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사람, 멋진 남자. 이것이 대중에게 사랑 받는 이선균의 이미지다. 의 정의로운 의사, 메달만을 위한 분투가 가득한 의 로맨틱가이 동경, 유주의 방황을 묵묵히 감내하는 의 한성까지. 인내와 배려의 덕목을 두루 갖춘 흠잡을 데 없는 연인의 외양이 잘 재단된 수트처럼 그에게 어울린다. 물론 영화 의 해결사나 시트콤 의 까불이 선균 등 폼 안 나는 루저였던 적도 많지만, 이선균이 가장 주목 받은 것은 뒤에서 지켜봐 주고, 상대의 이야기를 들어줄 때였다.
그렇게 동경의 대상인 동시에 친절한 카운슬러일 수 있는 남자. 그건 이선균의 분신이 성장해온 궤적이 있기에 가능할 것이다. 천방지축 날뛰지는 않지만 불안한 미래와 뜻대로 되지 않는 사랑에 괴로워하던 우울한 청춘()은 훌쩍 자라 은찬이 모든 것을 털어놓을 수 있는 키다리 아저씨()가 되었다. 어느 순간 짠하고 나타난 완벽한 왕자님이 아니라, 불안한 터널을 통과한 시간이 그의 목소리에, 믿음직한 어깨에 얹혀 있어 이선균이 만들어낸 멋진 남자의 여유로움은 가짜 같지 않다.
그래서 “을 너무 좋아”하는 그가 성장 영화를 권하는 것은 청춘들에게 던지는 판에 박힌 충고가 아니다. 부딪치고 깨져 쑥쑥 크는, 비 온 뒤 죽순 같은 성장기는 지났지만 고리타분한 아저씨로 남지 않은 자가 건넬 수 있는 선의의 위로다. 치열한 성장과 청춘의 시간을 이제 막 지나온 키다리 아저씨가 들려주는 아이들이 자라는 소리를 들어보자.1. (Dead Poets Society)
1989년 │ 감독 피터 위어
“원래 성장 영화를 좋아해요. 성장물은 이야기 자체가 인위적으로 만들어 낸 게 아니라 공감할 수 있는 부분이 많아서 그런 것 같아요. 성장이란 건 누구나 겪는 일인데, 그게 해피엔딩이든 아니든 아픔도 겪고, 극복해나가는 과정이 있잖아요. 에선 그게 극적으로 잘 표현된 것 같아요. 그래서 본 지 정말 오래됐지만 그 때의 첫 느낌을 아직도 기억하고 있어요.”
적당한 양분과 햇빛을 공급받고 크는 나무처럼, 자라나는 소년 소녀들에게는 좋은 자양분이 필요하다. 그것은 스스로 찾아 낼 수도 있지만 곁에 훌륭한 조력자가 있다면 더할 나위가 없다. 명문 사립 웰튼 고등학교의 학생들에게는 키팅 선생(로빈 윌리엄스)이라는 참된 스승이 있었다. 억눌린 자아를 해방시킬 수 있게 해준 스승 덕에 아이들은 따분한 책상물림으로 자라지 않을 것이다. 떠나는 키팅 선생 앞에서 모두가 책상 위에 올라가 “마이 캡틴”을 외치는 장면은 언제 봐도 울컥한 동시에, 진정한 스승을 가진 그들을 부러워하게 만든다.
