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서울의 봄' 배우 박해준 인터뷰
'서울의 봄'의 배우 박해준은 자신이 맡은 노태건 캐릭터를 위해 고민한 지점을 설명했다.
배우 박해준은 24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에 위치한 한 카페에서 영화 '서울의 봄'(감독 김성수) 관련 인터뷰에 나섰다.
'서울의 봄'은 1979년 12월 12일 수도 서울에서 일어난 신군부 세력의 반란을 막기 위한 일촉즉발의 9시간을 그린 영화다. 배우 박해준은 전두광의 친구이자 반란군의 2인자. 우유부단한 성격으로 겁도 나지만, 전두광의 권력욕에 편승해 전방 부대인 9사단을 서울로 불러들이는 것을 포함해 군사반란에 핵심적인 인물 노태건 역으로 출연한다.
극 중에서 박해준이 맡은 노태건은 故 노태우 전 대통령을 모티브 삼아 만든 캐릭터. 노태건은 전두광(황정민)을 따르지만 동시에 속을 좀처럼 알 수 없는 복합적인 인물이다. 특히 불같은 성격의 전두광과 물 같은 성격의 이태신(정우성)의 중간에서 자신만의 이야기를 써내려가는 느낌도 있다. 노태건 캐릭터를 어떤 식으로 해석하고 연기에 임했냐는 질문에 박해준은 "전두광을 마냥 따라가는 인물이 아니기를 바랐다. 전두광이 의견을 제시했을 때, 완벽한 전두광의 편보다 동업자 같은 느낌이었다. 갈등이 계속 있는 인물인 것 같다. 전두광의 이야기에 동조는 하지만, 한편으로는 걱정과 의심은 늘 가지고 있는 인물이다. 그런 부분에서 우유부단하기보다는 그런 면에서 나는 상당히 주체적이라고 생각했다"라고 고민한 지점을 털어놨다.
이어 "권력보다는 상황 대처에 유연한 인물이라고 생각했다. 실제로 감독님이 그 인물에 대해 이야기를 해주실 때, '노태건'은 부들부들하고 사람들과 관계가 좋다. 무언가 일을 도모할 때, 행동이 앞서는 사람이 있으면 그 뒤를 채워주는 사람이라는 점에 관해 이야기 나눴다"라고 덧붙였다.
특히 '서울의 봄'은 촌각을 다투는 9시간 동안 인물들의 욕망이 포개지면서, 다양한 인간 군상들이 서로 싸우고 의기투합하는 앙상블이 주요한 매력 포인트 중에 하나다. 전두광과 함께 여러 장군과의 앙상블을 보여준 박해준은 "틀에 박혀서 하지는 않았던 것 같다. 이 신을 위해서 달려가는 에너지가 너무 좋았다. 몇 번 합을 맞춰보면 자신들이 알아서 유기적으로 움직이고, 이 공간을 꽉꽉 채운다. 물러나서 보고 있으면 '이거지. 장군들이라고 다르나'라는 생각도 든다. 너무 훌륭한 작업이었다"라고 비하인드를 밝혔다.
전두광 역의 황정민은 故 전두환 전 대통령을 연상시키는 비주얼로 관객들을 분위기만으로도 압도한다. 극 중에서 황정민과 가장 많은 호흡을 맞추면서 압도되거나 놀란 순간이 있느냐는 질문에 "한마디 한마디가 너무 힘이 있으시지 않나. 나는 그렇게 힘이 없다(웃음) 어떤 에너지와 힘, 작품을 대하는 태도가 현장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느냐'에 대해서 정말 배워야 할 것 같다. 그 힘은 아마 우성 선배님과 정민 선배님이 주연배우로서 이 영화의 텐션을 가지고 가야겠다는 마음 때문이지 않을까. 많이 배워야겠다"라고 말했다.
영화 '서울의 봄'은 지난 11월 22일 개봉했다.
이하늘 텐아시아 기자 greenworld@tenasia.co.kr
배우 박해준은 24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에 위치한 한 카페에서 영화 '서울의 봄'(감독 김성수) 관련 인터뷰에 나섰다.
'서울의 봄'은 1979년 12월 12일 수도 서울에서 일어난 신군부 세력의 반란을 막기 위한 일촉즉발의 9시간을 그린 영화다. 배우 박해준은 전두광의 친구이자 반란군의 2인자. 우유부단한 성격으로 겁도 나지만, 전두광의 권력욕에 편승해 전방 부대인 9사단을 서울로 불러들이는 것을 포함해 군사반란에 핵심적인 인물 노태건 역으로 출연한다.
극 중에서 박해준이 맡은 노태건은 故 노태우 전 대통령을 모티브 삼아 만든 캐릭터. 노태건은 전두광(황정민)을 따르지만 동시에 속을 좀처럼 알 수 없는 복합적인 인물이다. 특히 불같은 성격의 전두광과 물 같은 성격의 이태신(정우성)의 중간에서 자신만의 이야기를 써내려가는 느낌도 있다. 노태건 캐릭터를 어떤 식으로 해석하고 연기에 임했냐는 질문에 박해준은 "전두광을 마냥 따라가는 인물이 아니기를 바랐다. 전두광이 의견을 제시했을 때, 완벽한 전두광의 편보다 동업자 같은 느낌이었다. 갈등이 계속 있는 인물인 것 같다. 전두광의 이야기에 동조는 하지만, 한편으로는 걱정과 의심은 늘 가지고 있는 인물이다. 그런 부분에서 우유부단하기보다는 그런 면에서 나는 상당히 주체적이라고 생각했다"라고 고민한 지점을 털어놨다.
이어 "권력보다는 상황 대처에 유연한 인물이라고 생각했다. 실제로 감독님이 그 인물에 대해 이야기를 해주실 때, '노태건'은 부들부들하고 사람들과 관계가 좋다. 무언가 일을 도모할 때, 행동이 앞서는 사람이 있으면 그 뒤를 채워주는 사람이라는 점에 관해 이야기 나눴다"라고 덧붙였다.
특히 '서울의 봄'은 촌각을 다투는 9시간 동안 인물들의 욕망이 포개지면서, 다양한 인간 군상들이 서로 싸우고 의기투합하는 앙상블이 주요한 매력 포인트 중에 하나다. 전두광과 함께 여러 장군과의 앙상블을 보여준 박해준은 "틀에 박혀서 하지는 않았던 것 같다. 이 신을 위해서 달려가는 에너지가 너무 좋았다. 몇 번 합을 맞춰보면 자신들이 알아서 유기적으로 움직이고, 이 공간을 꽉꽉 채운다. 물러나서 보고 있으면 '이거지. 장군들이라고 다르나'라는 생각도 든다. 너무 훌륭한 작업이었다"라고 비하인드를 밝혔다.
전두광 역의 황정민은 故 전두환 전 대통령을 연상시키는 비주얼로 관객들을 분위기만으로도 압도한다. 극 중에서 황정민과 가장 많은 호흡을 맞추면서 압도되거나 놀란 순간이 있느냐는 질문에 "한마디 한마디가 너무 힘이 있으시지 않나. 나는 그렇게 힘이 없다(웃음) 어떤 에너지와 힘, 작품을 대하는 태도가 현장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느냐'에 대해서 정말 배워야 할 것 같다. 그 힘은 아마 우성 선배님과 정민 선배님이 주연배우로서 이 영화의 텐션을 가지고 가야겠다는 마음 때문이지 않을까. 많이 배워야겠다"라고 말했다.
영화 '서울의 봄'은 지난 11월 22일 개봉했다.
이하늘 텐아시아 기자 greenworld@tenasia.co.kr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