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돌아왔다" src="https://img.hankyung.com/photo/202001/2012112111545474692_1.jpg" width="550" height="326" />
SBS 과 MBC 의 ‘동거동락’이 돌아왔다. MBC 과 SBS 의 ‘런닝맨’을 통해서다. 은 지난 해 ‘디너쇼’를 시작으로 ‘우천시 취소 특집’, 올해 이나영이 출연한 ‘개그학개론’에서 계속 ‘동거동락’을 응용했다. 지난 주 방영한 ‘못친소’도 2부에서 ‘동거동락’처럼 하룻밤을 스튜디오에서 보내며 게임을 할 것을 예고했다. ‘런닝맨’은 문근영이 출연한 에피소드를 아예 의 오마주로 만들었고, 지난주에는 유재석이 게스트 이승기에게 시절의 추억을 반복적으로 언급했다. 이 ‘런닝맨’으로 변했지만, 유재석과 이승기는 여전히 테니스 라켓을 몸으로 통과하는 게임을 한다. MBC 의 ‘승부의 신’ 역시 턱걸이 오래 버티기 등 온갖 작은 게임들의 모음이고, 은 파업 이후 아직 장기 프로젝트를 방영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추격전을 중심으로 다양한 게임들을 에피소드로 내놓는다. KBS 의 ‘1박 2일’도 시즌 2 이후 복불복 게임 중심의 에피소드가 많다. 몇 주 전 출연자들이 저녁 식사를 걸고 코스마다 게임을 하던 ‘복불복 마라톤’은 ‘런닝맨’의 한 에피소드라 해도 큰 위화감이 없다.

주말 버라이어티, 게임이 책임진다
이 돌아왔다" src="https://img.hankyung.com/photo/202001/2012112111545474692_2.jpg" width="555" height="185" />
예능 프로그램의 트렌드는 버라이어티 쇼, 리얼 버라이어티 쇼, 다시 리얼리티 쇼로 변했지만 게임은 여전히 주말 버라이어티 쇼를 떠받친다. 과 ‘동거동락’의 리바이벌은 게임의 건재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이다. ‘동거동락’의 유재석이 ‘런닝맨’에서도 게임을 한다. 대신 게임을 활용하는 방식이 달라졌다. MBC 에서 성시경과 비는 승부욕 때문에 게임을 계속 해서 녹화 시간이 한정 없이 늘어났다. 은 작위적으로 보일지라도 출연자들의 러브라인을 강조해 삼각관계의 당사자들이 벌이는 게임에 긴장감을 집어넣었다. 반면 ‘런닝맨’에서 게임은 출연자들이 함께 즐기기 위한 도구다. 유재석, 하하 등의 고정 출연자들은 게임을 장난스럽게 끌고 가고, 제작진은 출연자의 승부욕을 적당히 조절한다. 아무리 추신수와 류현진이라도 공을 치지 않고도 홈런이 되는 초능력이 난무하는 ‘초능력 야구’에서 진지하게 게임을 할 수는 없다.

과거 예능프로그램에서 게임이 ‘리얼’을 끌어내기 위한 수단이었다면, 지금의 게임은 ‘테마파크 예능’의 일부다. ‘런닝맨’은 매주 다른 테마를 정하고, 정해진 루트 안에서 누구든 쉽게 준비된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한다. 게스트에게 게임이 어려울 것 같으면 난이도를 조정해주고, 고정 출연자들은 진행요원처럼 게임을 안정적으로 끌고 간다. 출연자들은 게임이 끝나면 승부에 상관 없이 즐겁게 웃을 수 있다. 의 ‘공동경비구역’에서도 출연자들이 정해진 장소에서 제작진이 정한 규칙에 따라 진지를 빼앗는 게임을 했다. 출연자들은 진지하게 게임을 했지만, 그에 따른 보상은 없다. 보상은 게임을 즐겁게 즐기는 것 뿐이다. ‘1박 2일’도 출연자를 극단적인 상황에 몰기보다 ‘성충이’ 성시경이나 ‘망했어요’ 차태현처럼 캐릭터의 허술한 매력이 드러나도록 여유를 주는데 주력한다. 반면 게임에 진지했던 ‘승부의 신’은 4개월만에 폐지된다. 의 ‘하하 VS 홍철’은 오랫동안 쌓인 두 캐릭터의 관계가 사소한 게임마저 진지한 대결로 만들었다. 하지만 이 포맷을 가져온 ‘승부의 신’은 이런 리얼한 관계의 인물들을 매 주 데려올 수 없었고, 리얼리티 쇼만큼 진지해질 수는 없었다.여전히 살아남은 자들의 현재이자 추억, 게임

오디션 프로그램들은 진지하고, 게임을 활용한 버라이어티 쇼는 테마파크처럼 밝고 즐거운 세계를 제시한다. 그리하여 리얼의 농도는 낮추고, 대신 테마파크의 테마를 이해하는 사람들의 추억을 끌어낸다. ‘1박 2일’의 ‘복불복 마라톤’에서는 큐브 맞추기, 스카이 콩콩, 초등학교 시험문제 풀기가 게임이었다. ‘런닝맨’은 007과 셜록 홈즈처럼 30-40대에게 익숙한 아이콘들을 테마로 설정하거나, 첫사랑이나 초등학교를 게임의 배경으로 삼기도 한다. 유재석이 가끔 그 옛날 ‘청청패션’을 하고 보여주는 ‘유혁’같은 캐릭터는 그 시절의 추억을 간직하고 사는 남자가 아직도 현역으로 뛰고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못친소’의 첫 회는 이런 예능 프로그램에서 추억이 중요한 이유를 보여준다. ‘못친소’는 누가 더 못생겼는지 따지기 위한 모임에서 출발하지만, 누구도 이 주제를 진지하게 받아들이지 않는다. 대부분 30-40대인 출연자들은 외모에 크게 신경 쓸 때는 지났고, 자신의 분야에서 자리를 잡았다. 사느라 바빠 보기 힘든 친구들의 동창회. 서로의 외모에 대해 공격도 하고 게임을 하며 승부도 가리지만, 진짜 목적은 오랜만에 모여 즐겁게 노는 것이다.

20대에 정말 열심히 게임을 하던 그들이 10년이 지나 그 때 그 게임을 하며 웃고 즐긴다. 게임은 그대로이되, 게임을 하는 사람의 입장은 변했다. 공교롭게도 영화 과 tvN 이 나온 올해에 과 ‘동거동락’도 돌아왔다. 한 세대의 정서와 추억이 예능 프로그램에도 전면적으로 드러나기 시작했고, 그것을 다른 세대가 즐길 수 있는 비법을 찾으면서 그들이 만들고 보는 쇼도 리얼리티 쇼의 시대에 살아남았다. 는 10-20대 출연자들이 주축이 되는 오디션 프로그램 ‘K팝 스타’와 30대 이상의 예능인이 게임을 하는 ‘런닝맨’을 연이어 편성한다. 시대는 바뀌고 새로운 주인공도 등장했다. 하지만, 10년 전의 주인공이었던 그들도 아직은 잘 버티고 있다. ‘유혁’처럼, 예나 지금이나 열심히 게임하면서.

글. 강명석 기자 two@
편집. 이지혜 seven@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