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서울의 봄' 배우 박해준 인터뷰
배우 박해준. /사진제공=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배우 박해준. /사진제공=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서울의 봄'의 배우 박해준은 김성수 감독에 대한 존경심을 드러냈다.

배우 박해준은 24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에 위치한 한 카페에서 영화 '서울의 봄'(감독 김성수) 관련 인터뷰에 나섰다.

'서울의 봄'은 1979년 12월 12일 수도 서울에서 일어난 신군부 세력의 반란을 막기 위한 일촉즉발의 9시간을 그린 영화다. 배우 박해준은 전두광의 친구이자 반란군의 2인자. 우유부단한 성격으로 겁도 나지만, 전두광의 권력욕에 편승해 전방 부대인 9사단을 서울로 불러들이는 것을 포함해 군사반란에 핵심적인 인물 노태건 역으로 출연한다.

지난 22일 개봉한 '서울의 봄'은 이틀 만에 누적 관객수 39만8541명을 기록하며, 관객들의 뜨거운 반응이 이어지고 있다. 뜨거운 반응을 예상했는지 묻자 "기분이 좋다. 들뜨는 느낌이다. 주변 분들이 연락이 와서 영화를 잘 봤다고 하더라. 그동안 영화 시장이 좋지가 않지 않았나. 한국 영화에 봄이 올 것이라는 문자도 받았다. 원래 나는 두 시간 이상의 영화를 볼 때, 시계를 세 번 정도 본다. 시계를 처음 봤을 때가 2시간 10분 정도 지났을 때더라. 시간이 잘 가서 오히려 단점이라는 생각이 들었다(웃음)"라고 이야기했다.

1979년 12월 12일 군사 반란을 배경으로 한 '서울의 봄'에서 박해준이 맡은 노태건은 실존 인물인 故 노태우 전 대통령을 모티브로 한 인물이다. 시나리오를 처음 받고, 부담되기도 했을 터. 박해준은 "하루 안에 그 많은 소동이 일어나는 것이 재밌었다. 걱정은 역할에 대한 것이었다. 그 이후, 황정민 선배의 연극 '리차드 3세'를 봤었다. 정말 에너제틱 하시더라. 드라마의 긴장감과 상황이 얼마나 급박한지에 대한 집중력이 엿보이셨다. 나도 노태건을 그렇게 접근해야겠다고 생각했다. 그로 인해 해석할 수 있는 영역이 조금 더 자유로워지는 것 같더라"라고 설명했다.

'비트'(1997), '태양은 없다'(1999), '아수라'(2016) 등 청춘의 초상이나 뒤엉키고 소용돌이치는 사건들을 주로 연출해온 김성수 감독과 처음으로 호흡을 맞춘 소감에 대해 "리허설을 많이 하시더라. '이 부분을 이렇게 고치면 더 좋을 것 같다'는 식의 이야기를 많이 해주셨다. 내가 생각지도 못한 부분들을 감독님께서 말씀해주셔서 너무 좋았다. 그 순간 살아있다는 느낌을 받도록 만들어주시는 것 같다. 몸은 너무 힘들었지만, 재밌었다"라고 답했다.

김성수 감독과 벌써 5번째 호흡을 맞춘 이태신 역의 정우성은 '너무 집요해서 징글징글하다'라고 언급하기도 했는데, 그런 순간을 느낀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 박해준은 "집요한 면이 없다고 이야기할 수는 없다. 우성 선배님은 감독님과 작업을 많이 하지 않았나. 사실 감독님과 처음 작업하는 새내기 같은 마음으로는 너무 행운이었다"라고 언급했다.

영화 '서울의 봄'은 지난 11월 22일 개봉했다.

이하늘 텐아시아 기자 greenworld@tenasia.co.kr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