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MBC '선녀들' 방송 화면.
사진=MBC '선녀들' 방송 화면.
전현무가 기안84를 의식하며 연예대상 욕심을 드러내 웃음을 안겼다.

지난 29일 방송된 MBC 예능 ‘선을 넘는 녀석들-더 컬렉션’(이하 ‘선녀들’)는 ‘대한민국 정치의 심장’ 국회의사당에서 펼쳐진 ‘3金(김영삼, 김종필, 김대중) 컬렉션’ 특집으로 꾸며졌다. 멤버들은 역사학자 김재원, 박태균과 함께 국회도서관의 보물창고 수장고, 본회의장 등 곳곳을 방문하며 파란만장했던 국회의 역사를 파헤쳤다.

특히 전현무에게 국회는 과거 짧았던 기자 시절을 떠오르게 하는 곳이었다. 일일 기자로 변신한 전현무는 뉴스 브리핑을 하며 등장해 눈길을 끌었다. 브리핑 도중 창피함에 현실 자각 타임이 온 전현무는 “기안84가 인도 물만 안 먹었어도”라고 외쳤다.

본격적인 국회 투어가 시작됐다. 멤버들은 75년간 총 9번의 개헌을 거친 국회의 역사를 첫 발걸음부터 배워 나갔다. 격동의 시기에 등장한 한국 정치의 거목, 일명 3金이라 불리는 YS(김영삼), JP(김종국), DJ(김대중)의 발자취를 따라갔다. 경쟁하고 협력하며 정치를 이끈 ‘3金 시대’는 파란만장한 사건들로 모두를 놀라게 했다.
사진=MBC '선녀들' 방송 화면.
사진=MBC '선녀들' 방송 화면.
당시 만 25세 ‘최연소 국회의원’으로 등장한 김영삼은 정권 연장을 하려는 이승만의 2차 개헌을 반대하는 혈기왕성한 청년 정치인으로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 ‘킹메이커 2인자’ 김종필은 민주공화당 창당을 주도하고, 중앙정보부(현재 국정원)를 창설한 이력으로 눈길을 끌었다. 한일협정 논란이 거세게 일던 때, 국회에서 무려 5시간 19분의 필리버스터(의회 안에서 의사 진행을 지연시키기 위한 무제한 토론)를 펼친 김대중의 기네스 기록은 감탄을 자아냈다. 또 박정희의 견제 속, 위기를 기회로 바꿔 거물급 정치인으로 거듭난 김대중의 강인한 ‘인동초 정신’도 관심을 모았다.

박정희의 장기 집권에 맞서 싸운 ‘정치계 젊은 돌풍’ 김영삼과 김대중의 행보는 돋보였다. 제7대 대통령 선거 당시 김대중 후보의 장충단공원 유세에는 최대 100만 명이 운집, 정권 교체에 대한 국민들의 열망을 보여줬다고. 유신 개헌으로 가는 길목인 1970년대, 김대중은 일본 호텔에서 괴한들에게 납치를 당하는 사건을 겪기도 했다. 김대중은 죽음 직전 극적으로 구출됐고, ‘DJ 납치 사건’은 큰 파장을 불러왔다. 또 독재 정권 아래 김영삼은 민주화를 외치며 맞섰고, 국회의원직에서 제명당하기도 했다. 이때 김영삼이 한 응답 “닭 모가지를 비틀어도 새벽은 온다”는 지금까지도 회자되고 있다고.

신군부 집권기, 고난 속 김영삼과 김대중은 다시 한번 위기를 돌파하려 했다. 사형 선고를 받은 김대중은 미국의 구명으로 망명을 했고, 가택 연금된 김영삼은 5·18 광주민주화운동 3주년을 맞아 23일간 단식 투쟁에 돌입했다. 미국에 있던 김대중은 김영삼의 단식을 지지하며 단합에 뜻을 모았다. 다시 연대한 김영삼과 김대중은 1983년 8·15 광복절에 ‘민주화 투쟁은 민족의 독립과 해방을 위한 투쟁이다’라는 공동 성명을 서울과 워싱턴에서 발표했다. 이는 1987년 민주화까지 가는 중요한 흐름의 시작이 됐다.

제9차 개헌으로 대통령 직선제가 부활했지만, 양金의 출마로 야권이 분열돼 안타까움을 자아냈다. 이후 3당 합당으로 거대 여당이 탄생했고, 우리 정치사의 구도가 보수와 진보로 바뀌어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고. 때로는 같이 때로는 따로, 3金의 발자취를 따라가 한국 정치사, 민주주의 역사를 살펴본 전현무는 “국회에서 나온 이야기들이 얼마나 국민들을 향해 있을까. 그런 것들을 생각하면서 소름이 돋았다. 오늘을 계기로 더 관심을 가져야겠다고 생각했다”라고 소감을 전해, 국회 투어가 남긴 의미를 생각하게 했다.

‘한국의 피카소’ 김환기 화백 특집으로 꾸며질 ‘선을 넘는 녀석들-더 컬렉션’ 다음 이야기는 오는 11월 5일 오후 9시 10분 방송된다.

태유나 텐아시아 기자 youyou@tenasia.co.kr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