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생’ 김원석 감독
‘미생’ 김원석 감독
‘미생’ 김원석 감독

젊은 세대들의 이야기를 아름답고 구슬프게 풀어내었던 김원석 감독에게 ‘미생’이 다가온 것은 어쩌면 운명이었다. 장그래(임시완)와, 오상식 차장(이성민)처럼 말이다. 케이블채널 tvN 8주년 특별 기획드라마 ‘미생'(극본 정윤정,연출 김원석)을 통해 시대를 울린 그는 KBS2 ‘성균관 스캔들’, Mnet’몬스타’ 등을 통해 자라나는 청춘들에게 따스한 시선을 보내오던 감독이었다. 그 시선은 드라마 안팎으로 골고루 번져 김원석 감독의 작품을 통해 배출된 젊은 연기자들도 상당수다.

운명이라고 앞서 이야기했으나, ‘미생’이 김원석 감독의 품에 들어오게 된 구체적인 사연을 들어보고 싶었다. ‘미생’의 종방연을 끝내고 포상휴가지인 세부로 향하기 직전 참으로 오랜만에 한가로운 주말을 맞이한 김원석 감독을 서울 여의도 모처에서 만났다. 그는 ‘미생’은 ‘몬스타’ 기획 단계에 이미 드라마화를 마음먹었던 작품이라고 밝혔다. ‘몬스타’는 애초에 빅뱅을 배출한 서바이벌 프로그램에서 탈락한 비스트 장현승에게서 모티브를 얻어 기획된 드라마였다. 오랜 시간 연습생 생활로 자신을 갈고 닦았으나 탈락하고 만 청춘의 이야기를 한다고 후배 연출자에게 털어놓았던 찰나, ‘미생’이라는 웹툰을 추천받았다고 한다. 아이돌 연습생으로 청춘을 보냈던 아이와 바둑 연구생으로 젊음을 소진한 아이의 심정이 비슷하다고 여겼던 김원석 감독은 그렇게 ‘미생’의 드라마화를 결심하게 된다. ‘몬스타’ 작업 가운데, ‘미생’의 드라마화를 회사에 제안하고 원작자인 윤태호 작가를 만나 설득했던 그는 결국 모두가 반대했던 웹툰을 드라마로 제작했고, 성공리에 마무리했다.

‘미생’ 촬영 이후에는 당분간 젊은 세대들의 이야기는 접어두고 싶다고 말하는 그에게서 도리어 젊은 세대에 대한 진한 애정이 느껴졌다. 길을 돌고 돌아 또 다른 이야기를 전할지언정, 그는 결국 언젠가 또 다시 젊은 세대들에 대한 부채의식을 드라마를 통해 표현하게 될 것 같다. 그렇게 김원석의 드라마 안에서 수많은 장그래는 위안을 얻을 것이다. 그 위로가 절실한 사람들이 많은 세상이니까.

‘미생’ 김원석 감독
‘미생’ 김원석 감독
‘미생’ 김원석 감독


Q. 사람들이 이제 멜로보다 브로맨스에 더 이입하는 시대가 된 것 같다. 현실 속 멜로가 더 이상 순수한 감정이 아닌 여러 세속적 욕심들이 뒤엉킨 세대라 더더욱 브로맨스나 워맨스에 이입하지 않나라는 생각도 들었다. ‘미생’에서 역시 가장 진했던 감정도 멜로가 아닌 브로맨스였다.

