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아이유→테일러 스위프트, 콘서트 때 그 감동 영화관서 다시 느껴볼까 [TEN스타필드]

    아이유→테일러 스위프트, 콘서트 때 그 감동 영화관서 다시 느껴볼까 [TEN스타필드]

    ≪이하늘의 시네팝콘≫이하늘 텐아시아 기자(겸 영화평론가)가 톡톡(POP)튀는 시선으로 영화 콘텐츠를 들여다봅니다. 이하늘의 팝콘(POP-Con) 챙기고 영화 보세요.좋아하는 가수의 콘서트를 영화로 볼 수 있다면 어떨까. 공연장에서의 뜨거웠던 열기는 스크린으로 옮겨지고 다시금 가슴 벅차오르는 순간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콘서트나 연극은 한번 공연되면, 다시는 볼 수 없기에 아쉬움을 남긴다. 그런 점에서 콘서트 실황 영화는 '그때 그 시간'으로 돌아갈 수 있다는 점과 팬들에게는 마치 선물과도 같기에 더욱 반가울 테다.오는 13일 개봉하는 '아이유 콘서트: 더 골든 아워'는 선예매에서 매진을 기록하고 예매율(28,639명, 11.4%/9월 7일 기준)로 관객들의 기대를 모으고 있다. 영화는 2022년 9월에 개최된 아이유의 단독 콘서트인 의 공연 실황을 담은 다큐멘터리로, 아이유 데뷔 15주년 기념으로 13일부터 19일까지만 CGV에서만 관람할 수 있다. 콘서트 실황 영화 중 국내 최초로 IMAX 개봉이 확정되었고, CGV용산아이파크몰에서는 응원봉 상영회를 한다고 공지되기도 했다.아이유(본명 이지은)는 2008년, 15세의 나이로 가수를 시작해 어느덧 데뷔 15주년을 맞았다. 뛰어난 작사, 작곡 능력을 바탕으로 아티스트로서의 면모를 보여주는 아이유는 명실상부 독보적인 가수다. 음원 차트는 물론이고 콘서트를 비롯한 음판 판매량에서도 최근 10년간 가장 많은 음반 판매량을 기록한 여성 솔로 가수다. 히트곡 역시 어마무시하다. '좋은 날', '너랑 나', '하루 끝', '분홍신', 너의 의미', '팔레트' 등등으로 나열하기 버거울 정도다.콘서트 실황 영화는 팬과 가수의 거리감을 좁혀

  • 같은 날 개봉한 ‘더 문'+'비공식작전', 부진한 초반 성적표 그 이유는?[TEN스타필드]

    같은 날 개봉한 ‘더 문'+'비공식작전', 부진한 초반 성적표 그 이유는?[TEN스타필드]

    ≪이하늘의 시네팝콘≫이하늘 텐아시아 기자(겸 영화평론가)가 톡톡(POP)튀는 시선으로 영화 콘텐츠를 들여다봅니다. 이하늘의 팝콘(POP-Con) 챙기고 영화 보세요.관객들의 선택을 객관적인 수치로 알 수 있는 영화진흥위원회의 누적 관객 수는 솔직한 성적표다. 물론 관객 수가 작품성과 입지를 판단하는 단일한 지표로만 여기는 것은 섣부를 수 있지만, 막대한 제작비와 흥행을 목표로 한 상업영화인 만큼 중요한 숫자인 건 분명하다. 어찌보면 상업 영화 본질에 더 가깝다. 몇만 명의 관객 수가 들었는지를 연신 보도하는 까닭도 이 때문일 것이다.지난 2일에 함께 개봉한 '더 문'(감독 김용화)과 '비공식작전'(감독 김성훈)의 성적표는 다소 부진하다.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31주차 주말 박스오피스에 따르면, '더 문'은 주말 동안 18만4824명 관객 동원했으며 누적 관객 수 36만944명을 기록했다. '비공식작전'도 비슷한데, 같은 기간 동안 4만357명의 관객이 관람했으며 70만142명의 누적 관객 수를 기록했다. 지난 26일 개봉한 '밀수'(감독 류승완)는 개봉 첫날 31만8092명의 관객을 동원하며 1위에 진입했고, 현재 누적 관객 수 353만5579명을 돌파한 상황이다. 그렇다면, 영화와 관객 수의 상관관계는 언제부터 시작됐으며 두 작품의 흥행 성적이 저조한 이유는 무엇일까.조금 멀리서부터 이야기를 시작해보자. 영화의 태동기다. 1895년 12월 28일 뤼미에르 형제의 '열차의 도착'을 시작으로 영화는 시작됐다. 이를 나눴던 기준은 뭘까. '열차의 도착'을 잘 살펴보면, 그랑 카페에서 1프랑을 내고 관람했다는 기록이 있다. 즉, 관객들에게 돈을 받고 영화를 보

  • 영화계는 AI로 골머리, '미션 임파서블 7'과 '명탐정 코난'도 AI 다룬다고?[TEN스타필드]

    영화계는 AI로 골머리, '미션 임파서블 7'과 '명탐정 코난'도 AI 다룬다고?[TEN스타필드]

    ≪이하늘의 시네팝콘≫이하늘 텐아시아 기자(겸 영화평론가)가 톡톡(POP)튀는 시선으로 영화 콘텐츠를 들여다봅니다. 이하늘의 팝콘(POP-Con) 챙기고 영화 보세요. 최소 20년간 꾸준히 관객들을 만난 장수 시리즈 영화가 다시 찾아왔다. 오랜 기간 만났던 작품들이었던 만큼 반가움이 크다. 1996년 시작한 '미션 임파서블' 시리즈와 1994년 TV로 처음 시작한 '명탐정 코난' 시리즈. '미션 임파서블'의 익숙한 '빰빰빰빰'의 테마곡이 들리는 오프닝 시퀀스와 '명탐정 코난'의 "몸은 작아졌어도 두뇌는 그대로, 불가능을 모르는 명탐정, 진실은 언제 하나"라는 대사가 나오는 오프닝 시퀀스 역시 클리셰 중 하나지만 빠지면 아쉬울 정도다. 장기 시리즈의 묘미는 익숙함에서 풍겨오는 그 시절의 추억과 시대를 반영하며 변화하는 것일 테다.하지만 두 작품 모두 기존에 익숙했던 클리셰보다 더 나아가 세계가 변화하는 판도에 발맞춰 AI(인공지능)를 영화의 소재로 삼았다. 우선 12일 개봉한 '미션 임파서블: 데드 레코닝 파트 원'(감독 크리스토퍼 맥쿼리, 이하 '미션 임파서블 7')은 모든 인류를 위협할 새로운 무기인 AI를 추적하는 에단 헌트(톰 크루즈)와 IMF 팀의 이야기를 담았다. 실시간으로 인간을 통제하며 무효화시키는 AI는 작전 자체를 방해하거나 통신망에 개입해서 음성을 조작하기도 한다. 영화 속에서 벤지(사이먼 페그)와 루터(빙레임스)가 빌런을 쫓는 에단 헌트를 위해 위치 추적하며 방향을 지시하는데, 이때 자아를 가진 AI가 개입해서 작전을 방해한다. 눈에 보이지 않기 때문에 큰 두려움으로 다가오는 AI는 서서히 인간을 잠식시킨다.그런가 하면 20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