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앨범을 내기 전, 3년 만에 휴가를 보낸 걸로 알고 있어요. 즐거웠나요?
조권: 가기 전에는 미래에 대해서 생각도 하고 여러 가지 글도 써 보고 해 봐야겠다 했는데 아무 생각도 안 들더라고요. 그런데 그게 너무 좋았어요. 여행 가서 그동안 찌들어 있던 기름을 쫙 뺀 것 같았거든요. 그런 시간이 너무 중요한 것 같아요.
슬옹: 저도 이번 앨범 내기 전까지의 시간이 굉장히 중요했어요. 굉장히 많은 생각을 정리할 수 있었던 시기였던 것 같아요. 노래하면서 이번 앨범에서 제일 원하는 감정을 표현했다고 생각하거든요. 겉으로 드러내지 못하고, 속으로 신경은 쓰이고. 그래도 다른 사람을 위해서라면 조금 참으면서 아무렇지 않은 척 할 수 있는 그런 감정들. 사실 나이 들수록 다른 사람들한테 난리 치고 울면서 슬프다고 하기 어렵잖아요. 한 살 한 살 먹을수록 생각이 많아지고, 버려야 할 것들, 참아야 할 것들이 많아지잖아요. 그런 걸 많이 표현하게 된 거 같아요.
많이 버리고 포기하게 되는 게 있나요?
슬옹: 제가 가진 나쁜 것들을 포기해야 하는 거 같아요. 사람들에게 인정받는다는 건 결국 제가 드러내는 것들이 사람들에게 인정받을 때 가능하잖아요. 노래도 그렇고 방송에서도 한마디를 해도 제가 제대로 돼 있어야 사람들에게 받아들여지는 거니까요. 그래서 계속 성장하고 싶다는 생각이 많이 들어요.
“차근차근 내 일을 밟아 나가고 싶다”
성장이라는 점에서 창민 씨는 ‘사랑해 사랑해’로 자작곡을 발표했는데, 다른 멤버들은 노래할 때 어땠어요?
슬옹: 딱 창민이 형 노래에요. 노래가 창민이 형처럼 생겼어요. (웃음) 애드리브 라인이나 비트가 다 창민이 형처럼 생겼죠.
창민: ‘사랑해 사랑해’는 2AM만을 위해 쓴 곡이에요. 이미 머리에 멤버들의 파트가 나눠져 있었어요. 누구는 여기 부르라고 해야지, 여기서 누가 질러주면 누가 화음을 써야지 하는 식으로. 그리고 우리를 모르는 분들이야 멤버들의 스타일이나 음역대도 체크해야 하지만 저희는 그런 게 없으니까 “그냥 들어가서 너 여기서 여기 이렇게 부르면 돼.” 이럴 수 있어요. 그러면서 멤버들이 표현할 수 있는 최고의 지점을 찾아낼 수 있는 거 같아요. 보컬리스트로서도 창민 씨는 이번에 목소리의 볼륨이 잘 조절된다는 느낌이 들었어요. 높게 올라가는 부분에서도 크게 지르지만 않고 드라마틱한 느낌을 줄 수 있도록 목소리를 조절하던데.
창민: ‘너도 나처럼’은 감정을 절제하면서 막 쏟아내는 노래가 아니기 때문에 제가 연습해온 테크닉들을 더 많이 보여줄 수 있었던 거 같아요. 그리고 제가 원래 힘들어도 좀 안 힘든 척하면서 부르려고 하는 연습을 했는데 (웃음) 이게 담담하게 슬픔을 표현하는 데 도움이 된 거 같아요.
보컬리스트로 출발해서 작곡을 하게 되면서 느끼게 되는 것들이 있나요?
창민: 차근차근 제 일을 밟아 나가고 싶다는 생각이 많이 들어요. 전 작곡에 있어서는 만학도거든요. (웃음) 다른 분들이 10대 후반에 진짜 학교에 들어가서 배우는 화성학이라든가 피아노 연주 같은 걸 이제야 배우면서 하니까요. 그분들이 보기엔 저는 피아노도 잘 못 치고 이제 겨우 미디 같은 걸 만지는 입장인데, 그래서 좀 길게 봤으면 좋겠어요. 배워나가면서 오랫동안 음악으로 사랑받았으면 좋겠고.
아이돌 그룹은 어느 시점에서 솔로 활동처럼 각자의 길을 찾는데, 그만큼 자기 인생에 대해 생각해야 할 것들이 많아질 거 같아요.
