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요의 바다' 공유 인터뷰
"배두나는 한국의 아이코닉한 배우, 지켜보니 너무 좋더라"
"로맨스 일부로 피하는 것 아냐, 메시지 전달하고픈 작품 선택"
"배두나는 한국의 아이코닉한 배우, 지켜보니 너무 좋더라"
"로맨스 일부로 피하는 것 아냐, 메시지 전달하고픈 작품 선택"

'고요의 바다'는 필수 자원의 고갈로 황폐해진 근미래의 지구, 특수 임무를 받고 달에 버려진 연구기지로 떠난 정예 대원들의 이야기를 담은 작품. 지구에 물이 부족해진 근미래를 배경으로 자원부족, 기후변화, 자원경쟁, 계급문제, 연구윤리 등 여러 주제를 건드린다.
ADVERTISEMENT
이어 "필수 자원인 식수의 부족으로 인해 사람들이 고통받고 있는 상황에서 인류는 그걸 대체할 수 있는 자원을 찾기 위해 달로 떠났고, 아이러니하게도 고갈을 해결하기 위해 찾아간 달에서 물로 인해 죽음을 맞는 지점들이 매력적으로 다가왔다. 인류의 희망이 될 수도, 금단의 열매가 될 수도 있는 양면적인 관점이 좋았다"고 덧붙였다.
'고요의 바다'를 찍고 샤워 습관이 바뀌었다는 공유. 그는 "겨울에 샤워할 때 따뜻한 물을 미리 틀어서 욕실 안에 온기를 채워놓고 샤워하는 경향이 있었는데, 이 드라마를 찍고 난 다음부터는 나도 모르게 물을 잠그더라"며 웃었다.

ADVERTISEMENT
지난 24일 공개된 '고요의 바다'에 대해서는 호불호가 나뉘고 있는 상황. 부정적인 의견을 보이는 시청자들은 과학적 고증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설정과 늘어지는 전개에 혹평을 쏟았다.
이에 공유는 "이 작품을 시작하면서부터 호불호가 갈릴거라 당연히 예상했다. 장르가 가진 특성이 있는데 SF 장르는 보는 관점이 너무 넓으니까"라며 "부족한 점이 많은 걸 안다. 광할한 우주의 모습과 다이나믹한 모습을 기대했다면 실망하셨을 수도 있다. 그러나 '고요의 바다'는 애초에 그런 작품이 아니었고, 우리가 할 수 있는 현실범주 안에서 현명한 선택이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ADVERTISEMENT

캐릭터와의 싱크로율을 묻자 공유는 "어느 정도 비슷한 부분을 느꼈다. 똑같지는 않지만, 윤재가 가지고 있는 시니컬함이 나한테도 있다. 그리고 나 역시 정의로운 걸 좋아하는 사람인 것 같다. 윤재의 굳건함과 책임감은 내 성격과 닮은 부분이 있다"고 밝혔다. 배우가 아닌 사람 공유라면 목숨을 걸고 달에 있는 발해기지로 갈 수 있을까.
"자식이 있다면, 자식을 위해서는 갈 것 같아요. '고요의 바다'처럼 식수 배급 등급에 대한 베네핏이 확실하게 있다면요."

ADVERTISEMENT
배두나와의 호흡을 묻자 공유는 "배두나 씨와는 처음 작품에서 호흡을 맞췄다. 나는 배두나 씨가 한국의 아이코닉(상징적)한 배우라고 생각해 작업을 해보고 싶었는데, 어떤 마음가짐으로 연기에 임하는지를 옆에서 지켜보니 너무 좋더라. 동갑내기 친구라 마음도 편했다"며 "결국 배두나 씨가 드라마의 중심축이고 큰 서사를 가지고 가는 인물인데 처음부터 끝까지 흔들리거나 치우치지 않고 균형을 잘 잡아줬다"고 고마워했다.

죽음을 선택한 한윤재의 감정은 무엇이었을지 묻자 공유는 "윤재만 놓고 생각했을 때는 한국에 두고 온 딸이 눈을 감는 그 순간까지도 떠올랐을 것 같다. 그는 대원들이 죽어나갈 때도 슬퍼할 겨를이 없었다. 임무를 끝까지 수행하기 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속은 문드러질때로 문드러졌을 거다. 마지막 죽을 때 눈물 한 방울이 윤재다운 마지막 감정 표현이지 않았나 싶다. 윤재다운 희생이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이어 "나는 불특정다수가 맞다고 하는 것에 우르르 몰려다니는 것 보다 개개인의 신념과 소신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라 다수에 주눅 들지 말고 해야 할 말이 있을 때는 할줄 알아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최근 '서복', '고요의 바다' 등 철학적인 질문들을 담고 있는 작품들을 선택하는 이유도 이러한 이유의 연장선일까.
"저의 부족함을 채우고 싶어서 그런 것 같기도 해요. 캐릭터이긴 하지만 그런 상황에 놓이고 그런 시간을 겪다 보면 제게 남는 게 있거든요."

ADVERTISEMENT
공유는 최근 데뷔 20년 만에 SNS 계정을 개설했다. 이에 그는 "인스타그램을 개설한 결정적 이유는 해외팬들 때문이다. 이전부터 지지해줬던 해외팬들의 연합이 있었다. 생일때나 특별한 날 주기적으로 축하해줬는데 그들과 할 수 있는 소통의 창구가 없더라. 오래전부터 고민하다 20주년을 맞아 개설하게 됐다"고 밝혔다.
이어 "사진 올리는게 다지만, 그것조차도 고마워하더라. 멋있는 사진은 오글거려서 싫어서 내가 낚시해서 잡은 오징어 사진을 올리고 했다. 어떤 사람들은 제대로 된 사진이 없다고 인스타 그렇게 하지 말라고 그러더라"라며 "SNS를 개설한 것에 대해 걱정을 표하는 팬들도 있는데, 내 SNS는 진지함과 엉뚱함, 병맛 어딘가에 있을 것 같다"고 덧붙였다.
배우를 넘어 프로듀서로서의 도전도 꿈꾸는 공유. 그는 "제작에 관심이 많고 언젠가는 직접 하고 싶은 이야기를 만들고 싶다는 욕심이 있다"며 "'고요의 바다' 제작자였던 정우성 선배님을 보고 자극이 아닌 반성을 하게됐다. 나 정도의 열정을 가지고는 덤빌 일이 아니구나 느꼈다"고 말했다.
태유나 텐아시아 기자 youyou@tenasia.co.kr
ADVERTISEMENT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