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민경 텐아시아 기자가 급속도로 발전하는 연예 산업에 사이렌을 울리겠습니다. 보이지 않는 문제를 지적하고, 연예계를 둘러싼 위협과 변화를 알리겠습니다.
엔터와 게임, 서로 다른 산업이었던 이들 사이 경계가 흐려지면서 종합 엔터테인먼트라는 개념이 업계 내 새로운 중심이 돼가고 있다. 엔터사는 엔터 IP(지식재산)을 활용해 게임을 제작하기 시작했고, 게임 등 모바일 콘텐츠 제작 전문 회사는 자사 기술을 활용해 버추얼 아이돌을 제작하며 엔터 업계에 발을 들이고 있다. K콘텐츠라는 큰 틀내에서 두 업계가 궤를 같이하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평가다.

카카오엔터테인먼트는 뮤직 엔터테인먼트 부문으로 가수 아이유가 소속한 이담(EDAM) 엔터테인먼트, 밴드 페퍼톤스 등이 소속한 안테나 뮤직, 그룹 아이브 등이 소속한 스타쉽엔터테인먼트, 그룹 더보이즈 등이 소속한 IST엔터테인먼트를 자회사로 두고 있다.
ADVERTISEMENT
![엔터사와 게임사의 경계가 무너진다 [TEN스타필드]](https://img.tenasia.co.kr/photo/202405/BF.36674112.1.jpg)


하이브IM의 전신은 2016년 설립된 Superb(수퍼브)다. 2021년 9월 하이브의 게임사업 부문이었던 하이브IM이 수퍼브를 흡수합병했고, 이듬해인 2022년 4월 하이브IM은 별도 자회사로 독립했다. 2022년 6월엔 그룹 방탄소년단(BTS) IP를 활용한 '인더섬 with BTS'를 내며 대중의 주목을 받았다.
이에 대해 방시혁 하이브 의장이 직접 의견을 밝히기도 했다. 방 의장은 2022년 11월 "하이브가 음악만으로 중요한 플랫폼 기업이 될 수 있을지 고민이 많았고, 우리 플랫폼이 고객들에게 어떠한 즐거움을 줄 수 있는지의 관점에서 게임을 오랫동안 지켜봤다"며 "결국 게임에 대해 확신을 갖게 되는 순간이 왔고, 게임업계 출신인 박지원 대표도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게임은 잠재력이 큰 시장"이라고도 덧붙였다.
ADVERTISEMENT
이에 대해 김헌식 대중문화 평론가는 "콘텐츠 융복합 현상이 이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비즈니스적 수입 모델 관점에서 IP 콘텐츠 파생 효과를 노리는 거다"라며 "다만 우려스러운 점들이 있다"고 밝혔다.
김헌식 평론가는 "콘텐츠 자체의 경쟁력을 키워 대중의 마음을 얻어야 하는데, 엔터 IP의 후광효과에 기대는 경우가 있다"며 "콘텐츠 다변화를 한다 해서 지속적인 수익 모델이 나는 게 아니다. 깊이 있는 콘텐츠 연구가 이어져야 한다"고 분석했다.
ADVERTISEMENT
이민경 텐아시아 기자 2min_ror@tenasia.co.kr
ADVERTISEMENT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