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주인을 사랑해 살인을 저지른 하인 카인즈(이진규)가 무대 위로 뛰어나온다. 간절하게 무언가를 갈구하는 그의 눈빛과 손짓은 베르테르(송창의)와 롯데(임혜영), 알베르트(민영기)에게로 전해지고, 무대 위에 늘어선 열 명 남짓한 인물들은 찬란했던 사랑의 순간을 찾는다. 지난 열 번의 공연이 베르테르가 발하임에 도착하는 시점에서 출발했던 것과 사뭇 다른 이 오프닝은, 2010 뮤지컬 (이하 )의 독립선언이자, 제2의 시작과도 같다.

1774년에 쓰여진 괴테의 동명소설은 지독한 사랑의 열병을 앓는 남자를 주인공으로 내세웠다. 예술과 자연을, 그리고 정혼자가 있는 여인을 사랑한 한 남자. 이야기구조는 단순하고 소설을 가득 채운 서간체는 지극히 개인적이었지만, 감정의 가감이 없던 소설은 그래서 더욱 큰 사랑을 받았다. 그리고 2000년 한국에서 탄생한 뮤지컬 는 이런 1인칭 소설에 맞게 베르테르의 감정을 우직하게 그린 것은 물론, 이룰 수 없는 사랑으로 데칼코마니 된 카인즈와 ‘금단의 꽃’을 작곡한 클라라의 죽음을 함께 전하며 베르테르를 더욱 시리도록 만들었다. 여기까지는 동일하다. 하지만 다시 돌아온 는 지난 3년간의 공백을 매우기 위해 많은 변화를 시도한다.

컴백만으로도 반가운


10월 22일부터 11월 30일까지 유니버설 아트센터에서 공연되는 가 10주년을 맞이하여 가장 많이 변화한 부분은 바로 롯데의 감정이다. 그간 ‘어장관리녀’로만 치부되었던 그녀는 단순한 발하임의 정물화를 넘어 생생하게 살아 불안하게 흔들리고, 자신의 감정을 솔직하게 인정해내며 두 남자의 감정선까지 살려낸다. 적극적인 그녀의 변화 덕에 베르테르는 오해를 거듭하는 찌질한 짝사랑 추종자에서 사랑의 순간을 보존하는 로맨티스트로, 알베르트 역시 과도한 질투를 일삼는 소인배에서 사랑을 지키고자 하는 우직한 인물로 그려진다.하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변화는 바로 작품을 감싸고 있는 공기 그 자체다. 지난 공연들이 기름을 끌어안고 불 속에 직접 뛰어든 버전이었다면, 2010 는 달라진 오프닝에서도 알 수 있듯 직접적인 감정의 설명보다는 최대한 많은 부분을 상징으로 열어둔다. 베르테르의 자살로 마무리되는 엔딩마저도 관객의 판단에 전적으로 맡긴다. 여기에 감정이 널을 뛰는 원작의 베르테르와 달리 감정을 100% 다 드러내기보다는 묵묵히 안으로 삭히는 송창의의 연기가 더해지며, 2010 는 마치 “추억을 까먹으면서 사는 게 인생”이라 말하는 오르카(최나래)처럼 그 시절과 순간을 담담히 회고하는 것처럼 보인다. 리바이벌 공연에 있어서 전작과의 비교는 쓸데없는 일인지도 모른다. 2010 는 원작과의 교집합을 선택하지만, 전작과 다른 방식으로의 독립도 추구했다. 무엇이 옳다고 단정 지을 순 없다. 하지만 이 말 한마디는 꼭 해야겠다. 시린 가을, 돌아와줘서 고맙다고.

사진제공. CJ엔터테인먼트

글. 장경진 three@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