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 라이프 스타일 잡지 은 에이타를 표지 모델뿐 아니라 잡지의 주인공으로 내세웠다.
일 년에 두 번 에이타의 일상이 공개된다. 잡지 등으로 유명한 잡지사 매거진하우스(Magazine House)가 매년 3월과 9월 에이타를 표지 모델로 남성지 을 펴내고 있다. 여성 라이프 스타일 잡지 의 남매지 격으로 2009년 9월 1호가 나왔다. 화보집이 아님에도 동일한 모델이 매호 커버를 장식하는 건 매우 보기 드문 경우다. 창간 37년째를 맞은 남성지 는 지난 5월 대대적으로 리뉴얼을 했다. 창간 당시 모토였던 ‘시티 보이(City Boy)’를 전면에 내세웠고, 리뉴얼 1호의 특집으로 ‘시티 보이 ABC’를 꾸렸다. 도시 속 남자들의 일상을 철저히 파헤친 기획이었다. 이와 같은 최근 일본 남성지의 동향은 주목할 만하다. 일본은 워낙 별난 잡지가 많기로 유명한 시장이지만 독자 연구, 트렌드 조사를 넘어 에이타를 잡지의 얼굴로 삼은 나 2012년 도시 남자를 내세운 처럼 잡지의 주인공을 설정한 사례는 없었기 때문이다.

정보나 가이드, 그 이상을 요구받는 일본의 잡지

패션, 문화, 음식 등 기호와 취미의 구석까지 파고들던 잡지들은 이제 트렌드를 쫓아 책의 기본 방향을 다잡기 시작했다.
일본 남성 패션지의 전성기는 1970년대였다. 버블 경제와 함께 패션 산업이 성장했고 슈에이샤(集英社)의 와 매거진하우스의 가 창간해 호시절을 누렸다. 두 잡지는 미국과 유럽의 브랜드를 소개하며 독자들을 끌어 모았고 한때 8만부 이상을 찍기도 했다. 이후 남성 패션지는 여성지 못지않게 쏟아져 나왔다. 10대 중고생을 타깃으로 한 , 등이 창간됐고, 스트리트 패션을 테마로 한 , 도 인기를 누렸다. 시부야의 스트리트 문화를 그대로 반영한 , 등의 특정 지역을 중심으로 한 잡지도 등장했다. 그리고 2012년. 패션, 문화, 음식 등 기호와 취미의 구석까지 파고들던 잡지들은 이제 트렌드를 쫓아 책의 기본 방향, 구성을 다잡기 시작했다. 은 에이타라는 배우를 잡지의 상징적인 주인공으로 삼아 그의 일상을 소개하듯 콘텐츠를 구성한다. 1호는 에이타의 주말이 주제였고, 올해 3월 발매된 6호에서는 에이타의 ‘신(新) 습관’이 테마였다. 물론 이 테마들은 잡지가 타깃으로 삼는 20~30대 남성들의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이다. 패션, 문화, 음식, 여가라는 카테고리는 에이타의 일상이란 품안에서 자연스레 경계를 숨긴다.

일본의 한 저널리스트는 “요즘 같은 불경기, 에코를 위한 내식(內食) 시대에 외식 정보나 숍 인포메이션으로 가득한 잡지는 수요가 없다”고 말했다. 이를 남성지에 적용해보면 초식남이 가득한 세상에 여자친구와 데이트하기 좋은 코스 따위로 뒤범벅된 잡지는 이제 소구력이 없다는 것이기도 하다. 가 리뉴얼 호를 만들며 초점을 맞춘 것은 ‘How To’가 아닌 ‘Just Do’ 였다. 특정한 문화나 방식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그저 하나의 라이프 스타일을 보여주며 즐길 거리를 준다는 것이 잡지의 편집 방향이었다. 역시 마찬가지다. 토다카 요시히코 부편집장은 “너무 애쓰지 않는 것”이 단 하나의 키워드였다고 말했다. 1호의 프론트 기사 ‘커피로 시작하는 하루’는 꽤 전문적인 커피 관련 지식이 동원된 기사임에도 그저 커피를 내리는 다양한 사람들을 보여주는 화보로 시작한다. 인터넷이든 SNS든 정보가 넘치는 지금의 세상에서 잡지의 역할은 정보 그 이상이거나 정보 제공과는 다른 차원의 가이드여야 한다. 그리고 그 방법으로 지금 일본 남성지들은 독자나 타깃 대신 주인공 찾기에 매달리고 있다. 잡지를 대표하는 표지 얼굴은 곧 독자와 시대, 그리고 트렌드를 아우르는 가장 큰 그림이기 때문일 것이다. 독자는 이제 잡지의 얼굴에서 자신의 일상을 대변해줄 이상적인 모델을 찾고 있다.

와 사전협의 없이 본 기사의 무단 인용이나 도용,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이를 어길 시 민, 형사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