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를 가능케 한‘딥페이크는 딥러닝(deep learning)과 페이크(fake)의 합성어로, 컴퓨터가 스스로 외부 데이터를 조합, 분석하여 학습하는 딥러닝을 활용해 기존 인물의 얼굴이나 특정 부위를 합성한 기술을 일컫는다. '웰컴투 삼달리' 제작진 역시 1994년의 '전국노래자랑' 영상을 모아 AI를 학습시켰고, 각고의 노력을 거쳐 고 송해를 다시 무대 위에 세울 수 있었다. 어려서부터 가왕 조용필의 노래를 좋아하고 즐겨 불렀던 '제주의 명물' 조용필(지창욱 역)이 전국노래자랑에 나가 '단발머리'를 부르는 장면에서, 우리의 마음속에 영원한 국민 MC로 남아 있는 그를 재현, 시청자들과 그 그리움을 함께 나누고 싶다는 일념 때문이었다.
ADVERTISEMENT
시청자들 역시 감동 댓글로 호응을 보냈다. 시각적 화려함과 압도적 영상미를 위해 CG(컴퓨터 그래픽)와 VFX(시각효과)와 같은 기술을 활용한다는 편견을 깨고, "많은 것들이 흔적도 없어 사라져가는 요즘 세상 속에서 순박함이라 부르는 그것, 사람들의 정(情)만은 붙잡고 싶다"라는 작품의 기획 의도가 드라마 기술 안에도 따뜻하게 녹아든 대목이었다.
제작진은 "그리웠던 고 송해 선생님을 다시 무대로 모실 수 있어서 영광이었다. 이를 가능하게 해주신 유족분들께도 깊은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라며 "시청자분들도 잠시나마 그때 그 시절의 추억과 그리움을 떠올릴 수 있는 시간이었길 바라며, 유족분들께서 좋은 마음으로 허락해주신 만큼 해당 장면은 '웰컴투 삼달리'를 통해서만 함께해주시길 부탁드린다"라고 전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