조권: 저는 솔로 앨범을 생각하면 너무 머리가 아파요. 그동안 대중들에게 큰 사랑을 받았는데 그걸 무시할 수는 없잖아요. 늘 밝았던 사람이 멋있게 나와도 그렇고, 너무 밝게만 나와도 이상할 거 같고. 그렇다고 2AM으로는 슬픈 발라드를 부르는데 굳이 솔로도 슬픈 발라드로 나오면 안 될 것 같고. 뭐 어떻게 해야 하나. (웃음) 그래서 자연스럽게 하려구요. 사람들에게 보여준 이미지를 굳이 없앨 필요도 없고, 억지로 멋있는 척 해 봤자 소용없을 거고. 적절한 포인트를 찾아야 할 거 같아요. 그럼 10년 후 쯤에는 어떤 모습이 돼 있을 거 같아요?
조권: 10년 후에는 아마 좀 웃기는 이미지에서 (웃음) 좀 더 멋진 모습이 돼서 음악도 하고 연기도 하고 있지 않을까 싶어요. 엄정화 선배님처럼요. 시트콤을 하면서 정말 재밌었거든요. 제가 잘할 수 있는 부분이 많았던 것 같아서 재밌게 할 수 있었고, 연기에 대한 욕심도 더 생겼어요.
“10년 후, 무슨 일을 하냐보다는 마음의 여유를 가졌으면 좋겠다”
진운 씨는 어느 프로그램에서 전설이 되고 싶다고 했었죠? (웃음)
진운: 저는 죽을 때까지 음악을 하고 싶은데, 그러니까 10년 후에도 음악 계속하고 있겠죠. (웃음) 나중에 사람들이 제 음악을 들으면서 이 사람 음악은 꼭 들어야 한다고 말할 수 있으면 좋겠어요. 음악 듣는 사람들이 이 음악은 꼭 알아야 돼 하면서 추천하는 뮤지션들이 있잖아요. 그런 사람들과 함께 이름이 남고 싶은 거죠.
창민: 그 전설이 비틀즈가 아니라 (의) 윌 스미스가 되는 거 아니야? (웃음)
진운: 아 그것도 나쁘지 않아. (웃음)
슬옹: 진운이는 전설이 될 거예요. 법적으로든 아니면 불법적으로라도. (웃음) 자기가 하고 싶은 음악 색깔이 너무 뚜렷해서 대견했거든요. 마냥 어린 애인 줄만 알았는데 하고 싶은 걸 표현해 내니까.
조권: 그런 감성을 가진 애인 줄은 전혀 생각 못했어요. 진운이의 ‘걸어온다’를 들으면서 굉장히 외로운 감정이 느껴졌는데, 그게 전달된 것만으로도 성공한 거라고 생각하거든요.
진운: 감사합니다. (웃음)
슬옹: 진운이가 이제 말을 섞을 수 있을 만큼 머리가 커서 (웃음) 보기 좋아요.
창민: 니가 키운 거잖아. (웃음)
진운: 누가 누구 탓을 해. 형이 나하고 3년 동안 같은 방을 썼는데. (웃음)
창민: 18살부터 4년 동안 이렇게 키워놨으니. (웃음)
창민 씨는 10년 후에 어떤 모습일 거 같아요?
창민: 원래 김건모 선배님처럼 되고 싶었어요. 지금도 음악적으로는 선배님처럼 되는 게 꿈이구요. 그런데 요즘에는 윤종신 선배님처럼 살고 싶어요. 윤종신 선배님은 작곡도 하면서 대중적으로도 정말 편안한 느낌을 주시잖아요. 행동 하나하나가 이슈가 돼서 날카롭게 치고 들어오는 게 아니라 그냥 옆에 있을 것 같은 형님 같고, 예능에서는 편하게 잘하시고, 가정적이시고. 그게 제일 어려운 길 같아요. (웃음)
창민: 제일 어렵죠. 꼭 예능을 안 해도 음악으로 제자리를 굳히면서 평범한 가정을 꾸리는 뮤지션으로 살고 싶어요. 너무 머리 아프게 사는 것보다는 편하게 제가 곡 쓰고 싶을 때 쓰고, 가정도 있는 사람이 되고 싶어요.
슬옹: 저는 음악은 계속하겠죠. 연기도 하고 싶구요. 하지만 무슨 일을 하냐보다는 그냥 마음의 여유를 가졌으면 좋겠어요. 스스로 마음의 여유를 가지면 성공하든 망하든 흔들리지 않을 테니까요. 잘 쉬어서 생기는 여유가 아니라 제 생각이 잘 정리 되고, 주관이 뚜렷하면 되는 거 같아요.
