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매니지먼트연합,한국연예제작자협회,한국음악레이블산업협회, 한국음반산업협회, 한국음악콘텐츠협회는 서울 서초구에 위치한 JW메리어트호텔 서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탬퍼링이 K팝에 미치는 악영향에 대해 목소리를 냈다. 이날 기자회견은 '음반 제작자가 없다면 K팝도 없다!'는 이름으로 진행됐다.
이날 최 사무총장은 "약속을 지켜달라. 수많은 이해 당사자를 연결하는 건 약속이다"라며 말문을 열었다. 그는 "산업 내 약속이 지켜지도록 노력한다면 우리 대중음악, K팝 산업은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최 사무총장은 "기획사와 가수는 고용인 피고용인의 관계가 아니다"라며 "가수라는 개인 사업자와 기획사라는 기업이 함께 걷는 게 우리 산업이다. 실패와 난관도 함께하는 관계인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이들의 관계의 근간인 전속계약은 K팝 산업의 근간이기도 하다"라고 밝혔다.
그는 "최근 전속계약에 대한 믿음이 위협받고 있다"고 말을 이었다. 최 사무총장은 "가수에게 기획사와의 매듭을 풀어도 된다고 말하는 부도덕한 타기획사, 음악프로듀서들, 그 뒤에 숨은 거대 자본들이 있다. 심지어 가수가 기획사를 나오는 게 좋은 거라 외치는 일부 극성 팬덤과 국회 정부 정책들까지 있다. 이 모든 게 어그러지며 기획사의 입지가 줄어들고 있다"고 호소했다.

그러면서 최 사무총장은 전속계약의 중요성에 대해 재차 강조했다. "분쟁과 갈등은 어느 산업에서나 일어날 수 있다"며 "분쟁과 갈등 속 산업을 보호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약속을 지키는 일이며 법과 규정을 준수하는 일이다"라며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국회와 정부는 형평성있는 정책을 마련해주시고, 분쟁시 공정한 사법체계로 판단이 이뤄져야 한다. 이게 분쟁과 갈등 속에서 우리 산업을 구할 유일한 길이다"라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연예 기획사들은 지금까지 정책 수립에 있어 매우 제한적인 의견 수렴 기회를 얻었다. 기획사에 대한 과중한 규제만 남았다. 이제는 역으로 기울어진 운동장이다"라며 "국내 대중음악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약속을 지켜달라"고 재차 호소했다.
이민경 텐아시아 기자 2min_ror@tenasia.co.kr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