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텐아시아=박미영 시나리오 작가]
‘로건’ 포스터 / 사진=이십세기폭스코리아 제공
‘로건’ 포스터 / 사진=이십세기폭스코리아 제공
* 영화 ‘로건’의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분명 영화를 보러 갔다. 휴 잭맨의 마지막 울버린 영화라는 것도 알고 있었다. 그러나 영화가 끝을 향해 갈수록 이미 관객이 아니라 조문객으로 앉아있었다.

2000년 8월 12일 토요일, ‘엑스맨’의 개봉일이다. 개봉 전부터 어마어마하게 궁금한 영화였다. 허나 그날은 필자의 첫 영화 개봉일이기도 했다. 개봉 스코어에 연연해서가 아니라 첫 영화에 대한 예의로 차마 다른 영화의 티켓을 끊을 수는 없었다. 영화사 식구들과 극장 근처에 나가 있었다. 필자의 심장은 첫 영화 포스터 뿐 아니라 ‘엑스맨’ 포스터를 마주할 때도 금세 터질 것처럼 쿵쿵 뛰었다. 결국 개봉하고 이틀 후에야 ‘엑스맨’을 보았다.

19금 영화답게 ‘로건’은 울버린의 칼날손이 망설임 없이 쓰인다. 그러나 그 끝에 남는 잔상은 잔인함을 넘어서는 처연함이다. 울버린의 상처를 치유하는 능력은 전 같지 않고, 그의 친구이기도 적이기도 했던 엑스맨들도 찰스와 칼리반을 제외하곤 보이지 않는다. 심지어 그를 찾아온 가브리엘라에게 자신의 존재마저 부정한다. 이제 그는 자신의 본래 이름인 로건으로 살아간다. 마음의 상처 없는 엑스맨이 누가 있겠냐마는 로건에게는 더 짙게 상처의 음영이 드리워진다.

그에게 로라(다프네 킨)라는 심상치 않은 소녀가 찾아온다. 찰스의 대사처럼 로건과 참 많이도 닮은. 로라는 세상을 등지고 있는 로건을 돌려세우며 앞으로 나아가려 한다.

영화 말미에 로라는 로건의 돌무덤 십자가를 X자로 다시 꽂아 놓는다. 순간 필자의 심장이 턱 막혔다. 울버린이 등장하지 않는 엑스맨을 봐야 하다니… 영화의 엔딩 크레딧이 블랙으로 온전히 사라질 때까지, 장례식에 온 조문객처럼 엑스맨 시리즈를 통해 만났던 울버린의 모습이 파노라마처럼 눈앞으로 휙휙 지나갔다. 사실 조문객이면서 상주이기도 했다. 로라만 그의 가족이 아니라 울버린과 오랜 시간을 함께한 관객들은 이미 그의 가족 같은 친구들이 아니던가.

참 많이도 울었던 까닭에 그날 밤은 잠이 드는 순간까지 눈 주위가 아릿했다. ‘로건’을 볼 수 있는 열아홉에는 턱없이 모자란 열세 살 아들에게 대강의 줄거리를 들려주며 우리의 오랜 친구인 ‘울버린’을 추억했다. 만약 울버린의 묘비를 세운다면, 필자의 아들이 쓴 ‘마침표’라는 시를 새기고 싶다.

‘마침표는 쉽게 말하면 끝. 마지막이라면 불행이기도 하다. 끝이라 생각하면 특별하지도 않다. 하지만 끝은 끝이 아니다. 마침표를 찍으면 다시 시작이다.’

[작가 박미영은 영화 ‘하루’, ‘빙우’, ‘허브’의 시나리오. 연극 ‘변학도는 왜 향단에게 삐삐를 쳤는가’의 극본. 그리고 ‘꿈꾸는 초록빛 지구’ 등의 동화를 집필했다. 한겨레교육문화센터에서 스토리텔링 입문 강사와 영진위의 시나리오 마켓 심사위원으로도 활동했다.]정리=윤준필 기자 yoon@tenasia.co.kr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