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민경의 송라이터》현직 싱어송라이터인 이민경 기자가 음악인의 시각에서 음악 이야기를 쓰겠습니다. 곡의 숨겨진 의미부터 들리지 않는 비하인드까지 분석합니다.'굿데이 2025' 음원 제작에 가수 지드래곤부터 그룹 2NE1의 CL, 밴드 데이식스, 에스파 등 대세 그룹이 참여해 시선을 끌었다. 20여 년 전 곡을 리메이크했지만, 색다른 도전을 하기보다는 함께 음악을 즐기는 걸 강조한 모습이다.지난 13일 종영된 MBC '굿데이'는 발매한 지 15~20년이 지난 듀오 도시아이들의 '달빛 창가에서'와 '텔레파시' 리메이크 음원인 '굿데이 2025' 작업 과정을 공개해 왔다.지드래곤은 이번 리메이크 작업을 통해 가수, 배우, 방송인 구분 없이 연예계 인사 다수가 한데 모여 협력하는 이례적인 사례를 만들어냈다. 이번 프로젝트에는 지드래곤을 중심으로 그룹 2NE1의 CL, 밴드 데이식스, 그룹 세븐틴 유닛 부석순, 에스파 등 다양한 아티스트가 참여했다. 가수 외에도 배우 황정민, 이수혁, 임시완, 정해인, 김고은, 방송인 조세호, 정형돈, 데프콘, 코드 쿤스트, 황광희, 기안84, 홍진경, 안성재 셰프 등이 함께했다.'굿데이' 프로젝트는 리메이크라는 행위 자체에 대한 고민을 담아내기도 했다. 리메이크로 단순히 수익을 창출하는 데서 그치지 않고 원곡을 조명하려는 노력을 기울였단 긍정적 평가가 업계서 나왔다. 지드래곤은 리메이크 앨범인 '꽃갈피'로 성공을 거둔 가수 아이유를 직접 찾아가 조언을 구한 이야기를 공개했다. 아이유는 리메이크 방향성에 대해 "새로운 장르로 접근할 것"을 권유하며 기존 곡과 확연히 차별화된 시도를 하라고 주문했다.이에 지드래곤은 힙합,
《이민경의 송라이터》현직 싱어송라이터인 이민경 기자가 음악인의 시각에서 음악 이야기를 쓰겠습니다. 곡의 숨겨진 의미부터 들리지 않는 비하인드까지 분석합니다.그룹 뉴진스가 홍콩에서 열린 '컴플렉스콘'에서 신곡 'Pit Stop'(피트 스톱)을 발표한 가운데, 아쉬움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 곡은 뉴진스의 정체성을 이어가려고 노력한 흔적이 역력하지만 정작 이들은 '뉴진스'로 불리기를 꺼려하고 있다.25일 뉴진스는 지난 23일 홍콩에서 열린 컴플렉스콘 무대에서 활동을 잠정 중단하겠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들은 그간 준비해온 음원인 Pit Stop을 홍콩 무대에서 예정대로 공개했는데, 해당 곡을 음원으로 발매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음원을 발매하면 수익을 창출하게 돼 지난 21일 나온 법원 결정에 어긋나기 때문이다.앞서 서울중앙지법 민사50부(수석부장판사 김상훈)는 어도어가 뉴진스 다섯 멤버를 상대로 낸 '기획사 지위보전 등 가처분 신청 사건'에서 지난 21일 전부 인용 결정을 내렸다. 재판부는 이 결정에서 뉴진스의 독자 활동을 전면 금지했다. Pit Stop은 어도어와의 협력 없이 뉴진스가 자체 제작한 곡으로 프로듀서가 누군지 알려지지 않았다. 이 곡을 음원으로 내면 뉴진스는 자체적으로 수익활동을 하는 셈이다.복수의 업계 관계자들은 "Pit Stop의 음악적 요소가 이들의 기존 곡들과 유사하다"며 "뉴진스 음악적 특성을 앞으로도 이어나가려는 듯 보인다"는 관측이 나온다. 실제로 본지가 생성형 인공지능(AI) 챗GPT 4o를 활용해 두 곡성을 분석하자 유사도가 높다는 결론이 나왔다. 챗GPT 4o은 'Pit Stop'의 드럼 패
《이민경의 송라이터》현직 싱어송라이터인 이민경 기자가 음악인의 시각에서 음악 이야기를 쓰겠습니다. 곡의 숨겨진 의미부터 들리지 않는 비하인드까지 분석합니다.그룹 더보이즈가 소속사 이적 이후 첫 컴백곡으로 '미국물 빠진' K팝을 들고 왔다. 최근 K팝이 서구권 팝 사운드에 동화되면서 K팝 고유의 색깔이 흐려졌다는 지적이 이어졌지만, 더보이즈는 다시 2010년대 오리지널 K팝을 선보이며 호평받고 있다.더보이즈가 정규 3집 'Unexpected'(언익스펙티드)를 지난 17일 발매했다. 이 앨범은 더보이즈가 원헌드레드로 이적한 뒤 첫 컴백이자 상연부터 시작되는 멤버들의 군백기 전 마지막 단체 앨범이다.타이틀곡 'VVV'는 "2세대 아이돌 그룹(2010년대 초중반 활동)의 곡 같다"며 국내외 대중으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이 곡은 18일 오후 3시 기준 국내 멜론 HOT 100 (100일 기준) 차트 35위에 올랐다. 