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기사에는 영화의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한 남자와 여자가 사랑에 빠져 결혼을 한다. 그 후 그들은 오랫동안 행복하게 살았다. 우리가 배운 동화 속 사랑의 대부분은 이런 해피엔딩이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종종 사랑이 ‘또’ 찾아오기도 한다. 사라 폴리 감독의 영화 는 바로 그 사랑에서 출발한다. 주인공 마고(미쉘 윌리엄스)에게는 결혼한 지 5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다정다감한 남편 루(세스 로건)가 있지만, 그녀는 여행 중 우연히 만난 이웃집 남자 대니얼(루크 커비)에게 주체할 수 없을 정도로 흔들린다.
영원한 사랑이란 판타지 대신 스스로에게 솔직하게
는 마고의 새로운 사랑을 소위 ‘불륜’과 ‘바람’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막장 드라마’처럼 풀지 않는다. 마고는 갑자기 남편을 잃지도 않았고, 남편이 다른 여자를 만나고 있지도 않았다. 마고와 루가 권태기에 빠진 것도, 루가 일에 치여 그녀의 감정을 몰라주는 무심한 남자이거나 무능력하지도 않다. 오히려 루는 둘만의 장난스런 말로 사랑을 표현할 만큼 유머까지 갖췄다. 마고가 루가 아닌 다른 남자에게 끌린 것은 변명의 여지가 없는 일이다. 게다가 그녀의 새로운 사랑 또한 아름답게만 그려지지는 않는다. 루를 떠난 후 대니얼과 나누는 설렘은 한 순간이다. 결국 마고는 루와 했던 것처럼, 이를 닦는 대니얼 옆에서 볼일을 보고 설렘 없이 사랑한다고 말한다. 언제든 이유 없이 다른 사람에게 흔들릴 수 있지만 그 사랑도 영원하지 않다는 것. 는 잔인할 정도로 영원한 사랑이라는 판타지를 지운다.
하지만 사랑의 현실을 마주할 즈음, 영화는 얄궂게도 설렘이 아닌 사랑의 다른 힘을 보여준다. 대니얼과 살던 마고는 어느 날 루의 여동생에게 “인생엔 당연히 빈틈이 있기 마련이야. 그걸 미친 사람처럼 일일이 다 메울 순 없어” 라는 말을 듣고 당황한다. 아이를 낳은 후 예쁜 몸매와 젊음을 잃어 공허해 하고 술에 중독된 그녀가 자신과 별반 차이가 없다고 할 때, 마고는 그 말을 부정할 수 없어 뒤통수를 맞은 듯 얼얼했을 것이다. 그러나 그녀는 대니얼과 함께였던 놀이기구를 혼자 타며 미소를 짓는다. 그 미소는 분명 해방감이었다. 루의 여동생 말대로 마치 미친 것처럼 공허함을 채웠던 자신의 모습, 철없던 자신의 맨 얼굴을 마주한 해방감. 잘못된 길을 선택했으니 부끄러워해야 할지 모르지만 적어도 스스로에게 솔직할 수 있는 기회가 된 사랑은 성장의 기제가 된다. 마고는 사랑하지 않았다면 몰랐을 자신의 모습을, 사랑을 통해 만났다.
뇌 구조나 호르몬으로 설명할 수 없는 성장
이런 성장은 마고가 감정을 설명하길 포기하면서 가능했다. 루를 떠나기 전 자신이 흔들리는 이유를 찾지 못하던 마고는 대니얼에게 어린 조카 토니 이야기를 불쑥 꺼낸다. “가끔 길을 걸을 때 햇빛이 길을 따라서 쫙 내리쬐면 그냥 울고 싶어져요. 근데 잠깐 지나면 또 괜찮아지죠. 난 다 큰 어른이니까 찰나의 감정이나 우울한 그런 거에 얽매이지 말아야 해요. 근데 토니에게도 가끔 그 순간이 오는 것 같아요. 토니는 왜, 어떻게 그렇게 되는지 모르지만 그 순간에 빠져버려요. 그 땐 아무도 어떻게 해줄 수 없죠. 사람으로 살아가는 한 겪는 감정의 충돌이잖아요.” 마고가 논리적으로 사랑을 옹호하거나 설명하려 들지 않을 때 그녀의 사랑은 분석의 대상을 벗어나 자신을 들여다보는 성장의 촉진제가 된다. 남자와 여자의 심리는 뇌 구조를 통해 파헤쳐지고 사랑의 유효 기간도 호르몬으로 설명되는 요즘, 사랑은 성장과는 거리가 멀다. 설명하거나 밝히고 심지어 치고 빠지는 ‘기술’의 하나가 된 사랑을 둘러싼 담론 속에서 판타지를 지우고 성장을 이야기하는 이 작품은 그래서 신선하다.
혼자 놀이기구를 탄 마고는 이후 어떻게 됐을까. 그녀가 다시 루에게 돌아갔을지, 그대로 대니얼 곁에 남았을지 혹은 둘 모두를 떠났을 진 알 수 없다. 중요한 건 “무엇을 두려워하는 게 두려워” 라며 늘 불안해하던 그녀가 사랑을 거울삼아 스스로를 좀 더 알게 됐다는 점이다. 더 이상 실수해서도 안 되며 언제든 성숙하게 감정과 행동을 설명해야 하는 어른의 짐을 내려놓고 말이다. 는 가장 현실적인 태도로 사랑을 대하며 사랑을 믿지도 않는다. 하지만 결국 끝까지 사랑을 놓지 않는 이 영화의 결말은 분명히 해피엔딩이다. 영원히 사랑하지 않더라도, 그렇게 사랑은 해피엔딩이 될 수 있다.
