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가 그쳤다. 30일 지산밸리 록페스티벌의 둘째 날, 주말이 되자 햇살도, 습도도, 사람들도 어제보다 2배로 늘어 있었다. 열기는 더욱 달아올랐고, 지산 밸리 록 페스티벌은 말 그대로 축제였다. 잔디밭 위에 돗자리를 깔고 누워 있는 사람들, 춤을 추는 사람들, 좋아하는 아티스트의 공연을 찾아 발걸음을 바삐 옮기는 사람들이 가득했다. 햇살이 내리쬐는 지산밸리 록페스티벌의 둘째날 오후에 펼쳐진 두 공연을 정리한다.


짙은 : 록페스티벌에 사람들을 미치게 만드는 밴드만이 무대에 서는 것은 아니다. 감수성 짙은 말랑말랑한 음악도 사람들의 마음을 충분히 달뜨게 한다. ‘TV SHOW’로 시작한 짙은의 감수성 짙은 무대는 뜨거운 햇살과 높은 습도에 지친 사람들의 마음을 어루만지는 한 마당을 만들어 냈다.

어쿠스틱한 사운드로 시작한 음악들은 영롱한 기타 사운드가 더해지다가 밴드 이름대로 짙은 록 사운드가 더해진다. 그리고 보컬 성용욱은 두 번째 곡인 ‘Sunshine’에서 율동과 점프로 관객의 호응을 유도하기도 하는 등 능숙하게 분위기를 이끌어 나갔다. 더 뮤직이나 케미컬 브라더스의 무대처럼 사람들이 뜨겁게 흥분하진 않았지만 짙은의 노래를 합창하는 사람들의 목소리는 따뜻했다.

다섯 번째 곡인 데미안 라이스를 커버한 ‘Blower`s Daughter’을 연주할 때 첼로가 더해지면서 짙은의 무대는 본격적인 분위기를 연출했다. 서정적인 첼로 사운드가 더해지면서 짙은의 음악은 더욱 풍부해지고, 신비로운 분위기마저 연출했다. 특히 마지막 곡 ‘곁에’의 끝 부분에 신디사이저와 첼로가 기타 사운드와 얽혀 폭발할 때 그 사운드의 여운은 가슴을 두들기는 비트도, 공기를 찢는 디스토션 기타도 없이 사람들의 마음에 깊게 새겨졌다.




피더(feeder) : 영국 밴드이지만 미국적인 사운드로 의외성을 보여주고 있는 피더의 무대는 말 그대로 능란했다. ‘Barking Dogs’부터 시작된 피더의 무대는 때로는 팝적인 곡으로 분위기를 이끌었고, 때로는 가슴을 찢어 발기는 기타 사운드로 사람들을 하늘로 뛰어 오르게 만들었다. 덥고 습기찬 날씨에 지쳐 곳곳에 돗자리를 펴고 누웠던 사람들은 피더가 ‘Just The Way I’m Feeling’나 ‘High’ 같은 팝적인 곡으로 분위기를 이끌 때는 잠시 자리에 앉아 스크린에 비춰지는 보컬 그랜트 니콜라스(Grant Nicholas)의 얼굴에 집중했고, 다시 ‘Buck Rogers’ 같은 곡에서 비트가 작렬하면 자리에서 일어나 마음껏 몸을 흔들었다.

피더가 노래를 부를 때 눈길을 끈 것 중 하나는 무대를 즐기는 외국인들의 흥겨운 모습이었다. 지산밸리 록페스티벌의 곳곳에서 자유로운 모습으로 무대를 즐겼던 이들은 피더의 무대 때 유달리 더 열기 띈 모습을 보여주었다. 음악은 세계 어디에서나 통하는 언어다. 국적을 불문하고 다양한 사람들이 음악으로 하나 될 수 있는 것 또한 록 페스티벌의 즐거움일 것이다. 한국에서 인지도는 아직 크게 높지는 않지만, 영미권에서 적지 않은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피더의 인기를 다른 곳이 아닌 한국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도 각국의 밴드가 모인 록페스티벌의 흥미로운 점이다.

여러 대의 기타를 바꿔가며 노래를 부른 리드 기타이자 보컬 그랜트 니콜라스의 무대 매너 뿐 아니라 열정적인 드럼을 보여준 마크 리처드슨의 연주도 좋은 록 밴드 공연의 전형이었다. 사람들은 서로의 목마를 타고 춤을 추었고, 그에 고무된 피더는 더욱 열정적인 연주와 노래를 들려주었다. 그리고 고개 숙여 하는 인사에 익숙하지 않은 그들은 마지막 곡인 ‘Just A Day’ 가 끝나고 허리를 깊숙히 숙였고, 드러머 마크 리처드슨은 스틱을 사람들을 향해 던졌다. 피더의 무대는 열정과 매너, 호응이 한데 어우러진 공연이었다.

사진 제공. CJ E&M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