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지원의 인서트》
'폭력'으로 작품의 가치 흐린 배우들
위안부 이야기 담긴 '파친코' 출연한 진하의 '성희롱 발언'
윌 스미스, 아카데미 시상식 도중 시상자 폭행
김동완 "윌 스미스 이해"→'폭력 지지' 오해 여지
어떤 형태도 용인될 수 없는 폭력
'폭력'으로 작품의 가치 흐린 배우들
위안부 이야기 담긴 '파친코' 출연한 진하의 '성희롱 발언'
윌 스미스, 아카데미 시상식 도중 시상자 폭행
김동완 "윌 스미스 이해"→'폭력 지지' 오해 여지
어떤 형태도 용인될 수 없는 폭력

영화 속 중요 포인트를 확대하는 인서트 장면처럼 김지원 텐아시아 기자가 영화계 이슈를 집중 조명합니다. 입체적 시각으로 화젯거리의 앞과 뒤를 세밀하게 살펴보겠습니다.
폭력은 어떤 이유로든 정당화될 수 없다. 신체폭력, 언어폭력, 성폭력 모두 인간성을 상실한 언행이다. 그러나 최근 영화계의 '폭력' 이슈들은 영화 팬들에게 실망감을 안겼다. 제94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윌 스미스는 진행자의 뺨을 때리고, 애플TV+ '파친코'의 출연자 진하는 과거 여성 노인들을 향한 성희롱성 발언을 한 것이 드러난 것. 게다가 영화 'B컷' 개봉을 앞둔 김동완은 윌 스미스의 폭행을 옹호하는 듯한 발언을 해 경각심이 요구된다. 한국계 미국인 배우 진하는 '파친코' 첫 공개일인 지난 25일, 과거 발언이 뒤늦게 조명되면서 논란의 중심에 섰다. 과거 진하가 'Korean Flowers In Bloom'이라는 SNS 계정을 만들고, 한국 지하철·버스 등에서 몰래 촬영한 여성 노인 사진 여러 장을 무단으로 올린 사실이 발각된 것. 게다가 "이런 도발적인 모델과 일하면서 내 자신의 욕정을 통제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았다", "우리는 그녀의 오른쪽 유두를 바로 쳐다볼 변명이 생겼다", "상상 속에서 그녀의 몸 전체에 있는 점들을 연결하고 싶다" 등 성희롱성 글까지 남겨 그의 도덕성이 도마 위에 올랐다.

진하의 과거 경솔한 발언이 더욱 문제가 되는 이유는 '파친코'에 담긴 메시지 때문이다. 억압과 차별을 당하면서도 희망을 잃지 않고 굳세게 살아나간 재일조선인(자이니치)의 이야기를 4대에 걸친 가족사에 담았는데, 이 가운데 위안부 피해자의 삶도 일부 다뤄지는 것. 진하의 성희롱성 과거 언행은 시대의 격랑을 견뎌온 윗세대의 고난과 헌신을 욕되게 했다.

ADVERTISEMENT

김동완의 발언은 자칫 폭력 자체를 옹호한다는 오해를 살 여지가 있다. 가족을 조롱당한 윌 스미스의 심정에 공감한 것이지만 '이유가 있는' 폭력은 용인된다는 뉘앙스를 풍겨 문제의 소지가 있는 것이다.
폭력은 폭력일 뿐이다. 어떤 형태도 용납될 수 없다. 폭력은 파괴적이고 잔학한 것이다. 폭력으로 작품에 담긴 숭고한 메시지를 얼룩지게 한 진하와 윌 스미스, 그리고 폭력을 지지하는 김동완의 모습도 실망스러운 이유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