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사 중심 주입식 콘셉트 탈피
블로그, 트위터로 팬들과 소통하며 성장
데뷔곡 '노 모어 드림'
랩메이킹만 23번할 정도로 음악에 정성
소통과 음악, 기본기로 세계의 문 열어
블로그, 트위터로 팬들과 소통하며 성장
데뷔곡 '노 모어 드림'
랩메이킹만 23번할 정도로 음악에 정성
소통과 음악, 기본기로 세계의 문 열어

최지예 텐아시아 기자가 먼지 쌓인 외장하드에서 과거 인터뷰를 샅샅히 텁니다. 지금 당신이 입덕한 그 가수, 그 아이돌과의 옛 대화를 재미있게 풀어드립니다.
2013년 6월의 끝자락, 방탄소년단을 처음 만났다. 갓 데뷔한 방탄소년단은 그야말로 풋풋했다. 입을 맞춰 팀 인사를 외치는 것도, 기자의 질문에 적합한 대답을 내놓는 것도 아직은 어색했던 일곱 명의 멤버였다.
지금은 전 세계 거대한 팬덤을 구축하며 세계적 권위의 음악 시상식을 드나드는 방탄소년단이다. 국내 음원차트 1위가 여전히 대다수 아이돌의 목표인 가운데, 방탄소년단 만큼은 빌보드 차트 1위 진입에 진입했는지로 성공을 가늠한다. 이것이 방탄소년단의 현재 위치이고, 그들을 향한 기대치다.

ADVERTISEMENT
그렇게 눈에 든 것은 '팬들과의 직접 소통'과 '공들여 만든 음악'이다.
데뷔 전부터 방탄소년단은 블로그를 직접 운영하며 팬들과 소통해 왔다. 우연히 방탄소년단 멤버들의 믹스테잎을 접하게 된 음악 팬들이 블로그에 찾아와 댓글로 감상이나 짧은 소감을 남기면, 멤버들이 직접 답하며 대화를 나누는 식이었다.
ADVERTISEMENT
이와 관련 2013년의 랩몬스터는 "우리 음악이 어떤건지, 정말 하루라도 빨리 많은 분들에게 보여드리고 싶은 마음이 크다"며 "그런 의도에서 블로그를 시작하게 됐다. 우리가 녹음한 음악을 게재하고, 또 다양한 일상들을 올리기도 한다. 팬들과 함께 소통하는 하나의 창구"라고 설명했다.
작은 블로그를 통해 시작된 방탄소년단의 소통은 작세계적으로 체인을 가진 트위터로 고스란히 옮겨져 갔다. 이는 세계의 팬들과 방탄소년단을 이어주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도구가 바뀌었을뿐, 방식은 변하지 않았다. 진실된 마음으로 각각의 팬을 특별하게 대하는 소통. 이것이 방탄소년단이 전 세계의 아미를 형성하는데 작은 씨앗이 됐다.

ADVERTISEMENT
당시 방탄소년단 관계자가 "방시혁 대표 프로듀서는 방탄소년단 멤버들을 아이돌이 아닌 아티스트로 대한다"며 "억압하거나 규제하지 않고 스스로 생각해서 행동하고 그것에 책임을 지는 팀 운영 방식을 고수하고 있다"고 했던 말이 꽤 인상적이었던 터라 생생히 기억난다.
2013년의 슈가는 이렇게 말했다. "'노 모어 드림' 랩 메이킹은 정확히 23번째에 나왔다. 앞서 22번을 계속 썼다 지우면서 영혼이 힘들었다. 너무 고통스럽긴 했지만 그래도 결국엔 '그 분'이 와 주셔서 정말 다행이다. 공들여 쓴 만큼 완성도 있고 마음에 들게 곡이 나와서 뿌듯하다."
ADVERTISEMENT
K팝이 역사 이래 최대 부흥기를 맞이하면서 많은 기획자와 아이돌 지망생들이 '제2의 방탄소년단이 되는 비결'을 밤낮으로 연구하고 백방으로 찾아다닌다. 방탄소년단의 첫 인터뷰에서 찾아낸 '소통'과 '음악'은 누구나 알고 있는 이야기지만, 많은 아이돌은 이 기본적인 포인트를 놓친 탓에 매번 뼈 아픈 실패를 경험한다.
세계 속 K팝의 중심에 서고 싶은가? 정답은 그리 먼 곳에 있지 않다. 방탄소년단의 초심, 그 속에 비밀이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