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제공=JTBC
사진제공=JTBC

대한민국에는 더하지도 빼지도 않아야 할 중요한 역사가 있죠. 슬프지만 찬란한, 아프지만 결코 잊어서는 안 될 우리의 자부심 바로 민주화 운동입니다. 민주화 운동은 우리의 현재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역사이기 때문에 민주화 운동을 조금이라도 왜곡하거나 폄하하려는 의도가 조금이라도 느껴진다면 금방 논란이 되곤 합니다.

JTBC의 새 드라마 '설강화'가 방송 전부터 민주화 운동 폄훼 및 안기부 미화 논란에 휩싸였습니다. 작품 소개와는 조금 다른 미완성 시놉시스가 유출되면서 논란이 시작됐는데요. 어떤 부분이 왜곡과 미화의 우려가 있는지 짚어보겠습니다.

먼저 '설강화'의 소개는 이렇습니다. 1987년 서울을 배경으로 어느 날 갑자기 여자 기숙사에 피투성이로 뛰어든 명문대생 수호(정해인 분)와 서슬 퍼런 감시와 위기 속에서도 그를 감추고 치료해준 여대생 영초(지수 분)의 시대를 거스른 절절한 사랑 이야기.
정해인, 블랙핑크의 지수 / 사진=텐아시아DB
정해인, 블랙핑크의 지수 / 사진=텐아시아DB
작품 소개만 보자면 민주화 운동에 앞장서던 대학생이 군인에게 쫓기다 여자 기숙사에 숨어든 이야기 같습니다. 물론 이렇게만 전개된다면 아무런 문제가 없죠. 하지만 여주인공의 이름이 민주화 운동의 상징적 인물인 천영초 선생님을 떠올리게 한다는 점, 시대를 거스른 이야기라는 점이 수상합니다.

온라인을 통해 '설강화'의 시놉시스 일부가 유출되면서 '설강화'가 민주화 운동을 폄훼하고 군부독재 및 안기부와 간첩을 미화하려는 내용이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메인 남주가 알고보니 남파 간첩이었다는 점, 서브 남주가 '대쪽같은 인물'로 묘사되는 안기부 팀장이라는 점 등이 논란의 소지가 있는 부분이었죠.

'설강화'의 문제를 짚기 전 '설강화'의 시대적 배경이 되는 1987년이 어떤 시기였는지 알 필요가 있습니다. 1987년은 전국이 반독재, 민주화 목소리로 덮인 해였는데요. 고(故) 박종철 열사 고문 치사 사건과 고(故) 이한열 열사의 사망 등의 큰 사건이 있었고, 분노의 열기가 6월 민주 항쟁으로 이어졌습니다. 이 시기 안기부는 민주화 운동에 앞장서던 시민을 간첩을 몰아 끌고 와 고문하고 죽게 만든 조직입니다. 운동권과 안기부, 간첩은 한 시대에 함께 할 수 없다는 것이 역사의 진실이죠.
영화 '1987' 스틸컷
영화 '1987' 스틸컷
다시 '설강화'로 돌아와서 우려가 되는 부분을 살펴보겠습니다. 1987년은 많은 사람들이 민주화를 외치다 간첩이라는 누명이 씌워져 고문을 당하고 죽임을 당했고 그 피해자가 아직 남아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민주화 운동 때 간첩이 있었다는 설정부터가 '설강화'의 문제입니다. 민주화 운동을 폄훼하기 위해 간첩이라는 조작을 만들어냈던 시절의 군부정권과 안기부인데, 간첩의 등장은 군부세력과 안기부에게 정당성을 부여하는 장치가 되어 버린다는 것이죠.

안기부에게 대쪽 같은, 넘치는 열정 같은 수식어를 붙인 것만으로 미화라는 지적도 있습니다. 군부의 명으로 시민을 고문하고 죽이는 것이 일상이었고, 당연했던 안기부 요원에게 평범한 성품과 서사를 쥐어주는 것 자체가 문제라는 겁니다. 서사를 준 순간부터 억울하게 끌려가 죽었던 분들도, 그 피해를 안고 살아가고 있는 민주 열사에 대한 모독이기 때문이라는 것이죠. 민주화 운동을 배경으로 한 영화는 많았지만 그 누구도 안기부를 평범한 인간으로 묘사하지 않았습니다.

이러한 움직임에 JTBC는 내용 일부까지 공개하면서 입장문을 내놨습니다. 하지만 말장난 같은 입장문은 이해불가였고, '설강화' 폐지를 위한 국민청원은 16만에 가까워졌습니다.