지금 그런 여유가 있는 거 같아요?
슬옹: 아직까지는 안정적인 거 같아요. (웃음) 저희는 대중 앞에서 활동하니까 무작정 솔직할 수는 없잖아요. 그런 점에서 제약이 있을 수도 있고, 반대로 다른 사람들이 갖지 못한 자유를 얻을 수도 있는데 제 안에서 그런 부분에 대해 여유를 갖고 생각하면서 어느 정도는 잘 해나가고 있는 거 같아요. 뭔가 저에 대해 잘못된 상황이 일어나도 별로 상처 입지 않을 거 같구요. 그게 저의 여유인 거 같아요.
창민: 슬옹이가 말하는 여유라는 걸 갖게 되면 여러 가지 것들을 놓을 수 있게 되는 거 같아요. 이 앨범이 잘 될까에 대한 불안 같은 게 없을 수 없고, 내가 이렇게 불안해하면서 팀에 무슨 폐라도 끼치지 않을까 하는 걱정 때문에 더 여유가 없어지거든요. 그런데 내가 하는 일에 자신을 갖고 여유를 가질 때는 내가 중심이 잡혀 있으니까 결국 잘 되겠지 이렇게 생각할 수 있게 되는 거 같아요. 저도 그런 마음을 가질 수 있게 되길 바라죠.
그런 시기가 왔나요?
창민: 지금이 딱 그렇게 된 거 같아요. (웃음) 지금까지 저희는 치고 올라오기만 했잖아요. 어떻게 보면 이제는 지금 2AM의 이미지로 남느냐, 아니면 사람들을 실망시키는 음악을 한다든가 해서 얻었던 것들을 잃어버릴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어요. 그래서 오히려 여유를 갖게 되는 것 같아요. 지금 저희에게 필요한 건 다른 사람의 반응보다 스스로에 대한 여유니까요. 그렇게 생각해요. 딱 지금처럼. 지금처럼만 많은 분께 사랑받아도 충분하다. (웃음)
글. 강명석 기자 two@
사진. 채기원 ten@
편집. 장경진 three@
조권: 가기 전에는 미래에 대해서 생각도 하고 여러 가지 글도 써 보고 해 봐야겠다 했는데 아무 생각도 안 들더라고요. 그런데 그게 너무 좋았어요. 여행 가서 그동안 찌들어 있던 기름을 쫙 뺀 것 같았거든요. 그런 시간이 너무 중요한 것 같아요.
슬옹: 저도 이번 앨범 내기 전까지의 시간이 굉장히 중요했어요. 굉장히 많은 생각을 정리할 수 있었던 시기였던 것 같아요. 노래하면서 이번 앨범에서 제일 원하는 감정을 표현했다고 생각하거든요. 겉으로 드러내지 못하고, 속으로 신경은 쓰이고. 그래도 다른 사람을 위해서라면 조금 참으면서 아무렇지 않은 척 할 수 있는 그런 감정들. 사실 나이 들수록 다른 사람들한테 난리 치고 울면서 슬프다고 하기 어렵잖아요. 한 살 한 살 먹을수록 생각이 많아지고, 버려야 할 것들, 참아야 할 것들이 많아지잖아요. 그런 걸 많이 표현하게 된 거 같아요.
많이 버리고 포기하게 되는 게 있나요?
슬옹: 제가 가진 나쁜 것들을 포기해야 하는 거 같아요. 사람들에게 인정받는다는 건 결국 제가 드러내는 것들이 사람들에게 인정받을 때 가능하잖아요. 노래도 그렇고 방송에서도 한마디를 해도 제가 제대로 돼 있어야 사람들에게 받아들여지는 거니까요. 그래서 계속 성장하고 싶다는 생각이 많이 들어요.
“차근차근 내 일을 밟아 나가고 싶다”
성장이라는 점에서 창민 씨는 ‘사랑해 사랑해’로 자작곡을 발표했는데, 다른 멤버들은 노래할 때 어땠어요?
슬옹: 딱 창민이 형 노래에요. 노래가 창민이 형처럼 생겼어요. (웃음) 애드리브 라인이나 비트가 다 창민이 형처럼 생겼죠.
