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대-부담 동시에 안고 있는 '아바타: 물의 길'
현존 최고 기술 예고하며 혁신적 영화 예고
긴 공백기-192분 러닝타임-천문학적 손익분기점
12월 14일 한국서 세계 최초 개봉
현존 최고 기술 예고하며 혁신적 영화 예고
긴 공백기-192분 러닝타임-천문학적 손익분기점
12월 14일 한국서 세계 최초 개봉

최지예 텐아시아 기자가 영화 이야기를 전합니다. 현장 속 생생한 취재를 통해 영화의 면면을 분석하고, 날카로운 시각이 담긴 글을 재미있게 씁니다.
13년 만에 돌아오는 '아바타: 물의 길', 기대가 큰 만큼 부담도 크다. 영화 '터미네이터'(1984)와 '타이타닉'(1997)을 만든 거장 제임스 카메론의 작품인데다, 전편인 '아바타'(2009)는 역대 전 세계 박스오피스 1위를 굳건히 지키고 있다.
스크린에 3D 기술을 도입하며 영화 기술적 분야에 새로운 지평을 열어젖힌 '아바타'에 이어 이번 '아바타: 물의 길' 역시 현존 최고의 기술레벨을 예고하며 위풍당당하다.
ADVERTISEMENT
한국 관객에 대한 애정도 최고 수준이다. '아바타: 물의 길'은 지난 10월 열린 '부산국제영화제'에서 18분 분량의 풋티지 영상을 최초로 공개했다. 존 랜도 프로듀서는 부산에 직접 방문해 영화 관계자들을 만났고, 제임스 카메론 감독 역시 화상을 통해 관객과 소통에 나섰다. 나아가 '아바타: 물의 길'은 한국 스크린에서 최초 공개를 결정, 국내 관객들에게 가장 먼저 작품을 선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바타: 물의 길'의 흥행을 마냥 낙관하기 어려운 지점들이 있다.
ADVERTISEMENT
3시간 10분으로 알려진 러닝타임도 관람을 주저하게 만들 수 있다. '아바타: 물의 길'을 제대로 즐기기 위해서는 3D 장치 착용이 필수적인데, 3시간 12분이라는 긴 시간 동안 안경를 착용하는 것이 낯설고 피로하게 다가올 수 있다는 지적이다. 나아가 4D로 관람할 경우 의자가 움직이고 물까지 뿌려댈텐데, 이를 즐기기엔 러닝타임이 너무 길다. 관객들이 3시간 10분 동안 엉덩이를 붙이고 영화에 완벽하게 몰입하게 만들 수 있는지가 관건이 될 터다.
천문학적 수준의 손익분기점도 '아바타: 물의 길'의 흥행 기준을 하늘 끝까지 높여놨다. 제임스 카메론 감독은 앞서 인터뷰를 통해 "'아바타: 물의 길'은 영화 역사상 최악의 비지니스"라고 자학하며 이번 작품의 손익분기점이 2조8,000억 원 이상이라고 추정해 놀라움을 자아냈다. 이 경우 '아바타: 물의 길'은 최소 역대 전 세계 박스오피스 4위(20억 7,000만 달러)인 '스타워즈: 깨어난 포스'(2015)를 넘어서야 수익을 낼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2022년 개봉작 중 전 세계 박스오피스 1위를 기록한 영화 '탑건: 매버릭'은 14억 8,000달러에 그쳤다.
ADVERTISEMENT
한편 '아바타: 물의 길'은 전편 '아바타'에 이어 제임스 카메론 감독이 13년만에 선보이는 속편으로, 판도라 행성에서 '제이크 설리'와 '네이티리'가 이룬 가족이 겪게 되는 무자비한 위협과 살아남기 위해 떠나야 하는 긴 여정과 전투, 그리고 견뎌내야 할 상처에 대한 이야기를 담았다.
12월 14일 한국에서 전 세계 최초 개봉을 확정했으며, 이에 앞서 12월 9일 제임스 카메론 감독과 존 랜도 프로듀서를 비롯해 샘 워싱턴, 조 샐다나, 시고니 위버, 스티븐 랭 등 영화의 주역들이 내한해 한국 관객들에 인사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
Failed to fet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