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라이브커머스는 출연자가 실시간으로 제품을 판매하고 설명한다는 점에서는 홈쇼핑과 유사하지만, 출연자와 시청자의 실시간 소통이 이루어진다는 점이 홈쇼핑과는 다르다.
ADVERTISEMENT
채팅창은 시청자들간 정보 공유의 장이 되기도 한다. 소비자끼리 실시간으로 리뷰를 공유해 따로 검색할 필요가 없는 것도 장점이다. 유튜브 콘텐츠로 정보를 얻는 데 익숙한 MZ세대는 라이브커머스를 하나의 영상 콘텐츠로 즐긴다.
라이브커머스의 기획자는 이같은 라이브커머스만의 특성 때문에 전문 쇼핑호스트보다는 유튜버, 인플루언서를 섭외하는 경우가 많다. 라이브커머스는 홈쇼핑과는 달리 전문성보다는 소통을 강조하기 때문이다. 시청자들 또한 제품에 대한 관심보다는 출연자에 대한 관심으로 시청하는 경우가 많다.

ADVERTISEMENT
‘멍돌이’, ‘허둥걸’, ‘올리비아올슨’을 비롯한 MZ세대 인플루언서들은 소비를 통해 즐거움과 재미를 찾는 2030세대 트렌드를 정확히 분석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들은 기존의 TV홈쇼핑과 달리 방송 심의에서 비교적 자유롭다는 라이브커머스의 장점을 적극적으로 이용한다. TV에서는 불가능한 다양한 연출로 엔터테인먼트적 요소를 강조하며 소비자에게 매력을 어필한다.
ADVERTISEMENT
이처럼 시청자들이 어떤 방송에 열광하는지 파악하고, 시청자들이 방송으로 재미를 찾으면, SNS등을 통해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고 소통하며 자발적인 입소문 마케팅으로 이어지게 된다.
시청자들은 꼭 구매를 하지 않더라도, 하나의 콘텐츠로서 ‘멍돌이’, ‘허둥걸’, ‘올리비아올슨’의 방송을 본다. 그러다 마음에 드는 상품이 있으면 구매까지도 이어진다. 이처럼 쇼핑에 엔터테인먼트 요소를 가미하자 2030세대가 호응했다.
ADVERTISEMENT
2030세대를 공략하기 위해 라이브커머스 사업으로 진출하는 기업들도 급증하는 추세다. 매출은 TV홈쇼핑에 비해 적은 편이지만, 2030세대를 공략할 수 있다는 장점을 이용해 미래 구매 세력인 MZ세대를 흡수하기 위해서다.
기존 업계 외에도 쿠팡 라이브, 그립(grip), 네이버 쇼핑 라이브, 카카오 라이브, 11번가, G마켓, 옥션, 배달의민족, 요기요 등 기업들이 라이브커머스 시장에 진입하면서 시장규모가 급속도로 팽창하고 있다.
ADVERTISEMENT
텐아시아 뉴스룸 news@tenasia.co.kr
ADVERTISEMENT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