의 순위는 각각 8,9,10위다. 돌아오는 주말에는 브래드 피트 주연의 와 픽사의 가 경합에 가세한다. 북미 극장가가 점점 재미있어지고 있다.

글. 정시우 siwoorain@tenasia.co.kr
편집. 홍지유 jiyou@tenasia.co.kr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