2. (陽光燦爛的日子)
1994년 │ 감독 쟝 웬
“제대하고 두 달 정도 비디오 가게에서 아르바이트를 한 적이 있어요. 그 때 발견한 보물 같은 영화죠. 워낙 할 일도 없어서 하루에 비디오를 하나씩 골라 보는데, 이 영화가 참 안 나가는 거예요. (웃음) 그래서 호기심에 틀었죠. 그렇게 아무런 정보도 없이 봐서 더 좋았던 것 같아요. 오래돼서 뚜렷하게 기억하는 건 아니지만 마지막 장면이 참 강렬했어요. 이후에도 주위 사람들에게 꼭 보라고 추천하는 영화예요.”북경은 묘한 도시다. 화려하게 치장한 마천루를 한 걸음만 돌아가면 맨 얼굴을 한 뒷골목이 펼쳐진다. 그리고 그 남루한 거리는 예전 중국의 모습을 아직도 간직하고 있다. 바로 마오준(하우)에게 햇빛이 쏟아지던 날들의 그 거리를. 한 여름의 햇살을 가득 머금은 영화는 어른이 되어 질풍노도의 시기를 떠올리는 마오준의 목소리로 시작된다. 거리를 제 집처럼 삼고 패싸움으로 소일하던 소년은 사랑의 열병도 앓고, 성장의 아픔도 느끼지만 그의 모습이 아름답지만은 않다. 무모한 행동과 폭력을 오가는 소년은 광기 어려 보일 만큼 위태롭다. 그러나 아직 덜 자라 어리석은 시기는 그렇게 불완전한 것이 당연할 지도 모른다. 이 영화로 데뷔한 하우는 1994년 베니스 영화제에서 최연소 남우주연상을 수상했다.
3. (Cidade De Deus)
2002년 │ 감독 페르난도 메이렐레스, 카티아 런드
“저는 영화를 마음먹고 골라보는 편은 아니에요. 오히려 우연히 만나는 걸 즐기죠. 도 작년에 별 기대 없이 봤는데, 너무 재미있었어요. 남미 음악이나 그 문화 특유의 색감, 낡은데 원색적인 느낌 같은 걸 좋아하는데, 이 영화 톤이 딱 그런 거예요. 그리고 무엇보다 배우들의 연기가 정말 쇼킹했어요. 이게 실제인지 영화인지 구분도 안 되고, 어떻게 저런 상황을 연기로 표현했나 싶더라구요. 그 역동적인 에너지에 감탄했어요.”
“리오의 그림엽서에는 이곳이 담겨 있지 않아.” 모두가 그 존재를 인정하고 싶지 않은 빈민촌 ‘시티 오브 갓’. 이곳에서는 선과 악의 구분이 중요치 않다. 그저 오늘 살아남는 것, 내가 살기 위해 남을 죽이는 논리만이 존재하는 무간지옥이다. 범죄가 곧 일상인 사람들을 고스란히 옮겨놓은 영화는 1970년대까지 실제로 벌어졌던 악행에 대한 기록이다. 실제 빈민가에서 캐스팅한 소년들을 데리고 찍은 영화는 피비린내가 진동하는 폭력이 난무하고, CF로 경력을 쌓은 감독의 감각적인 비주얼은 현란하다.4. (Slumdog Millionaire)
2008년 │ 감독 대니 보일
“처음 를 봤을 때 을 보고 받은 느낌이랑 비슷했어요. 물론 장르도, 내용도, 이야기를 푸는 방식도 다르지만 일부러 꾸미거나 예쁘게 포장하지 않은 자연스러운 날 것이 통하는 면이 있더라구요. 제가 하고 싶은 것도 이 영화에 나온 배우들이 보여준 과하지 않으면서도 생동감 있는 연기예요. 그런 면에서 혹시 오버하진 않았나 제 연기를 되돌아보게 됐죠.”
단연 2009년 아카데미 시상식의 주인공이었던 . 그러나 아카데미 최다 수상작이라는 화려한 외피 보다 마음을 건드리는 작은 이야기가 훨씬 매력적이다. 2천만 루피의 상금이 걸린 퀴즈쇼에 출전한 자말(데브 파텔)은 이제 마지막 한 문제만을 남겨놓고 있는 상황. 그러나 우승까지 가는 그의 길은 쉽지 않다. 자말의 퀴즈쇼 출전과 과거의 인생역정이 유려하고 조밀하게 맞물려 돌아가는 스크린에서 눈을 떼기 힘들다. 소년은 결국 백만장자가 될 수 있을까? 탄탄한 원작 가 대니 보일 감독 특유의 스타일과 이상적으로 결합했다.
