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편에는 63빌딩이 선명하게 육안으로 보이고, 다른 한 편에는 유람선이 떠다니지만 문명과는 거리가 먼 미지의 땅. 영화 <김씨 표류기>에서 정재영이 연기한 김 씨가 표류한 밤섬은 그런 곳이다. 한강 너머 육지의 사람들은 종종 밤섬을 바라보면서도 그의 존재를 눈치 채지 못한다. 때문에 그와 도시 사람들 사이의 물리적 거리는 거의 무의미할 정도로 가깝지만 그들 사이의 심리적 간극은 킬로미터나 피트 같은 단위로는 잴 수 없을 만큼 크다. 이런 이중적 거리는 대중과 배우 정재영 사이의 거리감과도 유사하다. 역대 관객 순위 3위 <실미도>와 8위 <웰컴 투 동막골>, 370만 관중을 모은 <신기전>과 같은 흥행작에서 주연을 맡았지만 사람들은 그를 연기파 배우로는 인식할지언정 친밀감을 지닌 배우로 여기지 않는다. 조금은 억울할 수도 있는 이 이중적 잣대는, 하지만 영화계에서 정재영만이 갖고 있는 독특한 포지셔닝을 보여주기도 한다.

당신은 정재영에 관해 무엇을 알고 있나요?

<초록물고기>에서 카바레 손님 역을, <기막힌 사내들>에선 초보 택시운전사 역을 맡던 그가 대중에게 비교적 뚜렷하게 얼굴을 알린 것은 2001년작 <킬러들의 수다>에서의 재영 혹은 2002년작 <피도 눈물도 없이>의 독불을 연기하면서부터였다. 깔끔한 매력의 저격 전문 킬러 재영과 광기에 가까운 폭력성을 가진 깡패 독불은 동일한 신인이 연기했다고는 믿기 어려울 만큼 거리가 먼 캐릭터였고, 때문에 정재영의 첫인상은 어떤 단일한 하나의 이미지로 각인되지 않는다. 이것은 그 이후의 행보에서도 마찬가지다. 가령 그를 가장 오래 수식했던 표현 중 하나인 ‘장진의 페르소나’ 역할이 따져보면 생각만큼 많지 않다는 건 흥미로운 사실이다. 장진 감독 연출로 한정했을 땐 <아는 여자>와 <거룩한 계보>의 동치성 정도이고, 각본까지 포함했을 때에야 <웰컴 투 더 동막골>의 리수화와 <바르게 살자>의 정도만, <공공의 적 3>의 이원술을 추가할 수 있다. 그나마도 비슷한 부류로 묶을 수 있는 건 어수룩한 듯 모범적인 동치성(<아는 여자>)과 정도만(<바르게 살자>) 정도다.

그의 작품을 단일하게 묶기 어렵다는 사실만으로 그에 대한 인상이 희미하다는 걸 설명하긴 어렵다. 더 중요한 건 그의 연기엔 ‘정재영 표’라는 꼬리표가 없단 사실이다. 단지 그의 몸과 말을 통해 만들어진 캐릭터만이 남을 뿐이다. <실미도>에서 주인공 강인찬(설경구)의 라이벌 역할을 했지만 그의 출연 사실을 퍼뜩 떠올리지 못하는 건 결코 연기 능력이나 분량의 문제가 아니다. 설경구의 강인찬이 과거 그가 연기했던 다른 역할들을 연상케 하는 울분의 폭발을 보여줬던 것과 달리 “글러브 같은 거 없이 제대로 한 판 붙자”고 덤비는 한상필은 그 거친 성격에도 불구하고 독불과는 전혀 다른 인물이다. 그는 그 두 개 역할을 모두 성공적으로 연기했지만 ‘정재영은 이런 류의 역할을 잘 한다’는 명제를 만들지 않았다. 때문에 스타라는 개념이 배역을 넘어 그 자신에 대한 관심을 모으는 존재라면 정재영은 분명 스타와는 거리가 멀다. 대신 그는 “필모그래피로만 기억되는 배우”가 되고 싶어서 “정재영이라는 사람을 괜히 대중에게 드러내고 싶지 않다”는 자신의 바람을 꼿꼿하게 지켜나갈 뿐이다.

아무것도 아니지만 무엇이든 될 수 있는 조커

하지만 배우로서 희미하게 기억된다는 사실은 역설적으로 캐릭터를 더욱 선명하게 만들어주는 계기가 된다. 예를 들어 <공공의 적 3>의 이원술은 기본적으로 관객도 속일 만큼 의리 있는 척하지만 결국 자신의 이익이 우선인 악인일 뿐이다. 하지만 만약 여기에 의리 있는 깡패 동치성(<거룩한 계보>)의 이미지가 조금이라도 덧칠되었다면 이원술 캐릭터의 미묘한 균형감은 그대로 한쪽으로 쏠려 무너졌을 것이다. 그것은 그의 말대로 “관객에게도 마이너스인 상황”이다. 그래서 그는 화려하고 유명한 자리보다 그저 ‘아는 남자’로 기억되는 것에 만족한다. 바로 여기서 그는 이중적인 위치에 서게 된다. 즉 감독에게 “<김씨 표류기>처럼 신선한 시나리오를 받아볼 수 있는” 신뢰감 있는 배우인 동시에 대중에겐 아직까지도 장진 감독 영화에서 몇 번 본 연기 잘하는 배우가 되는 것이다. 때문에 캐릭터에 대한 설정은 있지만 거기에 가장 잘 어울리는 누군가가 떠오르지 않을 때 정재영은 어떤 패도 아니지만 모든 패가 될 수 있는 일종의 조커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다. 보통 미남 배우의 범주엔 들지 않는 그가 <신기전>의 설주처럼 남성적 매력이 있는 인물을 연기할 수 있었던 건 단순히 헤어스타일의 도움만으로 가능한 건 아니다.

그래서 <김씨 표류기>가 그의 전작들처럼 흥행을 하고 대중적 인기를 끈다 하더라도 아마 정재영은 그가 서 있는 섬에서 탈출하지 않을 것이다. 그것은 드라마나 CF 등에 도전하지 않는 것에 대해 “무조건 한다고 다 된다고 믿는 건 바보 같은 생각이고 잘할 수 있는 걸 잘하는 게 중요”하다고 답하는 이 배우의 고집이자 생존 전략이기도 하다. 그는 자신이 잘할 수 있는 그 영역 안에서 김 씨처럼 풍족한 자기만의 표류 생활을 누려왔고 앞으로도 누릴 것이다.

글. 위근우 (eight@10asia.co.kr)
편집. 이지혜 (seven@10asia.co.kr)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