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에도 이경규는 여전히 ‘사랑과 배려의 아이콘’이 되겠다고 선언했지만, 말처럼 쉽진 않았다. KBS <해피선데이> ‘남자의 자격’(이하 ‘남격’)에서 동생들을 다그치는 것은 물론, 게스트를 치유하는 콘셉트의 토크쇼인 SBS <힐링캠프>에서조차 ‘버럭’ 캐릭터는 죽지 않았다. 그리고 지난 30일, SBS < SBS 연예대상 >에서 동료들의 최우수상 수상 축하도 거부한 채 끊임없이 대상 욕심을 부리며 2012년을 마무리했다.비록 ‘사랑과 배려의 아이콘’이 되진 못했지만 여전히 이경규는 예능계의 어떤 아이콘이며, 그 자리를 지키기 위해 30년 간 쉬지 않고 달려 온 그는이제 “호랑이가 아니라 집 지키는 개처럼 된 것 같다”며 멋쩍게 웃는 데뷔 30년차 개그맨이자, 나이가 들수록 웃음이 없어져서 힘들다는 50대 중년이 되었다. 10년 뒤에는 반드시 영화감독이 되겠다고 힘주어 말할 땐 소년의 열정이, 코미디부터 드라마까지 모두 혼자 하는 ‘이경규 쇼’를 마지막 히든카드로 숨겨놓았다고 말할 땐 프로의 연륜이 묻어나는 이경규를, 본격적인 연예대상이 시작되기 일주일 전에 만났다.대화를 나눌수록‘버럭’보다 ‘울컥’하게 되는 그의 힐링캠프.

Q. 영화 <전국노래자랑> 제작은 잘 되고 있나.

이경규: 지금 김해에서 찍고 있는데 촬영은 50% 정도 진행됐다.



Q. KBS <전국노래자랑>을 모티브로 삼은 특별한 이유가 있나.

이경규: 노래를 통해 뭔가 말하고 싶은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고 싶었다. 진짜 노래자랑에 나오는 일반인처럼 보여주기 위해 주인공을 비롯한 몇몇 배우를 제외하고는 전부 신인을 캐스팅했다. 영화 <복면달호>가 한 분야에서 다른 분야로 옮겨갈 때 생기는 편견을 깨는 영화였다면, <전국노래자랑>은 꿈을 찾아가는 영화다. 그리고 오락 프로그램을 가지고 영화를 만드는 게 처음인데, 오락 프로그램으로도 충분히 좋은 영화를 만들 수 있을 것 같았다.



Q. 영화는 짧은 시간 안에 극적인 스토리를 보여줘야 하는데 긴 역사를 가진 오락 프로그램으로 그걸 구현하는 게 쉽진 않았겠다.

이경규: 시나리오 단계에서 어려운 부분이 많았지만 온 가족이 보는 즐거운 영화라는 콘셉트에 맞게 만들었다. 대중성이 강해서 중간에 봐도 스토리 전개에 전혀 지장이 없는 만만한 작품이다. (웃음) 요즘 영화다운 영화가 많이 나오는데 <전국노래자랑>은 완전 힘을 빼고 아날로그 식으로 만들었다.

“이 나이 돼서 이미지 관리하는 건 좀 그렇지 않나”

이경규│“프로그램을 통해서 사람이 됐다”-1
Q. <복면달호> 때와 비교하면 섭외를 비롯한 제작 과정은 어땠나.

이경규: 한 번의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어떻게 하면 잘할 수 있다는 걸 터득했기 때문에 편했다. 마음고생도 덜했고. 그 때는 충무로와 대중들에게 전혀 인정을 못 받았다. 아니 무슨 영화를 하냐고. <복면달호>로 관객 수가 180만 가까이 들고 나름 후지지 않은 오락 영화를 내놓으니까 어느 정도 인정을 받았다.



Q. <복면달호>에서 트로트를 부르는 락스타 봉달호(차태현)처럼 편견을 극복한 셈이다.

이경규: 편견이라기보다는 어차피 처음 도전하는 사람들에게는 그런 게 있다. 무명 배우들이 조연급으로 출연할 때처럼. 그거 깬다고 고생을 좀 했다. 영화를 통해 보여주고 싶은 게 있으니까 내 모습이 영화 속에 전혀 없다고 할 순 없지만, 지금은 내 생각보다는 대중들한테 즐거운 영화, 재밌는 영화를 만들었다는 인정을 받는 게 먼저다. 앞으로 2~3년 동안은 코미디 영화를 만들 생각이다. 아무리 엄숙한 영화를 만들어도 그 안에 유머를 넣어야 된다. 그게 내 분야니까. 옛날에는 영화가 웃기기 진짜 쉽다고 생각했는데, 직접 만들어 보니까 정말 어렵더라. 스토리도 있어야 되고 캐릭터도 살아야 되고 타이밍도 맞아야 한다. KBS <개그콘서트>에서 5분 웃기는 것과는 정말 다르다. 한두 편 더 하게 되면 심도 있는 영화를 만들 수 있겠지.



Q. 이경규가 만들고 싶은 심도 있는 영화는 어떤 영화인가.

이경규: 평범한 곳에서 비범함을 찾아내는 영화를 좋아하지, 아예 비범한 것을 다루는 영화를 좋아하는 취향은 아니다. 가령, 술 먹고 필름이 끊어졌는데 그 다음 날 아침에 일어나서 걱정하는, 그런 생활적인 영화를 만들고 싶다. 영화 <범죄와의 전쟁>도 웃기지 않았나? (최)민식이를 좋아해서가 아니라 가장의 인생이 참 슬펐다. 페이소스가 있는 영화를 만들 생각이다.