김원석 감독 : 멜로에 대한 염증도 물론 있겠지만 그보다는 시청자들이 진짜 리얼한 이야기를 원하는 트렌드의 연장선이라고 생각한다. 현실에서 멜로의 감정을 자주 느끼지는 않는다. 그 감정을 자주 느끼고 살면 피곤하지 않을까? 반면, 동성 간에 우정을 나누거나 좋은 사람을 만나는 경우는 감정의 깊이나 충격은 세지 않더라도 의외로 자주 있는 일이다. 현실적으로는 멜로보다 더 자주 느끼는 감정인 반면에, 드라마 등에서는 많이 다루지 않았던 것 같다. 정윤정 작가님은 브로맨스라고 칭하는 남남간의 우정, 그리고 요즘 워맨스라고 불리는 여자들끼리의 우정, 혹은 남녀간의 우정 전부가 살면서 느끼게 되는 사람과 사람간의 작은 감동의 순간이다. 따라서 현실적인 느낌을 받지 않았나 생각한다. 사실 나는 이전에는 브로맨스라는 단어의 뜻을 명확히 몰랐다. 그렇지만 내가 ‘미생’을 통해 하고 싶었던 이야기는 결국 우정이었다. 오차장과 장그래의 감정도 우정의 일종이고, 안영이가 다른 동기들을 대하는 태도 역시 우정이다. 때로는 감정이 요즘 표현하는 ‘썸탄다’처럼 우정에서 조금은 더 나아갈지 모르고, 장그래와 오차장 사이의 감정이 유사부자관계, 오차장과 선차장사이의 감정은 유사연인관계처럼 느껴질 수도 있으나 결국 사람들은 우정을 나누고 있는 것이었다.

Q. ‘미생’ 엔딩에서 오차장과 장그래가 애초에 만나야 할 운명처럼 묘사가 됐는데, 사실 이런 류의 묘사는 멜로 관계에서 흔히 사용되는 것이었다. 그것이 브로맨스로 향하니 새롭고도 재미있었다.
김원석 감독 : ‘첨밀밀’이라는 영화를 처음 보면서, 어린 마음에 영화나 드라마에서 어떻게 저렇게까지 우연의 일치가 반복되면서 주인공들이 만나게 될까라는 생각을 했었다. 작법상 안 좋다라는 생각까지 하면서 끝까지 봤는데 마지막 장면에서 두 남녀 주인공이 홍콩에 오는 기차에서 등을 대고 앉아있었다는 사실을 보고 충격을 받았다. ‘결국 이 영화는 운명적인 우연을 이야기하는 거였구나’라는 생각이 들었다. 원작 웹툰을 보면서 내내 오차장과 장그래가 운명적인 만남일 것이라는 생각을 했다. 사실 이 엔딩 신은 초기에 찍었었는데 스태프들이 다들 ‘오차장은 대체 언제 나오냐고’ 물었었다. 나 역시 궁금했는데 작가님이 엔딩에 쓰실 줄은 몰랐다. 그런데 두 사람이 운명이라는 사실은 시청자만 아는 것이지 두 사람은 평생 모른다는 것이 핵심이다. 그런 점에서 너무 재미있었고 꼭 넣고 싶었던 장면이다.

Q. 그런가하면 기발하게 브로맨스를 동성애적 코드로 새롭게 창작해내는 네티즌의 반응도 뜨거운 드라마였다.
김원삭 감독 : 드라마는 실은 상상할 수 있는 여지가 소설이나 웹툰에 비해 적은데, 또 다른 창작물을 만드시는 분들을 보면 드라마 역시도 상상의 여지가 풍부한 장르인건가 싶기도 하다(웃음).

Q. 19회에서 의견이 분분했던 장면은 하대리와 강대리의 신입여사원을 바라보는 장면이었다. 사실 전체적인 그 회의 주제에 벗어나는 장면은 아니었지만, 지나치게 코믹스러웠다는 반응이 있었다.
김원석 감독 : 그 회차가 워낙 힘든 이야기만 있었기에 힘들지 않은 이야기로 물타기를 하고 싶었다. 사실 하대리, 강대리는 원작에 비중이 거의 없다. 사람들은 두 캐릭터가 망가졌다고도 생각하던데, 사실 작가님이야말로 그 두 캐릭터를 만든 분이기에 애정이 가장 크다.