창민: ‘사랑해 사랑해’는 2AM만을 위해 쓴 곡이에요. 이미 머리에 멤버들의 파트가 나눠져 있었어요. 누구는 여기 부르라고 해야지, 여기서 누가 질러주면 누가 화음을 써야지 하는 식으로. 그리고 우리를 모르는 분들이야 멤버들의 스타일이나 음역대도 체크해야 하지만 저희는 그런 게 없으니까 “그냥 들어가서 너 여기서 여기 이렇게 부르면 돼.” 이럴 수 있어요. 그러면서 멤버들이 표현할 수 있는 최고의 지점을 찾아낼 수 있는 거 같아요. 보컬리스트로서도 창민 씨는 이번에 목소리의 볼륨이 잘 조절된다는 느낌이 들었어요. 높게 올라가는 부분에서도 크게 지르지만 않고 드라마틱한 느낌을 줄 수 있도록 목소리를 조절하던데.
창민: ‘너도 나처럼’은 감정을 절제하면서 막 쏟아내는 노래가 아니기 때문에 제가 연습해온 테크닉들을 더 많이 보여줄 수 있었던 거 같아요. 그리고 제가 원래 힘들어도 좀 안 힘든 척하면서 부르려고 하는 연습을 했는데 (웃음) 이게 담담하게 슬픔을 표현하는 데 도움이 된 거 같아요.
보컬리스트로 출발해서 작곡을 하게 되면서 느끼게 되는 것들이 있나요?
창민: 차근차근 제 일을 밟아 나가고 싶다는 생각이 많이 들어요. 전 작곡에 있어서는 만학도거든요. (웃음) 다른 분들이 10대 후반에 진짜 학교에 들어가서 배우는 화성학이라든가 피아노 연주 같은 걸 이제야 배우면서 하니까요. 그분들이 보기엔 저는 피아노도 잘 못 치고 이제 겨우 미디 같은 걸 만지는 입장인데, 그래서 좀 길게 봤으면 좋겠어요. 배워나가면서 오랫동안 음악으로 사랑받았으면 좋겠고.
아이돌 그룹은 어느 시점에서 솔로 활동처럼 각자의 길을 찾는데, 그만큼 자기 인생에 대해 생각해야 할 것들이 많아질 거 같아요.
조권: 저는 솔로 앨범을 생각하면 너무 머리가 아파요. 그동안 대중들에게 큰 사랑을 받았는데 그걸 무시할 수는 없잖아요. 늘 밝았던 사람이 멋있게 나와도 그렇고, 너무 밝게만 나와도 이상할 거 같고. 그렇다고 2AM으로는 슬픈 발라드를 부르는데 굳이 솔로도 슬픈 발라드로 나오면 안 될 것 같고. 뭐 어떻게 해야 하나. (웃음) 그래서 자연스럽게 하려구요. 사람들에게 보여준 이미지를 굳이 없앨 필요도 없고, 억지로 멋있는 척 해 봤자 소용없을 거고. 적절한 포인트를 찾아야 할 거 같아요. 그럼 10년 후 쯤에는 어떤 모습이 돼 있을 거 같아요?
조권: 10년 후에는 아마 좀 웃기는 이미지에서 (웃음) 좀 더 멋진 모습이 돼서 음악도 하고 연기도 하고 있지 않을까 싶어요. 엄정화 선배님처럼요. 시트콤을 하면서 정말 재밌었거든요. 제가 잘할 수 있는 부분이 많았던 것 같아서 재밌게 할 수 있었고, 연기에 대한 욕심도 더 생겼어요.
“10년 후, 무슨 일을 하냐보다는 마음의 여유를 가졌으면 좋겠다”
진운 씨는 어느 프로그램에서 전설이 되고 싶다고 했었죠? (웃음)
진운: 저는 죽을 때까지 음악을 하고 싶은데, 그러니까 10년 후에도 음악 계속하고 있겠죠. (웃음) 나중에 사람들이 제 음악을 들으면서 이 사람 음악은 꼭 들어야 한다고 말할 수 있으면 좋겠어요. 음악 듣는 사람들이 이 음악은 꼭 알아야 돼 하면서 추천하는 뮤지션들이 있잖아요. 그런 사람들과 함께 이름이 남고 싶은 거죠.
창민: 그 전설이 비틀즈가 아니라 (의) 윌 스미스가 되는 거 아니야? (웃음)
진운: 아 그것도 나쁘지 않아. (웃음)
슬옹: 진운이는 전설이 될 거예요. 법적으로든 아니면 불법적으로라도. (웃음) 자기가 하고 싶은 음악 색깔이 너무 뚜렷해서 대견했거든요. 마냥 어린 애인 줄만 알았는데 하고 싶은 걸 표현해 내니까.