Q. ‘남격’도 중년 가장의 평범한 인생을 담아냈기 때문에 초반부터 반응이 좋았던 것 같다.

이경규: 처음 할 때부터 ‘죽기 전에 해야 될 101가지’라는 콘셉트가 잘될 거라 생각했다. 내가 리얼 버라이어티에 적응을 잘 못했다는 얘기를 많이 듣는데, 리얼 버라이어티의 원천인 몰래카메라를 했던 사람이 바로 나다. 내가 항상 주장하는 게 리얼리티다.



Q. 다른 리얼 버라이어티와는 달리 ‘남격’은 일상생활에까지 침투하는 프로그램인데, 방송에서 내 삶을 드러내는 것에 대한 부담감은 없었나.

이경규: 난 방송과 생활이 거의 비슷한 사람이다. 하하. 가정을 보여주는 건 좀 그렇지만 내가 근본적으로 갖고 있는 성향과 취향에 대해서는 감추거나 미화시키고 싶지 않다. 평소에도 잘 웃거나 친절한 편이 아니다. 그렇다고 남과 다투는 건 아니지만 연예인이니까 과도한 친절을 베풀거나 참는 건 없다. 내가 기분 나쁘면 하지 말라고 얘기한다.



Q. 까다로운 아저씨 이미지를 굳이 숨기지 않는데 젊은 시청자들이 어떻게 받아들일지 걱정되진 않나.

이경규: 전혀 고민하지 않는다. 어차피 좋아할 사람은 좋아하고 싫어할 사람은 싫어한다. 내가 30대면 모를까 이 나이 돼서 이미지 관리하는 건 좀 그렇지 않나. (웃음) 내가 갈 길을 꾸준히 가면 내 색깔을 좋아하시는 분들이 마지막에 남을 거라고 생각한다. 다 데리고 갈 순 없다.



Q. <힐링캠프>를 봐도 그런 고민을 하지 않는 것 같다. (웃음)

이경규: <힐링캠프> 콘셉트도 ‘상대방 비위맞추지 말자’다.

“<힐링캠프>를 하면서 연예인들에 대한 생각이 많이 바뀌었다”

이경규│“프로그램을 통해서 사람이 됐다”-1

Q. 게스트들도 그런 직설화법을 잘 받아주던가.

이경규: 처음에는 좀 어색해했다. 사실 내가 방송에서 버럭하고 고함지르는 것도 자세히 보면 남한테 그러는 게 아니라 나한테 그러는 거다. (웃음) 대놓고 게스트의 사생활을 물어보는 게 어색했다. “죄송스럽지만”이라든가 “본인은 어떻게 생각할지 모르겠지만”이라고 빙 둘러놓고 찔렀다. 그러면 그 사람도 즐겁게 털어놓고, 또 <힐링캠프>를 미리 보고 나오는 게스트들은 우리가 돌직구를 던져도 편안하게 얘기하시더라.



Q. 학력 논란이나 이혼 심경고백처럼 연예인이기 때문에 겪는 어려움을 털어놓는 게스트들이 많은데, MC의 입장보다 연예계 선배로서 마음이 쓰일 때도 있겠다.

이경규: <힐링캠프>를 하면서 연예인들에 대한 생각이 많이 바뀌었다. 정말 평탄한 삶은 없는 것 같다. 어릴 때 했던 고민은 세월이 가면 해결해주지만 나이가 먹으면서 찾아오는 고민은 해결할 시간이 별로 없다. 그래서 얘길 듣다보면 가슴이 아프다. 다행히 우리 프로그램에 나오면 다 잘돼서 나간다. 그게 자랑거리다. 우리끼리 농담처럼 김제동 하나만 되면 다 잘 된다고 얘기한다. 하하.



Q. 특히 신은경 씨는 <힐링캠프> 출연 이후 드라마에 캐스팅되기도 했다.

이경규: 신은경 씨는 내가 먼저 연락해서 몇 번 만나서 밥도 먹고 얘기도 나눴다. 딱히 무슨 얘기를 해줬다기보다는 연예계에 친구가 별로 없는 것 같아서 선배 입장에서 버팀목이 되어줬다.



Q. 과거 인터뷰에서 “영화는 남지만 코미디는 남지 않기 때문에 영화를 만든다”고 말했는데, 자신의 생활과 생각을 바꿔 준 ‘남격’과 <힐링캠프> 정도면 충분히 남는 프로그램이 아닐까.

이경규: 그렇지. 난 프로그램을 통해서 사람이 됐다. ‘남격’을 하면서 담배도 끊고 식스팩도 만들고 배낭여행도 가보고, 아직도 공황장애 약을 먹지만 <힐링캠프>를 하면서 그런 얘기를 편하게 할 수 있게 됐고 런던 올림픽도 가봤다. 예전엔 축구만 보러 다녔는데 런던에 가서 올림픽 메달 따는 걸 보니까 월드컵과는 다른 느낌이더라. <힐링캠프>가 아니었으면 언제 올림픽 개막식을 가보겠나. 인생에서 많은 변화를 겪었다.



Q. 예전엔 소소한 취미를 가져보고 싶다는 생각을 안했나.

이경규: 전혀 못했다. 그 전에는 방송만 하고 술만 먹고 돌아다녔다. ‘남격’을 하면서 많은 걸 알아 가고 있는데 세월이 빨리 가니까 아깝고, 프로그램도 더 하기 힘들어진다. 식당이 두 개만 있으면 장사가 잘 되는데 여러 개 생겨서 서로 나눠먹다 보니까 메뉴도 비슷해지고 뭘 만들어도 새로워 보이지 않는다. 갈수록 어렵다.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