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숙과 신민아의 모녀 케미
음식에 담긴 기억의 온도
음식에 담긴 기억의 온도
*영화 '3일의 휴가'에 관련 스포일러가 내용이 일부 포함돼있습니다.
기억에도 온도(溫度)가 있을까. 진하디 진한 모녀의 뒤엉킨 서사를 다루는 '3일의 휴가'에는 유독 후후- 입김을 불어서 먹어야 하는 음식들이 반복적으로 등장한다. 영화 '리틀 포레스트 2: 겨울과 봄'(감독 모리 준이치)을 연상케 하는, 새하얀 눈이 내려앉은 고즈넉한 시골 풍경은 평화롭지만 어딘가 공허해 보인다. 공간을 채우는 것은 다름 아닌 탁탁 내리치는 칼질과 보글보글 끓는 물, 타닥거리는 장작 소리다. 덜컹거리는 의자를 손수 못을 박아 고치고, 먼지가 한 움큼 쌓인 시골 백반집을 재정비하는 것은 누구일까.
미국 UCLA 대학에서 교수로 지내던 진주(신민아)는 갑자기 모든 일을 중단하고, 3년 전 사망한 엄마 복자(김해숙)가 살던 시골집으로 내려온 상태다. 왜인지는 알 수 없지만, 진주는 엄마가 운영하던 자그마한 백반집을 재개했다. 엄마 복자는 3일간의 휴가를 부여받고 진주를 보기 위해서 가이드를 따라나섰지만, 미국의 교수직을 버리고 백반집을 운영하는 진주의 모습에 울화통이 터질 지경이다. 하지만 지금 그녀가 할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귀신인 복자의 말이 진주에게 닿을 리는 만무하고, 만지는 것조차 금지되어 있기 때문이다. 누구보다 가까워야 할 모녀(母女) 관계에는 두껍고 단단한 벽이 놓여있다. 단지 서로에게 보이지 않고 들리지 않는 귀신이라는 설정만을 언급하는 것은 아니다. 딸 진주는 복자의 임종을 지키지 못했다는 죄책감과 어린 시절 자신을 외삼촌 집에 맡기고 떠났다는 서러움, 엄마 복자는 딸 진주를 직접 챙겨주지 못한 미안함과 서글픔을 안고 있다. "엄마 때문에 못 살겠다. 나 좀 살려줘"라며 밤중에 벌떡 뛰쳐나가 소리를 지르는 현재 진주의 가슴 안에는 풀리지 않는 응어리가 남아있는 것이다.
이는 모녀 사이에 새겨진 세월의 무게를 반영한다. 우울감에 한없이 가라앉는 진주를 연기한 배우 신민아에게선 전작 드라마 '우리들의 블루스' 속 세상의 모든 빛이 사라지고, 깊은 수렁 속으로 빠진 민선아의 모습을 언뜻 비치기도 한다. 정신병원을 찾아간 진주는 의사에게 "잠을 못 자요. 깨면 기억들이 한꺼번에 쏟아져요"라고 말한다. 끝내 매듭짓지 못했던 모녀의 이야기는 진주의 삶에 침범해 느닷없이 범람했던 것. '휴가'라는 목적으로 이승에 내려왔건만, 육상효 감독은 미처 몰랐던 진주의 속내를 엿보는 방식으로 복자의 3일간의 시간을 사용한다. 과거와 현재를 교차편집하며 기억이란 연료를 발화시키는데, 특히나 과거의 기억 속 복자가 진주에게 전화를 걸 때마다 들려오는 컬러링 노라 존스의 'Don't know why'는 모녀의 거리감을 드러내는 장치 중 하나다.
응답 없는 전화를 붙들고 무슨 뜻인지도 모를 진주의 컬러링을 듣고 있는 복자와 전화 알림을 못 본 척 무시하는 진주는 자꾸만 어긋난다. 지나온 과거는 노라 존스의 음악과 함께 현재까지 흐르는데, 현재의 버스 터미널에서 진주는 스피커에서 나오는 노라 존스의 'Don't know why'를 듣고, 그 옆에는 귀신인 복자가 앉아 듣는다. 두 사람의 침묵을 대변하는 "I don't know why I didn't come"이라고 반복되며 후회하는 듯한 가사는 쓸쓸함을 더욱 배가시킨다. 복자가 보내는 3일간의 시간은 그간 해소되지 못했던 감정의 들끓음을 온기로 치환된다. 진주는 장독대에 묻은 김치의 아삭함을 언급했던 복자의 말을 기억해 손님에게 스팸 김치찌개를 내놓거나, 백반집에서 나가라며 시위하던 주민들에게 아궁이에서 건져올린 국수를 건네며 과거 엄마의 음식 솜씨에 관한 이야기를 듣거나, 기억의 저편에서 꺼낸 엄마만의 레시피인 무 만두를 친구 미진(황보라)과 먹으며 어린 시절 함께 무 만두를 만들었던 기억을 소환하기도 한다.
