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를 스크린에서 만나온 지도 벌써 20년이 넘게 흘렀다. 하지만 한국 관객들에게 브래드 피트는 가까이 하기엔 너무나 먼 ‘할리우드 스타` 였다. 마침내 그를 한국 땅에 불러들인 공은 11월 17일 개봉을 앞둔 영화 <머니볼>에 있다. 수줍은 수인사와 함께 기자들 앞으로 등장한 브래드 피트는 <머니볼>의 패기 넘치는 야구 단장 빌리 빈보다는 <가을의 전설>의 쓸쓸하고 자유롭던 트리스탄에 더 가까웠다. 헝클어진 긴 금발 머리에 마음대로 자라게 놔둔 듯한 수염, 숲으로 들어가 곰과 사투를 벌였던 그 아름다운 남자가 살아남았다면 16년 후 저런 모습이었을까. 물론, 전설이 된 미소년보다는 살아서 점점 깊어지는 배우가, 멀리 반짝이는 별보다는 눈 앞의 브래드 피트가 더 좋은 법이다. 그와 마주한 1시간을 여기 공유한다.
<머니볼>은 야구의 역사를 바꾼 혁신적인 이론에 대한 영화다.
브래드 피트
: 내가 연기한 빌리 빈은 정말 야구계에 혁신을 가져왔던 사람이다. 단지 작은 변화, 몇 도의 각도 차이 일 수도 있지만, 선수의 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에 근본적인 변화를 주었다. 그의 이론은 우리의 가치 체계의 오류를 발견하게 했다. 즉 기존 시스템에서 재능이 없고 능력이 부족하다고 평가 받은 선수들에게서 새로운 가치를 발견해 그들이 다시 야구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도입한 거다. 이 시스템은 단지 야구 뿐 아니라 스포츠 전반에 영향을 주었다. 또한 그들이 필요에 의한 혁신을 이뤄냈다는 점이 상당히 인상적이었다. 물론 애초에는 예산이 적은 팀이 그 경쟁에서 이기기 위해 적용된 이론이었는데 이제는 예산이 많은 팀들도 똑같은 이론을 적용하기 때문에 또 다시 불공평한 경쟁이 야기된다는 점이 상당히 아이러니 하다는 생각이 든다.

빌리 빈의 얼굴에서 ‘머니볼 이론’에 대한 확신과 불안이 동시에 읽혔던 연기가 좋았다. 그 두 가지 상반된 감정을 조화시키기 위해 어떤 노력을 했나.
브래드 피트
: 나 역시 경쟁심이 굉장히 강한 사람이라 이런 극한의 상황에서의 경쟁이라는 점에 상당히 공감했다. 젊은 시절 빌리 빈은 잠재력을 가진 전도유망한 야구선수였다. 하지만 이후 많은 실패를 한다. 빌리는 카리스마도 있고 자신감도 있지만, 그 내면에는 인정받고 싶은 마음과 이 이론을 통해서 성공하고 싶은 내적인 갈등이 분명히 있다. 그 불안과 확신 가운데 밀고 당기는 힘이 분명히 존재한다. 마이클 루이스의 책 <머니볼>을 상당히 흥미롭게 읽었다. 야구계에 수많은 팀 중 어떤 팀은 다른 팀의 예산의 1/4밖에 안 된다. 그런데 어떻게 경쟁을 할 수 있겠는가. 결국 예산이 적은 팀이 많은 팀과 싸우는 데는 똑같은 규칙과 똑같은 방식으로 경쟁할 수 없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면서 새로운 경쟁의 패러다임을 적용하게 된 거다. <머니볼>은 야구 안에 있는 비효율성을 발견하게 되고 새로운 가치를 발견한 남자가 그 새 아이디어를 적용해서 자신 안의 새로운 자신감을 발견하고 찾아가는 이야기다.

