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예지의 옐로카드>>
첫 방송 전부터 잡음 일었던 '현역가왕2'
4개월 동안 공정성 논란만 4번 발발
첫 방송 전부터 잡음 일었던 '현역가왕2'
4개월 동안 공정성 논란만 4번 발발

류예지 텐아시아 기자가 가장 주목 받고 있는 연예계 사건·사고를 제대로 파헤쳐봅니다.
공평하게 듣는 자리여야 할 오디션은 시작부터 기울어진 운동장이었다. 시작 전부터 잡음이 일고, 4개월 동안 무려 4번이나 공정성 논란이 일었다. 준결승과 결승 두 번의 경쟁만 남은 MBN '현역가왕2'의 이야기다. 첫 방송 전부터 제작사 간 법정 공방은 물론, 특정 참가자를 향한 특혜 논란까지 뜨거운 감자다.
첫 시작은 지난해 10월 본지에서 단독 보도한 제작사 간의 60억원 공연권 IP 분쟁이다. 크레아스튜디오는 nCH엔터테인먼트와 법적 분쟁 중이다. ‘현역가왕 2’의 콘서트와 매니지먼트 권리를 두고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는 것. (▶지난해 10월 17일 '현역가왕2, 첫 녹화 앞두고 사건 터졌다…60억원 콘서트 판권 놓고 법적 분쟁' 참조)

ADVERTISEMENT
현재 양측의 법정 공방은 3차 변론기일을 앞두고 있다. 제작사 간 분쟁이 계속되고 있는 만큼 현역가왕2의 콘서트 개최가 불투명하다는 전망도 있다.

그렇게 히든카드로 등장한 신유는 반복적으로 구설수에 올랐다. 먼저 첫 경연에서 피처링 가수와 함께 무대에 올랐다. 보통 댄서나 무용수, 악기 연주자들이 퍼포머로 무대에 등장하는 사례는 있지만 피처링 가수가 한 무대에 오르는 건 흔한 일이 아니다. 경연 무대라면 더욱 그렇다. 총 32명이 함께한 1대1 현장 지목전에서 유일하게 피처링 가수를 무대에 올린 신유였다.

ADVERTISEMENT

환희의 소속사 대표가 현역가왕2에 11억원을 투자한 회사와 관련 있는 만큼 '특정 참가자 밀어주기 의혹'이 불거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정 사업에 투자하는 회사는 이 사업을 하는 기업에 영향력이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그들만의 리그'엔 잡음이 일 수밖에 없다. 공정성을 위협하는 ‘닫힌 오디션’이 국내 트로트 흥행의 미래를 어둡게 한다는 지적이 많다. 방송사 MBN과 제작사 크레아스튜디오는 화제성 만들기에만 급급할 게 아니라 이런 대중의 지적을 곱씹어봐야 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