음식에는 함께 먹었던 사람과의 기억이 담겨있듯이, 영화는 진주가 요리하는 과정을 통해서 추억의 조각들이 펼쳐놓는다. 이는 과거의 기억 속 복자가 맥도날드에서 아이스크림콘을 들고 멍하니 앉아있는 장면과 포개지기도 한다. 손수 만든 음식들을 진주의 월세방에 가져갔지만, 매몰차게 거절당하는 복자는 그 길로 하염없이 걷다가 맥도날드에 당도한다. 눈물이 고인 복자가 주문한 메뉴는 햄버거가 아닌 그저 아이스크림콘. 손에 꽉 쥔 아이크림콘은 복자의 눈물을 대신하듯 속절없이 흘러내리고, 그 광경을 멀리서 지켜보던 진주는 시간이 지나 같은 장면을 반복한다. 다만, '3일의 휴가'의 아쉬운 지점은 '휴가'라는 의미가 다소 퇴색되었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3일이라는 짧은 시간에도 불구하고 복자는 엄마로서 딸 진주의 삶에만 집중하며 전전긍긍하는 모습을 보였다. 물론 동네 이웃들의 말을 거들거나, 친구를 찾아가기도 했지만 모두 진주에 관한 말들이었다. 엄마라는 역할로만 존재할 뿐, 인간 복자로서의 '쉼'과 '인생'은 전혀 존재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딸을 위해서 희생하고 그저 살아내기 급급했던 복자의 삶이, 3일간의 휴가만큼은 자신을 위해서 사용했으면 어땠을지 하는 바람이다.
그럼에도 서로의 진심을 마주하지 못했던 모녀에게 판타지적 요소가 가미되며, 매듭이 지어지는 느낌이다. 더욱이 "지랄하고 있네"라며 거칠게 내뱉는 김해숙 특유의 말맛과 남겨진 자로서 지닌 후회와 회한을 담아낸 신민아의 깊이감, 김해숙을 안내하며 톰과 제리처럼 투닥거리는 가이드 강기영의 유쾌함, 속내를 털어놓고 싸울 수 있는 친구 미진 역 황보라의 편안함은 '3일의 휴가'가 지닌 소재적 한계를 보완해주는 요소로 작용한다.
"가장 소중하고 가까운, 항상 내 옆에 있는 사람에게 해야 할 말을 놓치기도 한다"는 김해숙의 말처럼, '3일의 휴가'를 통해 내 옆에서 나를 아껴주는 소중한 사람들을 되돌아보면 어떨까.
영화 '3일의 휴가' 12월 6일 개봉. 러닝타임 105분. 12세 관람가.
이하늘 텐아시아 기자 greenworld@tenasia.co.kr
기억에도 온도(溫度)가 있을까. 진하디 진한 모녀의 뒤엉킨 서사를 다루는 '3일의 휴가'에는 유독 후후- 입김을 불어서 먹어야 하는 음식들이 반복적으로 등장한다. 영화 '리틀 포레스트 2: 겨울과 봄'(감독 모리 준이치)을 연상케 하는, 새하얀 눈이 내려앉은 고즈넉한 시골 풍경은 평화롭지만 어딘가 공허해 보인다. 공간을 채우는 것은 다름 아닌 탁탁 내리치는 칼질과 보글보글 끓는 물, 타닥거리는 장작 소리다. 덜컹거리는 의자를 손수 못을 박아 고치고, 먼지가 한 움큼 쌓인 시골 백반집을 재정비하는 것은 누구일까.
미국 UCLA 대학에서 교수로 지내던 진주(신민아)는 갑자기 모든 일을 중단하고, 3년 전 사망한 엄마 복자(김해숙)가 살던 시골집으로 내려온 상태다. 왜인지는 알 수 없지만, 진주는 엄마가 운영하던 자그마한 백반집을 재개했다. 엄마 복자는 3일간의 휴가를 부여받고 진주를 보기 위해서 가이드를 따라나섰지만, 미국의 교수직을 버리고 백반집을 운영하는 진주의 모습에 울화통이 터질 지경이다. 하지만 지금 그녀가 할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귀신인 복자의 말이 진주에게 닿을 리는 만무하고, 만지는 것조차 금지되어 있기 때문이다. 누구보다 가까워야 할 모녀(母女) 관계에는 두껍고 단단한 벽이 놓여있다. 단지 서로에게 보이지 않고 들리지 않는 귀신이라는 설정만을 언급하는 것은 아니다. 딸 진주는 복자의 임종을 지키지 못했다는 죄책감과 어린 시절 자신을 외삼촌 집에 맡기고 떠났다는 서러움, 엄마 복자는 딸 진주를 직접 챙겨주지 못한 미안함과 서글픔을 안고 있다. "엄마 때문에 못 살겠다. 나 좀 살려줘"라며 밤중에 벌떡 뛰쳐나가 소리를 지르는 현재 진주의 가슴 안에는 풀리지 않는 응어리가 남아있는 것이다.