Q. 요르단 에피소드에 대한 의견도 분분하다. 그 에피소드를 통해 전하고자 했던 바는 무엇인가.
김원석 감독 : 나는 원작의 열렬한 팬이다. 원작의 팬으로서 ‘미생’이 더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졌으면 하는 바람이 있었다. ‘요르단 에피소드가 원작을 망치는 것 아니냐’라는 반응도 있다는 것을 안다. 또 원작을 좋아한 사람들은 거부감이 들 수도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원작을 아예 모르는 사람들이 초반에 요르단 액션을 보고 ‘재미있네’라고 느끼길 바랐다. 너무 엄숙하지 않은 편안한 드라마이며, 각 잡고 봐야하는 거창한 이야기는 아니라는 느낌도 주고 싶었다. 후반에 다시 등장한 것은 초반에 보여준 것에 대한 화답인 동시에, ‘장그래가 결국 정규직이 되지 못했지만 원 인터내셔널을 나와 원하는 사람들과 회사를 다니며 행복하게 살았답니다’ 이상의 밋밋하지 않은 에피소드를 선물처럼 주고자 했다. 또 장그래가 내내 힘들었던 드라마였으니 마음 편하고 따듯한 엔딩을 그리고도 싶었다. 사실 액션 사이사이 절을 하는 소녀들이라거나 하는 장면들은 템포를 해치는 것이라 편집 기사나 스태프들이 빼자고 했지만, 너무 전문적인 액션보다는 편하게 볼 수 있는 느낌으로 연출하고자 했다. 앞서 윤태호 선생께도 추격신이 있을 수 있다고 말하고 함께 요르단을 갖고 선생과 나 사이 누가 먼저인지 모르겠으나 ‘여기에서 그 장면을 찍는게 좋겠다’라는 이야기를 공유하기도 했다.



‘미생’ 방송화면
‘미생’ 방송화면
‘미생’ 방송화면

Q. 정윤정 작가 말로는 ‘미생’의 드라마화에 부정적인 시각이 그렇게 많았다고.
김원석 감독 : 웹툰을 접한 많은 이들이 ‘미생’의 드라마화는 어렵고도 위험한 일이라고 생각했었다. 몇몇 배우들 중에는 ‘드라마화하면 절대 안 된다고 생각했던 웹툰’이라는 이유로 출연이 꺼려진다고 말하기도 했다. 원작은 드라마보다 더 철학적이고 하드보일드한 느낌이 있다. 인물들 간의 감정 자체가 결코 질척거리지 않고 굉장히 깔끔하다. 그런 원작만의 매력을 좋아하는 사람도 굉장히 많다. 나 역시 그런 면을 좋아했으나 드라마화하기로 결정하면서 그런 원작의 매력을 잘 표현하겠다고 한다면 결국 원작을 좋아하는 사람들만 좋아하는 드라마가 되거나 그마저도 안될 수 있다고 봤다. 사실 소설을 보며 우리가 상상하게 되는 것이 100이라고 본다면 웹툰은 50~60 정도가 된다. 사람들이 웹툰을 보면서 컷과 컷 사이를 상상하면서 본다. 반면, 드라마를 보면서 상상하게 되는 비율은 꽤 낮다. 그래서 나는 ‘미생’을 만들며 내가 원작을 보며 상상했던 부분을 강조하고자 했다. 특히 나는 오차장과 장그래의 관계에서 센 감정을 상상하면서 봤고, 그 부분을 가져오리라 마음먹었다.

Q. ‘미생’ 때문에 그렇게나 많은 상사들이 실제로는 아니면서 자신을 오차장이라고 말하게 됐다는 반응도 있었다(웃음).
김원석 감독 : 그래도 실제 직장생활하면서 좋은 상사들을 많이 만나게 된 것 같다. 좋은 선배들의 핵심은 끊임없이 후배를 감동시키는 것에 있다. 그 사람이 직장 내에서 인정을 받고 있거나 그렇지 않거나, 나라면 결코 못할 행동을 한다. 그런 관계를 상상하면서 원작을 봤다. 웹툰은 어떻게 상상하면서 보느냐에 따라 전혀 다른 콘텐츠가 되는데, 나는 이번에 내가 상상한 이야기를 보여주고 싶었던 것이다. 또 의외로 많은 분들이 바둑 이야기나 회사원 이야기에 관심이 없어서 애초에 안 봤어 라고 말하기에 바둑 이야기를 전면에 내세우면 안되겠다 싶었다. 장그래가 바둑에 실패한 아이인데 바둑을 계속해서 연상할 것 같지도 않았다. 또 웹툰은 어떻게 보면 잘 짜여진 관료 시스템의 장점을 이야기하는 부분도 있어 딱딱하게 느껴질 수도 있으니, 우리는 그런 이야기를 하더라도 감정을 앞세우고 이야기하자 싶었다. 그렇게 만들어진 드라마다. 이렇게 만들 수 있다고 봤기에 많은 관계자들이 ‘드라마화 할 수 없는 웹툰’이라고 말했을 때, 나는 안 될 것은 없다고 봤던 것이다.

