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텐아시아=박미영 기자]
국가부도까지 남은 시간은 단 일주일. 대책팀에서 한시현은 국민의 입장에 서서 분투하지만, 재정국 차관(조우진)은 골든타임을 운운하며 그녀의 의견을 일축한다. 그리고 그는 경제 위기 속에서 새로운 판을 짜려고 IMF 총재(뱅상 카셀)와의 협상을 재빠르게 추진한다. 윤정학은 대한민국 경제가 자신의 예측에 점점 가까워지면서 주머니는 두둑해지는데 뒷맛은 영 씁쓸하다. 백화점의 부도로 어음은 휴지 조각이 되면서 평범한 소시민 갑수의 숨통마저 조여 온다.
영화에서 누군가는 위기를 막으려고, 누군가는 위기를 기회로 삼으려고, 누군가는 위기를 버티려고 사활을 건다. 다른 공간에 머물러도, 같은 시간을 머금은 그들은 얽혀 있다. 관객의 입장에서 그 시대를 겪었든, 겪지 않았든 침이 바짝바짝 마르고 탄식을 내뱉게 된다. 20년이 지난 지금과 별반 다르지 않기에 묘한 기시감을 준다고나 할까.최악의 상황을 막으려고 최선을 다하는 한시현 역을 맡은 김혜수의 연기는 최고였다. 경제 전문 용어에 영어까지 더해진 대사를 노련하게 다루면서, 그 위에 감정의 결까지 담아냈다. 다작(多作) 요정이지만, 늘 다채로운 연기를 보여주는 조우진은 이번 작품에서 고질적인 관료의 끝판왕을 보여줬다. 대한민국의 민낯을 마주하는 유아인의 씁쓰레한 미소도, 소시민의 절절한 아픔이 느껴지는 허준호의 주름진 얼굴도, 짧은 분량이지만 짙은 존재감이 느껴지던 뱅상 카셀의 연기도 인상적이었다.
다만, 추신처럼 덧붙여진 듯한 결말에는 아쉬움이 남는다. 메시지가 강한 작품이기에 결말은 한걸음 물러서서 여백을 주었다면, 관객들이 충분히 채우지 않았을까 싶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권하고 싶다.
응시(凝視)하라 1997.
11월 28일 개봉. 12세 관람가.
박미영 기자 stratus@tenasia.co.kr
영화 ‘국가부도의 날’ 포스터
경제 호황으로 한껏 들떠 있던 1997년, 대한민국. 한국은행 통화정책팀장 한시현(김혜수)은 눈앞에 닥친 경제 위기를 읽어내고, 정부는 뒤늦게 국가부도 사태를 막을 비공개 대책팀을 꾸린다. 남다른 촉을 지닌 금융맨 윤정학(유아인)도 이러한 흐름을 읽어내고, 고려종금에 사표를 던진 후 국가의 위기에 투자하는 역베팅에 동참할 투자자를 모으기 시작한다. 한편 작은 그릇 공장을 운영하는 갑수(허준호)에게 미도파 백화점에 납품을 하는 거래가 들어온다. 그는 현금 대신 어음을 받는 것이 내키지는 않지만 금세 희망에 부푼다.국가부도까지 남은 시간은 단 일주일. 대책팀에서 한시현은 국민의 입장에 서서 분투하지만, 재정국 차관(조우진)은 골든타임을 운운하며 그녀의 의견을 일축한다. 그리고 그는 경제 위기 속에서 새로운 판을 짜려고 IMF 총재(뱅상 카셀)와의 협상을 재빠르게 추진한다. 윤정학은 대한민국 경제가 자신의 예측에 점점 가까워지면서 주머니는 두둑해지는데 뒷맛은 영 씁쓸하다. 백화점의 부도로 어음은 휴지 조각이 되면서 평범한 소시민 갑수의 숨통마저 조여 온다.
영화 ‘국가부도의 날’ 스틸컷
‘국가부도의 날’(최국희 감독)은 1997년 IMF(국제통화기금)와의 구제금융 협상 당시에 비공개로 운영됐던 대책팀이 있었다는 기사로부터 출발한 작품이다. 경제 국치일(國恥日)로 기록되는, 참으로 부끄럽고 아팠던 날, 스크린에서 그날을 제대로 마주하기에 무려 20년이 넘는 시간이 걸렸다.영화에서 누군가는 위기를 막으려고, 누군가는 위기를 기회로 삼으려고, 누군가는 위기를 버티려고 사활을 건다. 다른 공간에 머물러도, 같은 시간을 머금은 그들은 얽혀 있다. 관객의 입장에서 그 시대를 겪었든, 겪지 않았든 침이 바짝바짝 마르고 탄식을 내뱉게 된다. 20년이 지난 지금과 별반 다르지 않기에 묘한 기시감을 준다고나 할까.최악의 상황을 막으려고 최선을 다하는 한시현 역을 맡은 김혜수의 연기는 최고였다. 경제 전문 용어에 영어까지 더해진 대사를 노련하게 다루면서, 그 위에 감정의 결까지 담아냈다. 다작(多作) 요정이지만, 늘 다채로운 연기를 보여주는 조우진은 이번 작품에서 고질적인 관료의 끝판왕을 보여줬다. 대한민국의 민낯을 마주하는 유아인의 씁쓰레한 미소도, 소시민의 절절한 아픔이 느껴지는 허준호의 주름진 얼굴도, 짧은 분량이지만 짙은 존재감이 느껴지던 뱅상 카셀의 연기도 인상적이었다.
다만, 추신처럼 덧붙여진 듯한 결말에는 아쉬움이 남는다. 메시지가 강한 작품이기에 결말은 한걸음 물러서서 여백을 주었다면, 관객들이 충분히 채우지 않았을까 싶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권하고 싶다.
응시(凝視)하라 1997.
11월 28일 개봉. 12세 관람가.
박미영 기자 stratus@tenasia.co.kr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