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객 호구 만든 2023 텐트폴 영화, 초스피드 OTT행 무엇이 문제일까 [TEN스타필드]](https://img.tenasia.co.kr/photo/202312/BF.35283409.1.jpg)
최지예 텐아시아 기자가 연예계 곳곳에서 일어난 사건들을 객관적이고 예리하게 짚어냅니다. 당신이 놓쳤던 '한 끗'을 기자의 시각으로 정밀하게 분석합니다.
이른바 텐트폴이라 불린 2023 여름 대작 영화 네 편이 모두 OTT 플랫폼에 풀렸다. 지난 여름만 해도 극장에 가야 볼 수 있었던 영화들이 짧게는 개봉 후 3주, 길게는 약 4개월 만에 언제 어디서나 관람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올해 텐트폴 대전 참패의 고배를 마신 영화 '더 문'(감독 김용화)이 개봉 한 달을 버티지 못하고 가장 먼저 각종 OTT에 제목 걸렸다. 개봉 이후 불과 23일 만의 일이었다. 지난 8월 2일 개봉한 '더 문'은 손익분기점에서 턱없이 모자라는 51만 명의 관객을 동원했다. '더 문'과 같은날 개봉한 '비공식작전'(감독 김성훈) 역시 기대에 한참 미치지 못한 성적 105만 성적표로 약 한달 만에 안방으로 향했다.
![관객 호구 만든 2023 텐트폴 영화, 초스피드 OTT행 무엇이 문제일까 [TEN스타필드]](https://img.tenasia.co.kr/photo/202312/BF.35283410.1.jpg)
따끈따끈한 신작 영화를 손쉽게 볼 수 있어 좋다는 사람도 있겠지만, 한국영화에 대한 위기 의식을 염두에 둔다면 두 작품의 초스피드 OTT행은 여러모로 아쉬움을 남긴다. 좀 더 가감 없이 말하면 지난 여름 극장을 찾은 관객들을 호구 만드는 행위다.
ADVERTISEMENT


숫자에서 자유롭지 못한 상업영화 특성상, 불가피한 경우 OTT 공개를 결정하는 것까지 나무랄 수는 없다. 게다가 막대한 자본이 오가는 OTT 플랫폼의 무한경쟁 속 영화는 OTT를 마냥 외면하기 어려운 상황에 놓여있다.
이에 일각에서는 영화 개봉 후 일정 기간 의무적으로 2차 판권 시장 판매를 홀딩시키는 제도를 만들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적어도 6개월이나 1년 정도는 공개를 홀딩해 영화의 가치를 높이고 관객들에 대한 예우도 지키자는 이야기다. 한 관계자는 "코로나 이전만 하더라도 1년 정도는 홀딩하는 것이 암묵적인 관행이었으나, 심각한 수준의 적자 탓에 어쩔 수 없는 생존 전략으로 2차 공개까지 기간이 짧아지게 됐다"며 "이같은 행위가 제 살 깎아 먹기라는 것을 모르지 않겠으나 살아야 하니 어쩌겠나"라고 털어놨다.
ADVERTISEMENT
최지예 텐아시아 기자 wisdomart@tenasia.co.kr
ADVERTISEMENT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