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넷플릭스 공동 CEO 테드 서랜도스가 계정 공유 유료화 및 수익 분배 등에 대해 이야기했다.

이날 테드 서랜도스 공동 CEO는 "2016년 넷플릭스를 글로벌 론칭했는데 기대하지 않았다. 사람들은 오히려 할리우드의 전형적인 공식인 해외로 콘텐츠를 수출하는 것을 따를 것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우리는 다른 길을 선택했다"라고 밝혔다. 이어 "50개국이 넘는 국가에 투자했다. 지역 관객에게 재미를 주기 위한 것도 있지만, 훌륭한 이야기는 어디서든 나온다는 믿음을 갖고 있다. 믿음을 제대로 입증해준 곳이 없다"라고 덧붙였다.

한국 콘텐츠에 대한 잠재력을 알아본 넷플릭스. 테드 서랜도스는 "4년간 25억 달러(한화 약 3조 2248억 원)를 투자할 예정이다. 물론 차세대 크리에이터를 트레이닝하는 것 또한 포함"이라고 짚었다. 그러면서 한국 콘텐츠만이 가진 특징 및 강점에 대해 "대단한 스토리텔링의 힘을 가진 나라다. 한국의 스토리텔링은 어느 정도 역사를 반영하는 것 같다. 흥미로운 건 패션, 음악, 음식 등 함께 가는 것 같다"라고 설명했다.

'오징어게임'을 제작한 제작사 퍼스트맨스튜디오 김지연 대표는 "로컬 작품이 글로벌을 만족시킬 작품이 분명히 존재한다. (넷플릭스처럼) 글로벌 시장으로 나갈 수 있는 플랫폼이 존재하는 것만으로도 제작사는 힘이 되는 부분이 있다. 작품 선택과 마케팅, 배급에 많은 신경을 써주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D.P.' '지옥' '정이' 제작사 클라이맥스스튜디오 변승민 대표는 "넷플릭스와 작업하며 들은 가장 많은 질문은 수익 분배다. 정해진 룰이 있다 보니 흥행에 대해 지속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 수 있는 고민이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많이 하게 되더라"고 털어놓았다. 이어 "드라마를 제작할 때 수익에 있어 PPL이나 창작자들이 PPL을 시청자들이 불편하지 않게 창작한다고 생각한다. 지속이 가능한 창작 시스템이 되도록 수익배분이 현실적인 룰이 생겼으면 한다"라고 바랐다.

글로벌 시청자가 가장 궁금한 건 넷플릭스 계정 공유 유료화에 대한 부분이다. 테드 서랜도스는 새로운 계정 공유 방식을 언제부터 한국에 적용되느냐는 물음에 "계정 공유 방식에 관한 경우에는 글로벌로 지속할 예정이다. 이 부분에 대해서 발표할 것은 없다. 기대해주시길 바란다"라고 전했다.
강민경 텐아시아 기자 kkk39@tenasia.co.kr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