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1015142713714
20121015142713714


국내 대표 연예기획사인 SM엔터테인먼트(이하 SM), YG엔터테인먼트(이하 YG), JYP엔터테인먼트(JYP)의 매출이 최근 3년새 두배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8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개별 기준으로 지난해 SM 매출액은 1,643억 원에 달해 3년 전인 2010년의 864억 원 보다 90.2% 늘었다.

SM의 매출액은 2011년 1,099억 원에서 2012년 1,686억 원으로 급증했고 지난해에 소폭 줄었다. 영업이익은 2010년 257억 원에서 지난해 346억 원으로 늘었고 같은 기간 당기순이익은 244억 원에서 176억 원으로 27.9%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매출액과 영업이익, 순익은 모두 2012년 정점을 찍었다가 지난해 다소 주춤하는 모습을 보였다.



SM의 지난해 음반 판매량은 259만 3,329장으로 증가해 시장점유율 38.9%로 1위를 기록했다. SM컬처앤콘텐츠가 6.9%로 2위, YG는 6.7%로 3위였다.

양현석이 최대 주주로 있는 YG는 지난해 매출액이 1,057억 원으로 2010년의 448억 원보다 135.9% 늘었다. 매출액이 1천억 원을 넘은 것은 처음이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111억 원에서 185억 원으로 66.7% 늘었고 순익은 83억 원에서 139억 원으로 67.5% 증가했다. 월드스타 싸이와 그룹 ‘빅뱅’의 리더 지드래곤의 솔로 앨범의 잇따른 성공이 호재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YG는 지난해 디지털음원 시장점유율이 5.6%로 1위를 차지했다. SM은 3.9%로 7위였다.

박진영의 JYP는 매출액이 2010년 102억 원에서 지난해 178억 원으로 74.5% 늘었다. 영업이익은 2010년 1억 원 흑자를 보였다가 2011년 10억 원 적자로 돌아선 뒤 지난해까지 3년 연속 적자를 보였다. 지난해 당기순손실이 44억 원이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은 세 회사의 이 같은 매출 신장에 대해 “아이돌 그룹과 한류 열풍 등에 힘입어 연예기획 사업이 크게 성장한 덕분”이라고 평가했다. 국내 가수들의 외국진출이 아시아 시장을 넘어 미주와 유럽 등으로 확대되며 아이돌 그룹 인지도를 바탕으로 한 국내 제품의 간접 판매도 늘면서 대형 연예기획사도 성장세를 지속하는 것으로 분석했다.

글. 정시우 siwoorain@tenasia.co.kr
사진제공. SM·YG·JYP 엔터테인먼트

[나도 한마디!][텐아시아 뉴스스탠드 바로가기]
[EVENT] 뮤지컬, 연극, 영화등 텐아시아 독자를 위해 준비한 다양한 이벤트!! 클릭!
[EVENT] B1A4 진영, 떨려 네 눈, 네 코, 네 입술 4월 구매 고객 이벤트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