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에 수양은 웃었다. 무수한 사람들을 베고 천하를 얻은 대신 사랑하는 딸 세령(문채원)과 반목했던 서릿발 같은 세도가, 혹은 철혈 군주 세조는 비록 눈 먼 낭군일지라도 사랑하는 이와 행복하게 살아가는 딸의 모습을 먼발치에서 보고 돌아섰다. KBS <공주의 남자>가 묘한 여운을 남기는 해피엔딩으로 완성될 수 있었던 것은 바로 그 아비, 수양대군을 연기한 배우 김영철의 눈빛 덕분이었을 것이다.

올해로 연기 경력 38년, KBS <태조 왕건>의 광기 어린 궁예, KBS <아이리스>의 미스터리한 백산, 영화 <달콤한 인생>의 카리스마 넘치는 보스, SBS <인생은 아름다워>의 자상한 아버지 양병태 등 인상적인 캐릭터들을 남겨 왔지만 그에게도 혹독한 신인 시절은 있었다. 선배들의 잔심부름을 도맡아 하면서도 칭찬받기는커녕 구박당하기 일쑤라 “밤 촬영할 때 달을 보며 울었던” 기억이 생생하지만 “나는 연기를 하면서부터 사람이 됐다. 어떤 일이 있어도 선배들을 연기자로서 존경했고 배울 게 많았으니까 참을 수 있었다”고 회고하는 김영철은 이제 현장에서 후배들이 불편해 할까 슬그머니 자리를 비켜주기도 하는 세심한 가장 같은 선배가 되었다.

그래서 자신의 연기 인생에 대해서도 거창한 수식 대신 “배우가 좋았고, 이게 아니면 할 수 있는 게 없었다. 공부도 못했지, 싸움을 시라소니같이 잘 한 것도, 돈이 많았던 것도 아니니 그저 열심히 했다. 하지만 그것 또한 남들이 대본 열 번 볼 때 나는 열 한 번 본 정도의 작은 차이일 뿐”이라 덤덤하게 털어놓는 김영철은 나이들 수록 무게감이 더해지는 배우다. 그리고 희끗하게 센 머리카락에도 여전한 결기와 혈기가 느껴지는 그가, 자신이 젊었을 때 즐겨 들었던 음악들을 추천했다.




1. Eagles의 < Hell Freezes Over >
김영철이 주저 없이 이글스의 ‘Hotel California’를 고른 것은 그리 놀라운 일이 아니다. 그동안 ‘한국인이 사랑하는 팝 베스트 10’과 같은 설문조사에서 십 수 년 째 부동의 상위권을 차지해 왔다는 것만으로도 ‘Hotel California’에 대한 더 이상의 설명은 필요 없을 것이다. 사실 뚜렷한 메시지나 인상적인 후렴구보다도 곡 자체의 중독적인 분위기나 각자가 다르게 갖는 이미지야말로 이토록 많은 사람들이 오랫동안, 심지어 대를 이어 이 곡을 사랑하는 이유일 것이다. 70년대 초반 로스앤젤레스에서 결성된 록밴드 이글스는 그래미상을 여섯 차례 수상했고 전 세계적으로 1억 2천만 장의 앨범을 판매했으며 올 3월 첫 번째 내한공연으로 수십 년을 기다려 온 국내 팬들과 만났다.



2. Leonard Cohen의 < I`m Your Man >
레너드 코헨에 대해 잘 알지 못하는 젊은 세대일지라도 느릿한 전주와 함께 ‘If You Want A Lover, I`ll Do Anything You Ask Me To’라는 가사를 나지막이 읊조리는 그의 목소리는 귀에 익을 것이다. 김영철이 추천한 두 번째 앨범, 레너드 코헨의 < I`m Your Man >의 타이틀곡 ‘I`m Your Man’은 앨범이 발표되었던 80년대 후반 세계적으로는 물론 국내에서도 엄청난 히트를 기록했다. <달콤한 인생>에서 냉철하지만 사랑 앞에 이성을 잃는 조직 보스를, MBC <위기의 남자>에서 외로운 중년 남성의 갈등을 섬세하게 그려냈던 김영철과 이 로맨틱하다 못해 맹목적인 애정을 그린 노래가 특히 잘 어울린다는 점도 흥미롭다.