5. (69)
2004년 │ 감독 이상일
“코미디 영화를 좋아해요. 그런데 오버하고 개연성 없는 애드리브를 하면서 만들어내는 웃음이 아니라, 진지한 상황에서 아픔도 묻어나고 어쩔 수 없이 발생되는 웃음을 좋아해요. 같은 경우는 원작 소설도 재미있게 읽었고, 성장하는 청춘의 이야기면서 그런 코미디적인 요소도 있어서 즐겁게 봤어요. 그 아이들이 하는 돌출 행동들이 청춘의 분출 같은 걸 보여줘서 후련하기도 했구요. 물론 츠마부키 사토시와 안도 마사노부의 연기는 말할 필요도 없죠.”문제아로 찍힌 야자키(츠마부키 사토시)는 허풍쟁이에 즉흥적이다. 전학 온 아다마(안도 마사노부)는 과묵하고, 시니컬하며 반듯하다. 얼핏 어울리지 않는 두 사람은 언젠가부터 함께 사고를 치고, 늘 숨이 턱 밑까지 차오르게 달린다. 그런 아이들에겐 반전과 혁명 투쟁으로 가득 찼던 1969년도 단지 좋아하는 여학생에게 잘 보이기 위한 작업 수단이었을 뿐. 여학생의 환심을 사려고 벌인 학교 점거는 생각보다 심각한 양상으로 전개되지만 그들을 보고 있노라면 좌충우돌 마음 내키는 대로 지를 수 있는 치기가 허용되던 시절이 그리워진다.
“해윤이는 한성이처럼 다 받아주진 않아요.”
“영화 를 찍고 있어요. 디테일이 좋으신 박찬옥 감독님 덕분에 꼼꼼하고 차분한 현장 분위기에서 진행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드라마 로 그를 먼저 만나게 될 것 같다. “6월쯤 찾아 뵐 수 있을 것 같아요. 감독님이 절 염두에 두고 만든 인물이라는데 실제 저랑은 좀 다른 것 같아요. 하하.” 이선균에게서 광고 크리에이터 해윤의 이야기를 들으며 한성의 또 다른 버전이 아닐까 하는 의구심이 들 때쯤 “이 역할은 그렇게 다 받아주지는 않아요. 해윤은 짜증도 내고, 싫고 좋고가 분명한 역할이라 놀 수 있는 여지가 많아요. 오히려 한성이 보다 편하게 할 수 있을 것 같아요.”라며 기대를 증폭시킨다. 다이어트를 종용하는 여름은 싫지만, 다시 한 번 사랑하고 이별하고 성장하는 뜨거운 공간에 서 있을 이선균 덕분에 점점 올라가는 기온이 밉지만은 않다.
사진제공_ 매니지먼트 호두
글. 이지혜 (seven@10asia.co.kr)
그렇게 동경의 대상인 동시에 친절한 카운슬러일 수 있는 남자. 그건 이선균의 분신이 성장해온 궤적이 있기에 가능할 것이다. 천방지축 날뛰지는 않지만 불안한 미래와 뜻대로 되지 않는 사랑에 괴로워하던 우울한 청춘()은 훌쩍 자라 은찬이 모든 것을 털어놓을 수 있는 키다리 아저씨()가 되었다. 어느 순간 짠하고 나타난 완벽한 왕자님이 아니라, 불안한 터널을 통과한 시간이 그의 목소리에, 믿음직한 어깨에 얹혀 있어 이선균이 만들어낸 멋진 남자의 여유로움은 가짜 같지 않다.
그래서 “을 너무 좋아”하는 그가 성장 영화를 권하는 것은 청춘들에게 던지는 판에 박힌 충고가 아니다. 부딪치고 깨져 쑥쑥 크는, 비 온 뒤 죽순 같은 성장기는 지났지만 고리타분한 아저씨로 남지 않은 자가 건넬 수 있는 선의의 위로다. 치열한 성장과 청춘의 시간을 이제 막 지나온 키다리 아저씨가 들려주는 아이들이 자라는 소리를 들어보자.1. (Dead Poets Society)
1989년 │ 감독 피터 위어
“원래 성장 영화를 좋아해요. 성장물은 이야기 자체가 인위적으로 만들어 낸 게 아니라 공감할 수 있는 부분이 많아서 그런 것 같아요. 성장이란 건 누구나 겪는 일인데, 그게 해피엔딩이든 아니든 아픔도 겪고, 극복해나가는 과정이 있잖아요. 에선 그게 극적으로 잘 표현된 것 같아요. 그래서 본 지 정말 오래됐지만 그 때의 첫 느낌을 아직도 기억하고 있어요.”
