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진스 / 사진제공=어도어
뉴진스 팬덤 '팀버니즈'가 "어도어의 가처분 신청을 기각해달라"는 내용으로 법원에 '3만명 서명 탄원서'를 제출한 가운데 여기 서명한 사람의 수가 부풀려졌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조사됐다. 전자 링크로 서명을 받으면서 중복 서명이 가능하게 했기 때문이다. 한 명이 수백건 이상 서명했을 가능성도 있다는 얘기다.
14일 텐아시아는 팀버니즈가 탄원서 서명 기간에 활용했던 구글 폼 전자 링크를 입수해 실제로 서명을 해봤다. 팀버니즈는 지난 2월 말부터 이달 5일까지 이 전자 링크를 활용해 서명을 받았고 이를 어도어가 낸 '기획사 지위보전 및 광고계약 체결 등 금지' 가처분 담당 재판부에 지난 12일 제출했다. 재판부에 이미 서명 자료가 넘어갔지만, 지금도 링크를 없애지는 않은 상태다.
팀버니즈는 이 전자 링크에 표시되는 언어를 서명 참여자가 한국어, 영어, 일본어, 중국어 중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국내 팬뿐만 아니라 해외 팬도 서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다. 중요한 건 이 전자 링크에 중복 서명을 막는 기능을 적용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구글 폼을 이용하면 클릭 한 번으로 중복서명 방지 기능을 넣을 수 있지만 그렇게 하지 않았다.
팀버니즈가 만든 글로벌 팬 대상 전자 서명 화면. 이름, 생년월일, 개인정보 수집 동의 여부를 묻는 내용이다. 무제한 중복 제출이 가능하다.
본지가 확인한 결과 이 링크를 통해 한 사람이 빠르면 10초 내에 서명을 한 번씩 수 있었다. 이름을 'ㄱㄴㄷ', 생년월일을 2025년 1월 13일(어제 날짜)과 같은 식으로 무성의하게 기재해도 서명이 가능했다. 한 차례 서명하고 나면 "응답이 기록됐다"는 메시지가 나오고 화면 아래 '다른 응답 제출' 버튼이 나왔다. 이 버튼을 누르면 바로 첫 화면으로 돌아가 다시 서명할 수 있었다.
ADVERTISEMENT
팀버니즈는 다국적 이용자를 위한 이 구글 폼 링크 외에 국내 이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구글 폼 링크(한글로만 표시됨), 전자 서명 플랫폼 글로싸인을 통해서도 탄원서 서명을 받았다. 이 두 가지 경로를 통한 서명에는 중복 서명을 막는 기능이 적용돼 있었다. 가장 많은 사람이 참여할 수 있는 글로벌 대상 링크에만 이 기능을 적용하지 않았다.
응답을 끝낸 뒤에 나오는 화면. '다른 응답 제출' 버튼을 누르면 화면이 처음으로 돌아가고, 재응답이 가능하다.
업계에서는 "팀버니즈가 제출한 탄원서의 공신력이 낮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 연예 관계자는 "서명인 수를 부풀리는 건 여론 조작이라고 볼 수도 있다"며 "신분이 확인되지 않은 사람이 무수히 많이 참여한 탄원서가 어떤 의미가 있는지 의문"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