JTBC는 '설강화'는 민주화 운동을 다루는 드라마가 아니라 80년대 군사정권을 배경으로 남북 대치 상황에서의 대선정국을 풍자하는 블랙코미디라고 밝혔습니다. 오히려 80년대 군부정권 하에 간첩으로 몰려 부당하게 탄압받았던 캐릭터가 등장한다며 군부정권, 안기부 등 기득권 세력이 권력유지를 위해 북한 독재 정권과 야합해 음모를 벌인다는 가상의 이야기라고 설명했죠.
영화 '화려한 휴가' 스틸컷
영화 '화려한 휴가' 스틸컷
1987년 민주화 운동과 정치는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오히려 이 시기를 배경으로 드라마를 만들면서 정국만 강조하고 민주화 운동을 지운다는 것 자체가 민주화 운동의 폄훼죠. 양김(고 김영삼, 김대중 대통령)의 분열로 군부 세력이었던 노태우가 대통령에 당선되긴 했지만, 이 흐름을 어떻게 블랙코미디로 표현할 수 있는지 의문이라는 의견이 다수입니다. 민주주의를 외친 정치인과 운동권을 간첩으로 조작했던 군부세력의 경쟁이 블랙코미디라는 말로 끝낼 수 없다는 것이죠.

군부정권, 안기부 등 기득권 세력이 권력유지를 위해 북한 독재 정권과 야합해 음모를 벌인다는 설정도 위험합니다. 군부정권과 안기부는 권력유지와 민주화를 막기 위해 민주주의 외친 시민을 간첩으로 몰아 고문하고 죽였습니다. 북한 간첩이라고 조작한 군부정권인데 '북한 독재 정권과 야합해 음모를 벌인다'. 이 설정은 가상이 아니라 왜곡입니다.
[퇴근길뉴스] 팩트로만 따져 보는 '설강화' 논란
간첩 활동과 안기부 요원의 미화에 대해서도 해명했습니다. 드라마 속 안기부 요원은 ‘간첩을 잡는 게’ 아니라 '만들어내는' 동료들에게 환멸을 느낀 뒤 해외파트에 근무한 안기부 블랙요원 설정이라면서 안기부에 대한 비판적 관점을 부각하는 캐릭터이자 원칙주의자로 묘사된다고 했습니다.

이 말 자체가 안기부 미화라는 걸 JTBC는 모를까요? 1980년대 안기부에 환멸을 느끼고 조직에 등을 돌렸던 안기부 요원은 한 명도 없었습니다. 안기부 때문에 피해를 입고 고통스러워하는 분들은 아직 많이 계시죠. 그랬던 안기부에게 정의를 주고 원칙주의자 설정을 준다? 그게 바로 미화입니다. 그리고 해외 파트에 근무한 기부 블랙요원이라고 넘어가려 하지만, '수지킴 간첩 조작 사건'이 안기부 해외파트도 동조한 일임을 이미 많은 방송에서 보여줬습니다.
[퇴근길뉴스] 팩트로만 따져 보는 '설강화' 논란

1987년은 아주 먼 과거가 아닙니다. 우리 곁에 살아있는 역사의 증거와 증인이 있습니다. 작가와 감독이 창작의 자유를 외치며 드라마를 만들 수 있는 것도 시청자가 옳다 그르다 목소리를 낼 수 있는 것도 다 이러한 과거를 밟고 섰기 때문이죠.

대한민국이 이룬 민주주의는 그 누구의 영향도 받지 않고 시민의 손으로 얻은 결과입니다. 아시아에서 거의 유일하게 국민의 힘으로 독재 정권을 몰아내고 완전한 민주주의를 이룬 나라고 군부독재의 폭력과 폭정에 맞서 일궈낸 민주주의죠.

미완성된 시놉시스만으로 16만 명에 가까운 국민이 목소리를 내는 이유도 바로 이 때문입니다. 우리의 자부심을 지키기 위해서요. 대중은 조금의 미화도, 왜곡도 허용해선 안된다고 입을 모읍니다. 아주 작은 부분이라도 드라마 내용을 통해 아주 조금씩 왜곡과 미화가 시작되기 때문이라는 것이죠.

지난달 조선 건국과 왕을 왜곡하고 비하하려 했던 SBS '조선구마사'는 대중의 힘만으로 2회 만에 방영 폐지됐습니다. 처음은 어려워도 두 번째는 쉽습니다. 대중이 한 마음 한 뜻으로 '설강화'의 왜곡과 미화에 대한 우려를 표하고 있습니다. 제작진은 구구절절한 입장문 대신 대중이 지적한 부분은 완벽하게 고치고 명확한 입장을 밝혀야 할 때 같네요.

우빈 기자 bin0604@tenasia.co.kr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