적당한 양분과 햇빛을 공급받고 크는 나무처럼, 자라나는 소년 소녀들에게는 좋은 자양분이 필요하다. 그것은 스스로 찾아 낼 수도 있지만 곁에 훌륭한 조력자가 있다면 더할 나위가 없다. 명문 사립 웰튼 고등학교의 학생들에게는 키팅 선생(로빈 윌리엄스)이라는 참된 스승이 있었다. 억눌린 자아를 해방시킬 수 있게 해준 스승 덕에 아이들은 따분한 책상물림으로 자라지 않을 것이다. 떠나는 키팅 선생 앞에서 모두가 책상 위에 올라가 “마이 캡틴”을 외치는 장면은 언제 봐도 울컥한 동시에, 진정한 스승을 가진 그들을 부러워하게 만든다.
2. (陽光燦爛的日子)
1994년 │ 감독 쟝 웬
“제대하고 두 달 정도 비디오 가게에서 아르바이트를 한 적이 있어요. 그 때 발견한 보물 같은 영화죠. 워낙 할 일도 없어서 하루에 비디오를 하나씩 골라 보는데, 이 영화가 참 안 나가는 거예요. (웃음) 그래서 호기심에 틀었죠. 그렇게 아무런 정보도 없이 봐서 더 좋았던 것 같아요. 오래돼서 뚜렷하게 기억하는 건 아니지만 마지막 장면이 참 강렬했어요. 이후에도 주위 사람들에게 꼭 보라고 추천하는 영화예요.”북경은 묘한 도시다. 화려하게 치장한 마천루를 한 걸음만 돌아가면 맨 얼굴을 한 뒷골목이 펼쳐진다. 그리고 그 남루한 거리는 예전 중국의 모습을 아직도 간직하고 있다. 바로 마오준(하우)에게 햇빛이 쏟아지던 날들의 그 거리를. 한 여름의 햇살을 가득 머금은 영화는 어른이 되어 질풍노도의 시기를 떠올리는 마오준의 목소리로 시작된다. 거리를 제 집처럼 삼고 패싸움으로 소일하던 소년은 사랑의 열병도 앓고, 성장의 아픔도 느끼지만 그의 모습이 아름답지만은 않다. 무모한 행동과 폭력을 오가는 소년은 광기 어려 보일 만큼 위태롭다. 그러나 아직 덜 자라 어리석은 시기는 그렇게 불완전한 것이 당연할 지도 모른다. 이 영화로 데뷔한 하우는 1994년 베니스 영화제에서 최연소 남우주연상을 수상했다.
3. (Cidade De Deus)
2002년 │ 감독 페르난도 메이렐레스, 카티아 런드
“저는 영화를 마음먹고 골라보는 편은 아니에요. 오히려 우연히 만나는 걸 즐기죠. 도 작년에 별 기대 없이 봤는데, 너무 재미있었어요. 남미 음악이나 그 문화 특유의 색감, 낡은데 원색적인 느낌 같은 걸 좋아하는데, 이 영화 톤이 딱 그런 거예요. 그리고 무엇보다 배우들의 연기가 정말 쇼킹했어요. 이게 실제인지 영화인지 구분도 안 되고, 어떻게 저런 상황을 연기로 표현했나 싶더라구요. 그 역동적인 에너지에 감탄했어요.”
“리오의 그림엽서에는 이곳이 담겨 있지 않아.” 모두가 그 존재를 인정하고 싶지 않은 빈민촌 ‘시티 오브 갓’. 이곳에서는 선과 악의 구분이 중요치 않다. 그저 오늘 살아남는 것, 내가 살기 위해 남을 죽이는 논리만이 존재하는 무간지옥이다. 범죄가 곧 일상인 사람들을 고스란히 옮겨놓은 영화는 1970년대까지 실제로 벌어졌던 악행에 대한 기록이다. 실제 빈민가에서 캐스팅한 소년들을 데리고 찍은 영화는 피비린내가 진동하는 폭력이 난무하고, CF로 경력을 쌓은 감독의 감각적인 비주얼은 현란하다.4. (Slumdog Millionaire)
2008년 │ 감독 대니 보일
“처음 를 봤을 때 을 보고 받은 느낌이랑 비슷했어요. 물론 장르도, 내용도, 이야기를 푸는 방식도 다르지만 일부러 꾸미거나 예쁘게 포장하지 않은 자연스러운 날 것이 통하는 면이 있더라구요. 제가 하고 싶은 것도 이 영화에 나온 배우들이 보여준 과하지 않으면서도 생동감 있는 연기예요. 그런 면에서 혹시 오버하진 않았나 제 연기를 되돌아보게 됐죠.”