이 앨범의 수록곡 전부 멜론 HOT 100에 차트인했다. 해외 팬들은 "2세대 K팝 아이돌의 곡을 떠올리게 만든다. 듣기만 해도 설렌다", "2012년으로 돌아간 기분이다. 환상적이다"라며 호평을 내놓았다.이 곡은 기존 K팝 트렌드와는 거리가 다소 있다. 지금까지 K팝은 사운드를 단순화하는 미니멀리즘이 주류였다. 트랙 수가 많더라도 귀에 들리는 악기 수는 제한적인 경우가 대부분이었다.더보이즈는 이 흐름에서 벗어나 신스 플럭, 날카로운 음색의 패드, 금관악기, 현악기 등 화려한 사운드를 VVV 후렴구에서 과감하게 사용했다. 이는 K팝 세계화를 선도했던 2010년대 그룹 트와이스, 샤이니 등의 음악 스타일을 연상케 한다. 2017년 그룹 워너원의 '나야 나' 이후 찾기
《이민경의 송라이터》현직 싱어송라이터인 이민경 기자가 음악인의 시각에서 음악 이야기를 쓰겠습니다. 곡의 숨겨진 의미부터 들리지 않는 비하인드까지 분석합니다.가수 이미자, 주현미, 조항조가 "약 100년 역사를 지닌 우리 전통가요의 맥이 끊어질 위기에 놓였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전통가요는 트로트의 그림자 아래 입지를 잃어가고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이미자가 5일 '이미자 전통가요 헌정 공연 '맥(脈)을 이음'' 개최 기념 기자 간담회에서 "저는 트로트의 여왕보다는 전통가요를 부르는 가수 이미자로 남고 싶다"고 말했다. 그는 "전통가요라는 건 지금의 트로트와 다르다"고 했다.주현미도 같은 의견을 냈다. 그는 "트로트는 원래 음악적으로 서양풍의 리듬을 뜻한다. 춤을 추기 위한 리듬이다. 그러나 지금 이 시대에서는 옛 음악을 통칭하는 말로 쓰인다"고 했다. 그는 자신의 히트곡 '비 내리는 영동교'에 대해서도 "이 곡은 트로트가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사실 전통가요 역시 서양의 왈츠를 바탕으로 1920년대 만들어진 장르다. 주현미가 "트로트는 서양풍의 리듬"이라고 했지만, 그렇다고 전통가요가 비(非) 서양 음악인 건 아니다. 두 장르 모두 한국인의 정서를 표현했다는 공통점도 있다.하지만 두 장르에는 차이점도 있다. 전통가요는 '한(恨)'을, 트로트는 '흥(興)'을 대표하는 장르라는 점이다.이미자는 1920년대 시작된 전통가요의 정서에 대해 "우리 민족에게는 일제 강점기를 겪고, 해방의 기쁨을 누리기도 전에 전쟁을 겪은 한이 서려 있다"며 "독일 등 타지로 떠나가 어렵게 살던 분들이
《이민경의 송라이터》현직 싱어송라이터인 이민경 기자가 음악인의 시각에서 음악 이야기를 쓰겠습니다. 곡의 숨겨진 의미부터 들리지 않는 비하인드까지 분석합니다.그룹 블랙핑크 리사가 '아시안 힙합'이라는 블루오션을 개척하고 있다. 리사는 지금까지 다른 블랙핑크 멤버보다 많은 곡을 글로벌 차트에 진입시켰다. 리사가 세계 음악 시장에서 K-힙합의 도약을 이끌지 음악 팬이 주목하고 있다.리사의 정규 앨범 'Alter Ego'(얼터 에고)가 발매 직후 아이튠즈 미국 앨범 차트에서 1위를 차지했다. 타이틀곡 'FXCK UP THE WORLD'(퍽 업 더 월드)는 뮤직비디오 공개 4일 만에 유튜브 기준 조회수 1400만회를 기록하는 등 큰 관심을 받았다.'FXCK UP THE WORLD'는 리사의 주 장르인 힙합 곡으로, 강렬한 랩 발성과 일렉트릭 사운드가 두드러진다. 가사의 주제 역시 힙합 장르에서 자주 보이는 '자기 행보에 대한 자신감'이다.리사는 2021년 솔로 활동을 한 이래로 'LALISA'(라리사), 'MONEY'(머니), 'ROCKSTAR'(록스타) 등 꾸준히 힙합 장르를 선보였다. 이런 행보는 글로벌 음악 시장에 대한 '당찬 도전'으로 받아들여졌다. 아시아인이 힙합으로 글로벌 무대에서 인정받기는 쉽지 않기 때문이다.실제로 세계적인 인기를 누리고 있는 힙합 곡을 보면 서구권 래퍼의 음악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지금까지 K팝 아티스트 중 빌보드 메인 차트인 Hot 100 차트에 이름을 올린 '힙합' 가수는 리사와 그룹 방탄소년단 제이홉뿐이다. 아시아 전체를 봐도 일본의 조지(Joji) 외 다른 사례는 없다.진입장벽이 높다고 외면하기엔 힙합은 포크와 함께 서구권에서 가장 사랑받는 장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