3. 한대수의 <멀고 먼 길>
최근 한 TV 다큐멘터리에 출연한 한대수는 자신의 삶에 대해 말했다. “웃고 살 수가 없어. 그래서 자꾸 행복의 나라, 기쁨, 사랑, 평화를 찾는 거라고.” 그 시절 미국 유학까지 갔을 만큼 엘리트였던 핵물리학자 아버지가 가정을 버리며 시작된 험난한 개인사, 그리고 엄혹했던 시대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음악으로 숨 쉬고자 했던 그가 ‘물 좀 주소’, ‘행복의 나라’처럼 시대를 앞서 간 곡들을 만들어낸 것은 그가 얼마나 절박하게 삶과 싸워왔는지를 보여준다. ‘물 좀 주소’가 발표되었던 70년대 중반, 스물 두 살의 청년이었던 김영철이 이 피 끓는 한대수의 음악들을 사랑했던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일 것이다.



4. Bob Dylan의 < Dylan:Special Edition >
20세기의 가장 위대한 아티스트 가운데 한 사람, 살아 있는 전설, 시대의 아이콘 등 밥 딜런에 대한 수식어는 셀 수 없이 많다. 그러나 그를 가장 직관적으로 받아들이고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은 역시 밥 딜런의 음악을 직접 들어보는 것이다. 1973년 발표된, 그의 가장 유명한 곡 중 하나인 ‘Knockin` On Heaven`s Door’ 역시 당시 20대 초반이었던 김영철을 비롯한 전 세계의 청년들로부터 뜨거운 사랑을 받았다. 먹고 살기 위해 연기를 했지만 “일을 위해 남에게 아부한 적도, 잘 봐달라고 돈 갖다 준 적도 없다. 보통은 저 위로 올라가는 게 성공이라고 생각하지만 지나고 보면 아무것도 아니다. 마음을 속이지 않고 자존심 버리지 않고 뒤돌아 후회하지 않으면 된다”는 그의 말에서도 여전히 청년의 기운이 느껴진다.



5. 김현식의 <비처럼 음악처럼>
“보통 사람이 50년을 살면 계속 사는 거지만 배우는 다른 인물로 1년, 또 다른 인물로 1년씩 찢어져 사니까 자기 인생을 그만큼 살지 못한다. 외국에 이민 간 친구들을 보면 30년 전에 간 사람들은 30년 전 감성을, 5년 전에 간 사람들은 5년 전의 감성을 갖고 산다. 그런 느낌이다. 배우를 시작한 시점부터 해서 어느 날 보니까 내 나이가 60이 다 됐다. 나는 지금도 서른 살 같은데”라는 김영철의 말대로 사람의 감성은 어느 시점에 멈추기도, 어느 순간 과거로 잠시 회귀하기도 한다. 故 김현식이 1986년 발표한 3집 앨범 <비처럼 음악처럼> 역시 듣는 이를 25년 전 그 시절로 돌아가게 만드는 음악이다. 타이틀곡 ‘비처럼 음악처럼’을 비롯해 앨범 자체의 완성도는 물론 김종진(기타), 전태관(드럼), 박성식(키보드), 장기호(베이스), 그리고 앨범에는 참여하지 않았지만 故 유재하가 키보드를 쳤다는 사실 또한 전설과도 같은 이야기다.




평생 연기를 업으로 삼고 살아온 김영철에게도 물론 고비는 있었다. “이걸 해서 먹고 살 수 있을까, 이 사람들을 다 끌고 갈 수 있을까. 그런데 결국 답은 하나다. 가보자, 대신 자존심을 잃고 가면 안 된다. 자존심이 결국에는 의지가 되고 자기 확신이 되기 때문이다. 3, 4년 동안 일이 하나도 없어서 놀 때가 있었는데 후배들한테 그랬다. ‘잘 나갈 때 멋있는 건 당연해. 못 나갈 때 멋있어야지’ 하하.” 그래서 인생에 더 이상의 어떤 욕심도 없이 “남자가 이 나이가 되면 명예다. 명예라는 거창한 말보단 내 이름 더럽히지 않고 가져가고 싶은 정도다. 돈은, 남한테 빌리지 않고 자식들 가르칠 수 있을 정도면 됐지, 그렇게 많이 필요하지는 않더라”고 말하는 이 남자, 여전히 멋있다.

<10 아시아>와 사전협의 없이 본 기사의 무단 인용이나 도용,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이를 어길 시 민, 형사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