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 회 시청률 0.8%…화제성 無
이영지 우승, 빛 좋은 개살구
엠넷, 변화無…우려먹기에 지친 시청자
이영지 우승, 빛 좋은 개살구
엠넷, 변화無…우려먹기에 지친 시청자
![이영지 / 사진=엠넷 쇼미더머니](https://img.hankyung.com/photo/202301/BF.32283169.1.jpg)
쇼미더머니 시리즈의 시작은 2012년이었다. 당시 비주류였던 힙합 장르를 수면 위로 올렸다는 데 의미가 있다. 프로그램이 방영된 지 약 10년. 10년은 강산도 변하는 시간이다. 변하지 않은 엠넷의 기획은 '쇼미더머니'를 지루하게 만들었다.
경연 프로그램의 경우 관심을 끄는 '새로운 인물'이 나와야 흥행한다. 새로운 인물에 서사를 덧대어주는 것이 방송사의 몫. 엠넷이 '쇼미더머니 11'에 내세운 것은 이영지였다. 여성, 고등 래퍼 우승, 힙합 경연 프로그램 최초 2번 우승 등 좋은 소재거리에도 흥행시키지 못한 것은 엠넷의 책임이 크다.
![엠넷 로고 / 사진=엠넷](https://img.hankyung.com/photo/202301/BF.32283185.1.jpg)
엠넷의 문제는 도전을 대하는 태도다. 힙합이 흥하자 10년을 우려먹었다. 최근에는 '춤'이 관심을 끌자, 몇 년째 똑같은 댄서들의 '춤 잔치'가 벌어지고 있다.
물론 엠넷만의 문제는 아니다. 다수의 방송사가 이 방식을 고집하고 있다. 트로트가 인기를 끌자 트로트 가수들이 경연하고 있다. 연예 프로그램 역시, 여러 채널에서 매일 같이 쏟아지고 있다.
똑같은 형태의 방송이라도 잘되면 그만이다. 하지만 '쇼미더머니' 시리즈는 초라한 성적표를 받았다. 당장 올해 열 두 번째 시즌도 확신할 수 없을 것.
래퍼들은 인지도를 쌓기 위해 '쇼미더머니'에 출연한다. 이제는 본선에 올라도 유명해지지 않는다. 과거 악뮤 이찬혁이 '쇼미더머니' 무대에 올라 힙합은 더 이상 멋지지 않다는 가사가 현실이 되고 있다.
윤준호 텐아시아 기자 delo410@tenasia.co.kr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