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티븐연·한예리·윤여정 주연 '미나리'
골든글로브 작품상 아닌 외국어영화상으로 분류
HFPA "대화의 50% 이상 영어 아냐"
美매거진 "인종차별주의" 비판
골든글로브 작품상 아닌 외국어영화상으로 분류
HFPA "대화의 50% 이상 영어 아냐"
美매거진 "인종차별주의" 비판

'미나리'는 희망을 찾아 낯선 미국 땅으로 이민을 선택한 한국인 가족의 따뜻하고 특별한 이야기를 그린 작품이다. 미국 연예매체 버라이어티는 지난 22일(현지시간) 골든글로브를 주관하는 할리우드외신기자협회(HFPA)가 최근 출품작에 대한 연례 심사를 마쳤다며 '미나리'가 외국어영화상 부문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HFPA는 대화의 50% 이상이 영어가 아닌 경우 외국어 영화로 분류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미나리'에서는 주로 한국어가 사용되기 때문에 외국어 영화로 간주한다는 것이다.

캐나다 방송 시트콤 '김씨네 편의점'에 출연하고 있는 아시아계 배우 앤드루 풍은 "미국에서 촬영하고 미국인이 출연하고 미국인이 연출하고 미국 회사가 제작한 아메리칸드림에 대한 영화가 어쨌든 외국 영화라고 슬프고 실망스럽게 상기시킨다"고 전했다. 같은 시트콤에 출연 중인 시무 리우 역시 "그것보다 더 미국적인 게 뭐냐?"고 지적했다.
김윤진과 함께 미국 인기 드라마 '로스트'에 출연했던 한국계 미국인 배우 대니얼 대 김도 "미국이 고국인데 너네 나라로 돌아가라는 이야기를 듣고 있는 셈"이라고 비판했다.

골든 글로브의 결정을 반대하는 영화계 인사들은 '미나리'가 한국어로 제작된 이유만으로 작품상 출품이 불가한 건, 지난번 오스카가 '기생충'과 함께 만든 의미 있는 행보를 역행하는 시대착오적 발상이라는 입장이다.
'미나리'는 한국계 미국인인 정이삭 감독이 자전적 경험을 바탕으로 쓰고 연출했으며 이민자인 배우 스티븐 연이 브래드 피트와 함께 총괄 프로듀서로 이름을 올렸다. 스티븐 연은 영화에도 출연하며 배우 한예리, 윤여정 역시 출연배우다.
매년 1월 열리던 골든글로브 시상식은 코로나19 여파로 내년 2월 28일로 시상식을 미뤘다. 후보는 같은 달 3일 발표된다.
김지원 기자 bella@tenasia.co.kr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