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날 '학전 AGAIN' 행사에는 배우 설경구, 장현성, 배해선, 방은진과 뮤지션 박학기, 김형석, 박승화(유리상자), 크라잉넛 여행스케치가 참석했다. 작사가 김이나가 진행을 맡았다.
ADVERTISEMENT
'학전 AGAIN' 프로젝트는 학전 출신 문화예술인들과 함께하는 프로젝트로 2024년 2월 28일부터 3월 14일까지 학전 극장에서 공연될 예정이다. 학전이 창립 33주년을 맞는 내년, 폐관을 앞두고 '학전 AGAIN' 프로젝트 공연이 진행된다.

박학기 한국음악저작권협회 부회장은 "무슨 일을 할 때 계획을 세우고 하면 너무 늦다고 생각한다. 시작하면서 정리하는 것도 없지않아 있다고 생각한다. 어제가 있었기에 오늘이 있고 씨앗이 있었기에 나무가 있는 거다. BTS나 블랙핑크가 성공하기 전 출발한 누군가가 있을 것이다. 항상 우리는 한 층껏 쌓는 것만 생각하고 누가 쌓았나를 생각하지 않는 것 같다"라고 설명했다.
ADVERTISEMENT
박학기 한국음악저작권협회 부회장은 "'아침 이슬' 50주년 때 대부분의 뮤지션이 참가했다. 우리가 음악을 시작할 때 누군가를 바라보면서 시작한다. 우리에게 가장 큰 영향을 준 선배는 김민기 선배셨다. 학전은 우리가 첫 발을 내딛을 수 있는 꿈의 장소였다. 음악을 시작하고 많은 예술인들이 연극을 시작했다. 김민기 선배는 항상 늘 그 자리에 똑같은 모습으로 계셨다. 나이도 많이 드셨고 많은 것을 감내하고 계시더라"면서 회상했다.

장현성은 "자연인 장현성의 인생으로 봤을 때 학전과의 추억이 관객으로서도 많다. 어떤 가수의 콘서트를 봤던 것, 선배의 공연을 봤던 것 등 굉장히 많은 관객분들의 추억이 있을 것이다"라면서 "본인의 인생에서 귀중한 시간들을 되돌이켜 볼 수 있는 기회가 되고 시간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슬프기도 하지만 굉장히 기쁜 선물이 될 수 있을 것 같다. 모양 빠지지 않게 잘 준비할 테니 관객분들도 믿고 찾아와줬으면 좋겠다"고 당부했다.
ADVERTISEMENT

그러면서 그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생님은 나를 이끌어줬다. 우리가 독일 베를린에서 공연을 한 적이 있었다. 그때 그리스 관광객들이 이상한 푸념을 했다. 밀실 같은 곳이었는데 내 눈에는 어마어마해 보였다. 그걸 베를린 시에서 제공을 했다 하더라. 그런데도 투정을 부리더라. 그래서 우리는 자급자족한다고 배부른 소리 하지 말라고 했다"라고 회상하면서 "아침이슬의 뿌리인 학전도 시나 재단 쪽에서 이어가 줄 수 있지 않나 생각한다. 청년 문화의 상징적인 존재로 가치있는 장소라고 생각한다"고 조심스럽게 소망을 전했다.

박학기는이번 공연 수익은 학전의 새로운 출발을 위해 쓰일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아직 구체적인 계획은 없다고 알려졌다.
ADVERTISEMENT

마지막으로 박학기는 "우리가 모은 모든 돈은 학전의 재정상태와 새로운 출발을 위해서 쓰일 것이다. 혹시라도 생각이 있으신 분들이 있다면 기부 영수증도 발행해줄 생각이다"라고 답해 웃음을 자아냈다.
학전 무대를 거쳐 성장한 예술인으로는 가수 윤도현, 박학기, 강산에, 알리, 유리상자, 이은미·자전거탄풍경, 정동하 등과 배우 황정민, 설경구, 김윤석, 안내상, 장현성, 이정은, 김원해 등이 있다.
ADVERTISEMENT
김세아 텐아시아 기자 haesmik@tenasia.co.kr
ADVERTISEMENT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