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텐아시아DB
사진=텐아시아DB
여름 극장가 하면 떠오르는 공포영화도, '텐트폴' 영화도 없다. 다소 체급은 낮지만 다양한 장르의 영화 여러 편이 줄줄이 개봉하며 경쟁을 벌인다.

7월 중순부터 8월 중순까지. 통상 여름 극장 성수기를 노리고 대작들이 치열하게 대결을 펼쳤다. 지난해만 해도 '밀수', '비공식작전', '더 문', '콘크리트 유토피아' 등 제작비가 100억을 훨씬 넘는 작품들이 관객들을 맞이했다.

다만 손익분기점을 작품은 '밀수'와 '콘크리트 유토피아' 뿐이다. 제작비 290억원을 쏟아부은 '더 문'은 51만 명, 200억을 쓴 '비공식작전'은 105만 명을 기록하며 흥행 참패했다.

대작이라는 이유로 잠깐의 관심을 끌 순 있지만, 실제 관람까지 이어지는 시대는 끝났다. 이제 시기도 큰 영향을 끼치지 못한다. 여름 성수기뿐만 아니라, 명절 연휴 대목도 마찬가지다. 올해 설 연휴를 노리고 개봉한 '도그데이즈', '데드맨' 등 모두 씁쓸한 성적을 받았다. 지난해 '교섭', '유령' 등 대작들 역시 손익분기점을 넘지 못했다.
'파일럿' 스페셜 포스터 / 사진제공=롯데엔터테인먼트, 쏠레어파트너스
'파일럿' 스페셜 포스터 / 사진제공=롯데엔터테인먼트, 쏠레어파트너스
사진=NEW
사진=NEW
올해 여름 극장가 분위기는 사뭇 다르다. 지난 21일 개봉한 '하이재킹'을 비롯해 26일 '핸섬가이즈', 내달 3일 '탈주', 12일 '탈출: 프로젝트 사일런스', 31일 '파일럿', 8월에는 '빅토리', '행복의 나라'가 관객들을 만날 예정이다. 100억 제작비를 넘는 작품은 '하이재킹' (130억), '탈출:프로젝트 사일런스', '행복의 나라'다. 200억 원 넘는 제작비를 들인 작품이 없다.

성수기에 개봉하는 '파일럿'은 제작비 100억원 미만으로 알려져 있다. '엑시트' 이후 5년 만에 스크린에 복귀하는 조정석 주연 코미디 영화다. '파일럿'은스타 파일럿에서 하루아침에 실직자가 된 한정우(조정석)가 파격 변신 이후 재취업에 성공하며 벌어지는 이야기를 담았다.

예고편부터 조정석의 여장으로 화제다. 조정석은 여장 연기를 위해 "7kg 감량했고 날렵한 턱선은 지압과 림프선 마사지로 만들었다. '저탄고지' 식단으로 관리했다"고 밝혔다.
사진=CJ ENM
사진=CJ ENM
나름 여름 대전에서 대작이라고 할 수 있는 '탈출: 프로젝트 사일런스'는 고인 이선균의 유작이다. '탈출'은 짙은 안개 속 연쇄 추돌 사고가 일어나고, 붕괴 위기의 공항대교에 풀려난 통제불능의 군사용 실험견들로부터 살아남기 위해 극한의 사투를 벌이는 사람들의 이야기. 2021년 촬영을 마친 작품이지만, 코로나19와 출연 배우 이선균의 죽음으로 개봉이 늦춰지다 오는 7월에 개봉을 확정해 눈길을 끌었다.

'행복의 나라'도 이선균의 유작이다. 이미 '파일럿'으로 관객들을 만나는 조정석도 출연한다. '행복의 나라'는 1979년 대통령 암살사건 재판에서 단 한번의 선고로 생사가 결정될 '박태주'를 살리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변호사 '정인후'의 이야기를 그린 영화다. 고 이선균은 극중 한국 현대사를 뒤흔든 사건에 휘말린 강직한 군인 '박태주'로 등장한다.

더불어 한국 공포 영화가 없다는 것도 눈에 띈다. '파묘' 성공 이후 공포보다는 오컬트를 소재로 한 작품이 강세다. 지난해와는 다른 전략을 세운 배급사들의 선택이 관객들을 극장으로 끌어모아 최소 '중박'은 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김서윤 텐아시아 기자 seogugu@tenasia.co.kr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