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민경 텐아시아 기자가 급속도로 발전하는 연예 산업에 사이렌을 울리겠습니다. 보이지 않는 문제를 지적하고, 연예계를 둘러싼 위협과 변화를 알리겠습니다.
지난 5월 민희진 전 어도어 대표의 기자회견을 계기로 아이돌 팬 개인이 앨범을 수백장씩 사 모으는 '앨범깡'과 소비자 기만적인 굿즈 환불 시스템이 사회적인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국정감사(이하 국감)에서도 해결해야 할 숙제로 언급됐을 정도다. 이러한 문제들은 사실 K팝 산업의 뿌리에서부터 자라난 문제로, 사회적 관심을 받게 된 이상 K팝 산업 자체가 큰 위기를 맞이했다는 시각이 업계에서 나오고 있다.

소비자에게 정당한 청약 철회 기회를 주지 않는 대형 엔터사들의 굿즈 판매 행태는 충분히 비판받아 마땅해 보인다. 법적 제재도 그 효력이 유효하다고 여겨질 만큼 강하지 않아 엔터사들의 갑질은 지금까지 그칠 기미가 보이지 않았다. 실제로 하이브가 2021년부터 2024년 상반기까지 아이돌 굿즈 판매로만 1조 2000억원의 매출을 기록한 반면, 위법 사항에 대한 과태료는 300만원에 불과했다.

ADVERTISEMENT
우선, 상품을 구매하는 소비자에게 상품의 옵션(포토카드의 종류)을 선택할 권리를 주지 않는 확률형 상품이라는 데에 문제가 크다. 원하는 카드가 나오지 않는다 해도 엔터 굿즈 회사 규정상 환불도 어렵다. 랜덤 배분 방식이라 앨범을 열 장 넘게 사더라도 동일한 포토 카드가 절반 이상 차지하는 경우가 생길 만큼 불필요한 소비를 유도한다. 팬 사인회도 앨범 100장 넘게 구매해야 당첨 확률이 생기다 보니 앨범 구매 경쟁이 치열하다.
![엔터3사는 확률 게임 회사인가…앨범깡·포토카드 문제 놓고 국회서도 쓴소리 [TEN스타필드]](https://img.tenasia.co.kr/photo/202410/BF.36394120.1.jpg)

미국 빌보드 200 차트는 음반 판매 점수를 반영해 앨범깡 문화가 있는 K팝 아티스트들에게 유리하다. 빌보드 200 차트는 미국 내 대중적 인지도의 기준이 되는 빌보드 HOT100 차트로 나아가기 위해 거쳐 가기 좋은 차트로 평가받는 차트다.

ADVERTISEMENT
이렇게 K팝 산업의 실적과 직결된 아이돌 마케팅 방식을 단번에 뿌리 뽑기는 어려운 일이다. 산업 자체가 흔들릴 수 있는 일이기 때문이다. 도박에 가까운 행동을 유도하는 행위는 옳다고 볼 수는 없지만, 자본주의 시스템 아래 다양한 옵션을 부여해 더 많은 수익을 창출하려는 기업의 움직임은 자연스러운 일이라고도 볼 수 있다.
다만, 이제는 그 방식을 조정해야 할 때가 왔다. 팬 사인회 추첨권을 앨범 구매 건당 주기보다 모든 개인에게 응모권을 하나만 주거나, 포토 카드를 랜덤으로 돌리지 않고 소비자가 직접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혹은 그룹 뉴진스가 그러했듯 모든 멤버의 포토 카드를 한 앨범 안에 모두 넣을 수도 있다. 이는 굿즈를 제작하고 판매하는 기업에서 선택할 부분이다.
ADVERTISEMENT
이민경 텐아시아 기자 2min_ror@tenasia.co.kr
ADVERTISEMENT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