“개인적이고 조용한 승리에 매력을 느꼈다”





메이저리그와 할리우드는 대중들에게 꿈을 주는 즐거움 이면에 냉혹한 돈과 데이터로 돌아가는 세계라는 점에서 닮은 점이 많은 산업이다. 빌리 빈이 숫자와 통계로 이루어진 ‘머니볼 이론’을 믿으며 이 쇼, 즉 역설적으로 야구를 즐기는 방법을 스스로 증명한 것처럼, 배우로서 냉정한 할리우드 시스템 속에서 계속 생존하면서도 이 쇼, 즉 연기를 즐기기 위해 가진 나름의 이론이나 특별한 노력이 있나.
브래드 피트
: 배우로서 나만의 ‘머니볼 이론’이라면 늘 스토리를 고려하는 것이다. 나에게는 이 시대를 알릴 수 있는 티켓이 주어졌다. 결국 시대를 반영하는 이야기가 무엇일까, 어떤 메시지를 가지고 어떤 이야기를 할 것인가를 항상 고민을 하고 있다. 또한 동시에 누구와 이 작업하는가에 대해서도 항상 생각한다. 출신 학교를 따져 묻는 식의 경쟁을 하기보다는 다양하고 재능 있는 사람들을 만나고 싶다. 즉 캐스팅에서도 ‘머니볼 이론’이 적용되는 셈이다. 유명 배우를 캐스팅해서 영화를 성공시키는 것보다는 다양한 재능이 있는 배우들을 발견해서 함께 작업하는 것이 매력적인 일이라고 생각한다. 지금은 누구나 본인의 작품을 제작할 수 있는 디지털 시대니까 다양한 재능들이 더 많이 드러날 수 있을 것이다. 내 스스로 즐기고 내세울 수 있는 건 차별화다. 어떻게 하면 그저 대체 가능한 부품이 아니라 다른 사람과 차별화된 연기를 할 수 있을까. 나만이 만들어 낼 수 있는 그 유기적인 결과물에 대해 늘 고민을 하고 있다.

영화 속 딸이 빌리에게 불러주는 노래 ‘The Show’ 가사에 <머니볼>의 주제가 모두 담겨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든다.
브래드 피트
: 맞다. 이 노래의 가사 안에 영화의 주제가 잠재되어 있다. 처음 책을 처음 읽었을 때 나는 이 이야기가 보여주는 ‘개인적인 승리’에 상당한 매력을 느꼈다. 어쩌면 요즘 시대는 우승이나 수상처럼 뉴스에 나올 법한 승리에만 지나치게 경도되어 있다는 생각이 든다. 하지만 <머니볼>은 모두가 알 수 있는 승리가 아니라 스스로에게 의미 있는 개인적이고 조용한 승리를 지지하는 영화다.

‘머니볼’이 이론적으로 정립된 세계라면 영화 속 당신의 연기는 계산되지 않는 순간에 감동을 주는 부분이 많았다. 혹시 연기에 대한 특별한 방법론이 있나.
브래드 피트
: 실질적으로 영화를 만들 때는 과학적이고 경제적인 부분을 고려하지만 극장 안에서 누구도 과학과 경제를 생각하지는 않는다. <머니볼>은 하루에 12시간에서 16시간을 촬영하는 강행군을 했는데 그걸 이겨내기 위해서 커피를 많이 마셨다는 것이 빌리를 연기하는데 가장 큰 도움이 되었다.

브래드 피트 하면 언제나 미남의 대명사였다. 물론 여전히 잘생긴 외모지만 나이 드는 건 어떤가.
브래드 피트
: 나는 나이 먹는 것이 좋다. 나이와 함께 현명함이 따라오기 때문이다. 젊음과 현명함 중 선택하라고 하면 나는 언제나 현명해지는 쪽을 택할 것이다. 특히 아버지가 되고 나서 많이 변한 것 같다. 아이가 생기면서 나 자신을 더 잘 관리하게 되고 아이들과 함께 더 많은 시간을 보내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실제로 어떤 야구 팀의 팬인가?
브래드 피트
: 물론 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4, 5년 간 오클랜드 애슬레틱스와 콜리세움 경기장에서 많은 시간을 보냈다.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올해 월드시리즈에서 우승한 세인트 루이스 카디널스를 제일 좋아한다. 어린 시절 미주리에서 자랐는데 5시간 정도 운전해 가면 닿을 수 있는 가장 근교에 있었던 팀이였다. 특히 이번 월드시리즈 6차전은 아무리 야구를 과학적으로 분석한다 해도 야구란 결국 사람과 이런 마법적인 순간 때문에 사랑할 수밖에 없다는 것을 잘 보여준 경기였다.

<10 아시아>와 사전협의 없이 본 기사의 무단 인용이나 도용,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이를 어길 시 민, 형사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