Q. 중반부, 장그래와 안영이 사이 묘한 기류가 포착되면서 일각에서는 ‘러브라인이 ‘미생’에서도 생기느냐’라며 날 선 시각을 보여주기도 했다.
김원석 감독 : 충분히 예상했던 반응이었다. 사실 나는 알려진 것과 다르게 윤태호 선생께 ‘러브라인을 배제하겠다’라고 말한 적은 없고, ‘러브라인이 주가 되는 드라마로는 절대 안 갈 것이다’라고 말했었다. 애초에 회사 버전의 ‘라이언 일병 구하기’를 만들고 싶었다 말한 적이 있는데, 일부에서는 부정적으로 받아들여 그래서 장그래가 민폐가 되었다고도 말씀하시지만, 그런 측면에서 ‘라이언 일병 구하기’를 만들고자 한 것은 아니다. 이 영화는 영화사적으로 화제가 된 것이 전투 장면의 구현을 굉장히 리얼하게 했다는 점 때문이었고, 우리 역시 회사에 카메라를 들이 댄 듯 묘사하고자 했다는 의미에서 한 말이다. 실제 회사원들 가까이 다가가면 결코 밋밋한 일상이 아닌 드라마틱한 이야기들이 들린다. 그런 면에서 멜로, 러브라인이 주가 되는 드라마는 되지 않을 것이나 멜로적 긴장감은 가져가고자 했다. 만약 신입사원들이 있고 그 가운데 여자가 한 명이 있는데, 그들 사이에 멜로적 긴장감이 없다는 것이 더 말이 안 된다. 그래서라도 그 신은 일부러 넣었다. 그리고 오히려 원작에는 안영이와 장그래 사이 멜로적 긴장감이라 할 수 있는 부분이 더 나와 있기도 하다.

Q. 결정적으로 원작과 달랐던 점은 장그래가 중국 주재원 석대리와 통화하는 장면의 배치였다. 드라마에서는 장그래가 자신을 위해 도박을 하게 된 오차장을 막기 위해 무리수를 두지만, 웹툰에서는 그야말로 장그래가 아무 것도 모르는 상황에서 실수를 하게 되고, 이후에 오차장이 ‘사실 너에게는 정규직이 될 수도 있는 기회였다’라고 말해주는 식이었다. 그렇게 각색한 이유는?
김원석 감독 : 석대리와 통화하는 장면과 이후 결과 때문에 장그래가 민폐 캐릭터가 됐다는 지적도 많았는데 사실 원작에서도 이미 논란이 된 지점이다. 원작도 드라마도 결과적으로는 민폐이긴 했다. 그럼에도 장그래가 지나치게 민폐 캐릭터로 보이지 않게 만들기 위해 어떻게 그려야 하나 고민을 하게 됐는데, 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고 봤다. 하나는 전무가 굉장히 지독하게 나쁜 캐릭터로 그려지거나, 두 번째로는 장그래가 오과장을 생각하는 마음에서 그런 선택을 하는 것이었다. 서로가 서로를 지나치게 위하다보니 무리수를 던지는 걸로 가는 두 번째로 결국 선택하게 됐다. 사실 정 작가님은 장그래가 석대리와 전화하는 신 자체를 반대했다. 캐릭터를 너무 아꼈기에 캐릭터가 손해를 볼 것 같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나 역시 같은 생각이었으나 감수해야 할 부분이었다. 그러니 시청자분들께서는 부디 너무 노여워하지 말아주십사 부탁드린다.

‘미생’ 김원석 감독, “무엇보다 내가 운이 좋았다”(인터뷰②)

글. 배선영 sypova@tenasia.co.kr
사진. 구혜정 photonine@tenasia.co.kr, tvN 제공

[SNS DRAMA][텐아시아 뉴스스탠드 바로가기]
[EVENT] 뮤지컬, 연극, 영화등 텐아시아 독자를 위해 준비한 다양한 이벤트!! 클릭!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