글. 한여울 기자 sixteen@
편집. 김희주 기자 fifteen@
한 남자와 여자가 사랑에 빠져 결혼을 한다. 그 후 그들은 오랫동안 행복하게 살았다. 우리가 배운 동화 속 사랑의 대부분은 이런 해피엔딩이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종종 사랑이 ‘또’ 찾아오기도 한다. 사라 폴리 감독의 영화 는 바로 그 사랑에서 출발한다. 주인공 마고(미쉘 윌리엄스)에게는 결혼한 지 5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다정다감한 남편 루(세스 로건)가 있지만, 그녀는 여행 중 우연히 만난 이웃집 남자 대니얼(루크 커비)에게 주체할 수 없을 정도로 흔들린다.
영원한 사랑이란 판타지 대신 스스로에게 솔직하게
는 마고의 새로운 사랑을 소위 ‘불륜’과 ‘바람’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막장 드라마’처럼 풀지 않는다. 마고는 갑자기 남편을 잃지도 않았고, 남편이 다른 여자를 만나고 있지도 않았다. 마고와 루가 권태기에 빠진 것도, 루가 일에 치여 그녀의 감정을 몰라주는 무심한 남자이거나 무능력하지도 않다. 오히려 루는 둘만의 장난스런 말로 사랑을 표현할 만큼 유머까지 갖췄다. 마고가 루가 아닌 다른 남자에게 끌린 것은 변명의 여지가 없는 일이다. 게다가 그녀의 새로운 사랑 또한 아름답게만 그려지지는 않는다. 루를 떠난 후 대니얼과 나누는 설렘은 한 순간이다. 결국 마고는 루와 했던 것처럼, 이를 닦는 대니얼 옆에서 볼일을 보고 설렘 없이 사랑한다고 말한다. 언제든 이유 없이 다른 사람에게 흔들릴 수 있지만 그 사랑도 영원하지 않다는 것. 는 잔인할 정도로 영원한 사랑이라는 판타지를 지운다.
하지만 사랑의 현실을 마주할 즈음, 영화는 얄궂게도 설렘이 아닌 사랑의 다른 힘을 보여준다. 대니얼과 살던 마고는 어느 날 루의 여동생에게 “인생엔 당연히 빈틈이 있기 마련이야. 그걸 미친 사람처럼 일일이 다 메울 순 없어” 라는 말을 듣고 당황한다. 아이를 낳은 후 예쁜 몸매와 젊음을 잃어 공허해 하고 술에 중독된 그녀가 자신과 별반 차이가 없다고 할 때, 마고는 그 말을 부정할 수 없어 뒤통수를 맞은 듯 얼얼했을 것이다. 그러나 그녀는 대니얼과 함께였던 놀이기구를 혼자 타며 미소를 짓는다. 그 미소는 분명 해방감이었다. 루의 여동생 말대로 마치 미친 것처럼 공허함을 채웠던 자신의 모습, 철없던 자신의 맨 얼굴을 마주한 해방감. 잘못된 길을 선택했으니 부끄러워해야 할지 모르지만 적어도 스스로에게 솔직할 수 있는 기회가 된 사랑은 성장의 기제가 된다. 마고는 사랑하지 않았다면 몰랐을 자신의 모습을, 사랑을 통해 만났다.
뇌 구조나 호르몬으로 설명할 수 없는 성장
이런 성장은 마고가 감정을 설명하길 포기하면서 가능했다. 루를 떠나기 전 자신이 흔들리는 이유를 찾지 못하던 마고는 대니얼에게 어린 조카 토니 이야기를 불쑥 꺼낸다. “가끔 길을 걸을 때 햇빛이 길을 따라서 쫙 내리쬐면 그냥 울고 싶어져요. 근데 잠깐 지나면 또 괜찮아지죠. 난 다 큰 어른이니까 찰나의 감정이나 우울한 그런 거에 얽매이지 말아야 해요. 근데 토니에게도 가끔 그 순간이 오는 것 같아요. 토니는 왜, 어떻게 그렇게 되는지 모르지만 그 순간에 빠져버려요. 그 땐 아무도 어떻게 해줄 수 없죠. 사람으로 살아가는 한 겪는 감정의 충돌이잖아요.” 마고가 논리적으로 사랑을 옹호하거나 설명하려 들지 않을 때 그녀의 사랑은 분석의 대상을 벗어나 자신을 들여다보는 성장의 촉진제가 된다. 남자와 여자의 심리는 뇌 구조를 통해 파헤쳐지고 사랑의 유효 기간도 호르몬으로 설명되는 요즘, 사랑은 성장과는 거리가 멀다. 설명하거나 밝히고 심지어 치고 빠지는 ‘기술’의 하나가 된 사랑을 둘러싼 담론 속에서 판타지를 지우고 성장을 이야기하는 이 작품은 그래서 신선하다.
혼자 놀이기구를 탄 마고는 이후 어떻게 됐을까. 그녀가 다시 루에게 돌아갔을지, 그대로 대니얼 곁에 남았을지 혹은 둘 모두를 떠났을 진 알 수 없다. 중요한 건 “무엇을 두려워하는 게 두려워” 라며 늘 불안해하던 그녀가 사랑을 거울삼아 스스로를 좀 더 알게 됐다는 점이다. 더 이상 실수해서도 안 되며 언제든 성숙하게 감정과 행동을 설명해야 하는 어른의 짐을 내려놓고 말이다. 는 가장 현실적인 태도로 사랑을 대하며 사랑을 믿지도 않는다. 하지만 결국 끝까지 사랑을 놓지 않는 이 영화의 결말은 분명히 해피엔딩이다. 영원히 사랑하지 않더라도, 그렇게 사랑은 해피엔딩이 될 수 있다.
글. 한여울 기자 sixteen@
편집. 김희주 기자 fifteen@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