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의 존재를 실감하는 순간은 아이러니하게도 불행이 가장 가까이에 있을 때다. 스스로의 나약함을 가장 뼈저리게 느끼는 순간 곁에 있는 나와 닮은 ‘불쌍한 이’의 얼굴을 목격하게 되고, 그의 거칠고 작은 손을 마주잡을 때 그 손바닥과 손바닥 사이에 신이 강림한다. 허기진 조카, 훔친 빵 한 조각, 19년의 감옥살이, 은촛대 한 쌍, 살기 위한 사소한 외면, 뜻하지 않은 구원, 사랑을 위한 혁명, 그리고 마침내 용서. 평범하게 태어나 비범하게 살아간 장 발장(휴 잭맨)은 작은 돌멩이에 걸려 넘어져 온 몸이 찢어지도록 고통 받았지만, 한편으론 작은 고사리 손의 어루만짐에 영혼까지 치유 받았다. 은 노래한다. 가난하고 불쌍한 이들이여, 응시하라, 두드려라, 일어서라, 연대하라, 그리고 무엇보다 용서하라. 그리하면 네 곁의 그가 신의 목소리로 응답할 것이니.

관람지수 10.우린 모두 불쌍한 사람들, 옆 사람의 손을 잡아요 – 8점





가장 용감하고 우직한 각색. 영화 이성취한 이름이다. 빅토르 위고가 쓴 19세기의 위대한 사회 소설은 카메론 매킨토시에 의해 20세기 가장 대중적인 뮤지컬이 되었고, 마침내 톰 후퍼에 의해 21세기 뮤지컬 영화의 정의를 새로 썼다. 지난 수십 년 동안 수많은 언어와 장르로 각색을 거친 작품이지만, 톰 후퍼의 은 뮤지컬과 영화를 나란히 저울에 올리고 가장 아름답고 정중하게 균형을 맞춘 결과물로 기억될 듯하다. 극히 일부의 대사를 제외한 모든 이야기를 노래로 이끌어 가는 송스루(song-through) 형식에, 역사상 처음으로 현장 라이브로 담아낸 덕에 캐릭터와 배우는 물론 관객까지 하나가 되는 최고의 경험을 선사한다. 동시에 과감하게 기울인 도전적인 앵글과 관객의 시선을 유려하게 이끄는 카메라 워크, 핀 조명 같은 효과를 살리는 클로즈 업과 추격전의 묘미를 살린 롱 테이크의 적극적인 결합은 이 작품이 ‘뮤지컬’ 영화로서도 뮤지컬 ‘영화’로서도 고개를 끄덕일 수밖에 없게 한다. 뮤지컬 영화 특유의 군중 합창이나 군무가 빈번히 등장하지 않음에도 뮤지컬 특유의 하모니의 묘미 또한 살린다. 코제트(아만다 사이프리드)-마리우스(에디 레드메인)-에포닌(사만다 뱅크스)의 엇갈리는 감정들이 교차하듯 포개지는 노래는 각자의 마음을 드러내는 동시에 아름다운 화음을 만들어낸다. 대사로는 충분하지 않은 페이소스가 노래로, 무대 세트로는 아쉬운 스펙터클이 영상으로 구현된다. 이 기획과 제작 자체가 원작의 메시지 중 하나를 웅변한다. 그것은 ‘혁명’.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