조권: 그런 감성을 가진 애인 줄은 전혀 생각 못했어요. 진운이의 ‘걸어온다’를 들으면서 굉장히 외로운 감정이 느껴졌는데, 그게 전달된 것만으로도 성공한 거라고 생각하거든요.
진운: 감사합니다. (웃음)
슬옹: 진운이가 이제 말을 섞을 수 있을 만큼 머리가 커서 (웃음) 보기 좋아요.
창민: 니가 키운 거잖아. (웃음)
진운: 누가 누구 탓을 해. 형이 나하고 3년 동안 같은 방을 썼는데. (웃음)
창민: 18살부터 4년 동안 이렇게 키워놨으니. (웃음)
창민 씨는 10년 후에 어떤 모습일 거 같아요?
창민: 원래 김건모 선배님처럼 되고 싶었어요. 지금도 음악적으로는 선배님처럼 되는 게 꿈이구요. 그런데 요즘에는 윤종신 선배님처럼 살고 싶어요. 윤종신 선배님은 작곡도 하면서 대중적으로도 정말 편안한 느낌을 주시잖아요. 행동 하나하나가 이슈가 돼서 날카롭게 치고 들어오는 게 아니라 그냥 옆에 있을 것 같은 형님 같고, 예능에서는 편하게 잘하시고, 가정적이시고. 그게 제일 어려운 길 같아요. (웃음)
창민: 제일 어렵죠. 꼭 예능을 안 해도 음악으로 제자리를 굳히면서 평범한 가정을 꾸리는 뮤지션으로 살고 싶어요. 너무 머리 아프게 사는 것보다는 편하게 제가 곡 쓰고 싶을 때 쓰고, 가정도 있는 사람이 되고 싶어요.
슬옹: 저는 음악은 계속하겠죠. 연기도 하고 싶구요. 하지만 무슨 일을 하냐보다는 그냥 마음의 여유를 가졌으면 좋겠어요. 스스로 마음의 여유를 가지면 성공하든 망하든 흔들리지 않을 테니까요. 잘 쉬어서 생기는 여유가 아니라 제 생각이 잘 정리 되고, 주관이 뚜렷하면 되는 거 같아요.
지금 그런 여유가 있는 거 같아요?
슬옹: 아직까지는 안정적인 거 같아요. (웃음) 저희는 대중 앞에서 활동하니까 무작정 솔직할 수는 없잖아요. 그런 점에서 제약이 있을 수도 있고, 반대로 다른 사람들이 갖지 못한 자유를 얻을 수도 있는데 제 안에서 그런 부분에 대해 여유를 갖고 생각하면서 어느 정도는 잘 해나가고 있는 거 같아요. 뭔가 저에 대해 잘못된 상황이 일어나도 별로 상처 입지 않을 거 같구요. 그게 저의 여유인 거 같아요.
창민: 슬옹이가 말하는 여유라는 걸 갖게 되면 여러 가지 것들을 놓을 수 있게 되는 거 같아요. 이 앨범이 잘 될까에 대한 불안 같은 게 없을 수 없고, 내가 이렇게 불안해하면서 팀에 무슨 폐라도 끼치지 않을까 하는 걱정 때문에 더 여유가 없어지거든요. 그런데 내가 하는 일에 자신을 갖고 여유를 가질 때는 내가 중심이 잡혀 있으니까 결국 잘 되겠지 이렇게 생각할 수 있게 되는 거 같아요. 저도 그런 마음을 가질 수 있게 되길 바라죠.
그런 시기가 왔나요?
창민: 지금이 딱 그렇게 된 거 같아요. (웃음) 지금까지 저희는 치고 올라오기만 했잖아요. 어떻게 보면 이제는 지금 2AM의 이미지로 남느냐, 아니면 사람들을 실망시키는 음악을 한다든가 해서 얻었던 것들을 잃어버릴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어요. 그래서 오히려 여유를 갖게 되는 것 같아요. 지금 저희에게 필요한 건 다른 사람의 반응보다 스스로에 대한 여유니까요. 그렇게 생각해요. 딱 지금처럼. 지금처럼만 많은 분께 사랑받아도 충분하다. (웃음)
글. 강명석 기자 two@
사진. 채기원 ten@
편집. 장경진 three@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