이는 모녀 사이에 새겨진 세월의 무게를 반영한다. 우울감에 한없이 가라앉는 진주를 연기한 배우 신민아에게선 전작 드라마 '우리들의 블루스' 속 세상의 모든 빛이 사라지고, 깊은 수렁 속으로 빠진 민선아의 모습을 언뜻 비치기도 한다. 정신병원을 찾아간 진주는 의사에게 "잠을 못 자요. 깨면 기억들이 한꺼번에 쏟아져요"라고 말한다. 끝내 매듭짓지 못했던 모녀의 이야기는 진주의 삶에 침범해 느닷없이 범람했던 것. '휴가'라는 목적으로 이승에 내려왔건만, 육상효 감독은 미처 몰랐던 진주의 속내를 엿보는 방식으로 복자의 3일간의 시간을 사용한다. 과거와 현재를 교차편집하며 기억이란 연료를 발화시키는데, 특히나 과거의 기억 속 복자가 진주에게 전화를 걸 때마다 들려오는 컬러링 노라 존스의 'Don't know why'는 모녀의 거리감을 드러내는 장치 중 하나다.
응답 없는 전화를 붙들고 무슨 뜻인지도 모를 진주의 컬러링을 듣고 있는 복자와 전화 알림을 못 본 척 무시하는 진주는 자꾸만 어긋난다. 지나온 과거는 노라 존스의 음악과 함께 현재까지 흐르는데, 현재의 버스 터미널에서 진주는 스피커에서 나오는 노라 존스의 'Don't know why'를 듣고, 그 옆에는 귀신인 복자가 앉아 듣는다. 두 사람의 침묵을 대변하는 "I don't know why I didn't come"이라고 반복되며 후회하는 듯한 가사는 쓸쓸함을 더욱 배가시킨다. 복자가 보내는 3일간의 시간은 그간 해소되지 못했던 감정의 들끓음을 온기로 치환된다. 진주는 장독대에 묻은 김치의 아삭함을 언급했던 복자의 말을 기억해 손님에게 스팸 김치찌개를 내놓거나, 백반집에서 나가라며 시위하던 주민들에게 아궁이에서 건져올린 국수를 건네며 과거 엄마의 음식 솜씨에 관한 이야기를 듣거나, 기억의 저편에서 꺼낸 엄마만의 레시피인 무 만두를 친구 미진(황보라)과 먹으며 어린 시절 함께 무 만두를 만들었던 기억을 소환하기도 한다.
음식에는 함께 먹었던 사람과의 기억이 담겨있듯이, 영화는 진주가 요리하는 과정을 통해서 추억의 조각들이 펼쳐놓는다. 이는 과거의 기억 속 복자가 맥도날드에서 아이스크림콘을 들고 멍하니 앉아있는 장면과 포개지기도 한다. 손수 만든 음식들을 진주의 월세방에 가져갔지만, 매몰차게 거절당하는 복자는 그 길로 하염없이 걷다가 맥도날드에 당도한다. 눈물이 고인 복자가 주문한 메뉴는 햄버거가 아닌 그저 아이스크림콘. 손에 꽉 쥔 아이크림콘은 복자의 눈물을 대신하듯 속절없이 흘러내리고, 그 광경을 멀리서 지켜보던 진주는 시간이 지나 같은 장면을 반복한다. 다만, '3일의 휴가'의 아쉬운 지점은 '휴가'라는 의미가 다소 퇴색되었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3일이라는 짧은 시간에도 불구하고 복자는 엄마로서 딸 진주의 삶에만 집중하며 전전긍긍하는 모습을 보였다. 물론 동네 이웃들의 말을 거들거나, 친구를 찾아가기도 했지만 모두 진주에 관한 말들이었다. 엄마라는 역할로만 존재할 뿐, 인간 복자로서의 '쉼'과 '인생'은 전혀 존재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딸을 위해서 희생하고 그저 살아내기 급급했던 복자의 삶이, 3일간의 휴가만큼은 자신을 위해서 사용했으면 어땠을지 하는 바람이다.
그럼에도 서로의 진심을 마주하지 못했던 모녀에게 판타지적 요소가 가미되며, 매듭이 지어지는 느낌이다. 더욱이 "지랄하고 있네"라며 거칠게 내뱉는 김해숙 특유의 말맛과 남겨진 자로서 지닌 후회와 회한을 담아낸 신민아의 깊이감, 김해숙을 안내하며 톰과 제리처럼 투닥거리는 가이드 강기영의 유쾌함, 속내를 털어놓고 싸울 수 있는 친구 미진 역 황보라의 편안함은 '3일의 휴가'가 지닌 소재적 한계를 보완해주는 요소로 작용한다.
"가장 소중하고 가까운, 항상 내 옆에 있는 사람에게 해야 할 말을 놓치기도 한다"는 김해숙의 말처럼, '3일의 휴가'를 통해 내 옆에서 나를 아껴주는 소중한 사람들을 되돌아보면 어떨까.
영화 '3일의 휴가' 12월 6일 개봉. 러닝타임 105분. 12세 관람가.
이하늘 텐아시아 기자 greenworld@tenasia.co.kr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