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학가요제>여 다시 한번" /> 1-2화 MBC 수 12시 45분
지난 36년 간 매해 가을에 찾아오던 가 ‘뮤지션의 탄생’이라는 부제를 붙이고 돌아왔다. 최초로 서바이벌 제도를 도입, ‘리얼 버라이어티’로 변신을 꾀했지만, 실상은 이전에는 비공개되었던 “본선무대에 진출할 10팀의 선발과정”을 카메라에 담아낸 것에 지나지 않는다. 본선에 도전한 각 팀의 동기와 포부, 각각의 사연, 공연 영상 그리고 당락을 결정하는 심사위원단의 냉정한 평가. 음악성과 스타성, 독창성을 두루 갖춘 ‘뮤지션을 탄생’시키려는 (이하 )은 사실 다른 오디션 프로그램과 별반 다르지 않았다.
그러나 은 다른 오디션 프로그램에서 좀처럼 볼 수 없는 팀들이 주류를 이룬다. 펑키한 힙합음악을 선보인 ‘대학생 갓 탈렌트’, 생소한 팝페라를 들고나온 ‘프로이데’, “잔잔하고 나긋나긋한 가사”가 매력적이라 평가받았던 ‘핀란드 산 자작나무’, 트로트로 88만원세대의 정서를 노래한 ‘갑돌이 사운드’ 등은 Mnet 라면 탈락했을지도 모를 팀들이다. 이른바 ‘악마의 편집’ 같은 자극적인 편집방향 대신 정적으로 보일 만큼 느릿한 흐름에 출연자의 취향과 정서를 그대로 반영하는 무대에 포커스를 맞춘 것은 프로그램이 원했던 것을 드러낸다. 애초에 가 음악성과 독창성을 갖춘 뮤지션을 선발하며 명성을 쌓은 것처럼, 은 오디션 프로그램이라는 현재의 트렌드는 계승하되 의 본질은 계승했다. 그 점에서 은 형식은 변했지만 오히려 지난 몇 년간의 보다 더 의 원형에 가깝게 느껴진다. 물론 진부한 서사구조나 익숙하지 않은 참가자들의 음악이 시청률을 보장해주는 스타성으로 이어질 수 있는지에 대해 의문은 남는다. 하지만 이만하면 의미 있는 전통의 계승이자 새로운 의 첫발로는 충분하다.
글. 김기민(TV평론가) 평론가
지난 36년 간 매해 가을에 찾아오던 가 ‘뮤지션의 탄생’이라는 부제를 붙이고 돌아왔다. 최초로 서바이벌 제도를 도입, ‘리얼 버라이어티’로 변신을 꾀했지만, 실상은 이전에는 비공개되었던 “본선무대에 진출할 10팀의 선발과정”을 카메라에 담아낸 것에 지나지 않는다. 본선에 도전한 각 팀의 동기와 포부, 각각의 사연, 공연 영상 그리고 당락을 결정하는 심사위원단의 냉정한 평가. 음악성과 스타성, 독창성을 두루 갖춘 ‘뮤지션을 탄생’시키려는 (이하 )은 사실 다른 오디션 프로그램과 별반 다르지 않았다.
그러나 은 다른 오디션 프로그램에서 좀처럼 볼 수 없는 팀들이 주류를 이룬다. 펑키한 힙합음악을 선보인 ‘대학생 갓 탈렌트’, 생소한 팝페라를 들고나온 ‘프로이데’, “잔잔하고 나긋나긋한 가사”가 매력적이라 평가받았던 ‘핀란드 산 자작나무’, 트로트로 88만원세대의 정서를 노래한 ‘갑돌이 사운드’ 등은 Mnet 라면 탈락했을지도 모를 팀들이다. 이른바 ‘악마의 편집’ 같은 자극적인 편집방향 대신 정적으로 보일 만큼 느릿한 흐름에 출연자의 취향과 정서를 그대로 반영하는 무대에 포커스를 맞춘 것은 프로그램이 원했던 것을 드러낸다. 애초에 가 음악성과 독창성을 갖춘 뮤지션을 선발하며 명성을 쌓은 것처럼, 은 오디션 프로그램이라는 현재의 트렌드는 계승하되 의 본질은 계승했다. 그 점에서 은 형식은 변했지만 오히려 지난 몇 년간의 보다 더 의 원형에 가깝게 느껴진다. 물론 진부한 서사구조나 익숙하지 않은 참가자들의 음악이 시청률을 보장해주는 스타성으로 이어질 수 있는지에 대해 의문은 남는다. 하지만 이만하면 의미 있는 전통의 계승이자 새로운 의 첫발로는 충분하다.
글. 김기민(TV평론가) 평론가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