단연 2009년 아카데미 시상식의 주인공이었던 . 그러나 아카데미 최다 수상작이라는 화려한 외피 보다 마음을 건드리는 작은 이야기가 훨씬 매력적이다. 2천만 루피의 상금이 걸린 퀴즈쇼에 출전한 자말(데브 파텔)은 이제 마지막 한 문제만을 남겨놓고 있는 상황. 그러나 우승까지 가는 그의 길은 쉽지 않다. 자말의 퀴즈쇼 출전과 과거의 인생역정이 유려하고 조밀하게 맞물려 돌아가는 스크린에서 눈을 떼기 힘들다. 소년은 결국 백만장자가 될 수 있을까? 탄탄한 원작 가 대니 보일 감독 특유의 스타일과 이상적으로 결합했다.
5. (69)
2004년 │ 감독 이상일
“코미디 영화를 좋아해요. 그런데 오버하고 개연성 없는 애드리브를 하면서 만들어내는 웃음이 아니라, 진지한 상황에서 아픔도 묻어나고 어쩔 수 없이 발생되는 웃음을 좋아해요. 같은 경우는 원작 소설도 재미있게 읽었고, 성장하는 청춘의 이야기면서 그런 코미디적인 요소도 있어서 즐겁게 봤어요. 그 아이들이 하는 돌출 행동들이 청춘의 분출 같은 걸 보여줘서 후련하기도 했구요. 물론 츠마부키 사토시와 안도 마사노부의 연기는 말할 필요도 없죠.”문제아로 찍힌 야자키(츠마부키 사토시)는 허풍쟁이에 즉흥적이다. 전학 온 아다마(안도 마사노부)는 과묵하고, 시니컬하며 반듯하다. 얼핏 어울리지 않는 두 사람은 언젠가부터 함께 사고를 치고, 늘 숨이 턱 밑까지 차오르게 달린다. 그런 아이들에겐 반전과 혁명 투쟁으로 가득 찼던 1969년도 단지 좋아하는 여학생에게 잘 보이기 위한 작업 수단이었을 뿐. 여학생의 환심을 사려고 벌인 학교 점거는 생각보다 심각한 양상으로 전개되지만 그들을 보고 있노라면 좌충우돌 마음 내키는 대로 지를 수 있는 치기가 허용되던 시절이 그리워진다.
“해윤이는 한성이처럼 다 받아주진 않아요.”
“영화 를 찍고 있어요. 디테일이 좋으신 박찬옥 감독님 덕분에 꼼꼼하고 차분한 현장 분위기에서 진행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드라마 로 그를 먼저 만나게 될 것 같다. “6월쯤 찾아 뵐 수 있을 것 같아요. 감독님이 절 염두에 두고 만든 인물이라는데 실제 저랑은 좀 다른 것 같아요. 하하.” 이선균에게서 광고 크리에이터 해윤의 이야기를 들으며 한성의 또 다른 버전이 아닐까 하는 의구심이 들 때쯤 “이 역할은 그렇게 다 받아주지는 않아요. 해윤은 짜증도 내고, 싫고 좋고가 분명한 역할이라 놀 수 있는 여지가 많아요. 오히려 한성이 보다 편하게 할 수 있을 것 같아요.”라며 기대를 증폭시킨다. 다이어트를 종용하는 여름은 싫지만, 다시 한 번 사랑하고 이별하고 성장하는 뜨거운 공간에 서 있을 이선균 덕분에 점점 올라가는 기온이 밉지만은 않다.
사진제공_ 매니지먼트 호두
글. 이지혜 (seven@10asia.co.kr)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