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C <탐나는도다>가 이번 주로 막을 내린다. MBC의 편성 문제로 주말 저녁 시간대에 방영해야 했던 <탐나는도다>는 저조한 시청률을 기록했고, 그 이유로 원래 방영분보다 4회가 줄어든 16회로 종영한다. 하지만 방송사의 결정 반대편에는 조기 종영을 반대하며 신문 광고를 낼 만큼 열성적인 시청자들이 있다. 그들은 <탐나는도다>의 무엇에 빠졌는가. 그리고 <탐나는도다>가 지금 한국 드라마에 소중한 의미를 담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탐나는도다>의 마지막 주에 <10 아시아>가 탐라의 아름다움에 흠뻑 빠져 보냈다. <탐나는도다>의 마지막을 담은 사진들과 배우들의 인터뷰, 그리고 팬의 마음으로 만든 <탐나는도다>를 위한 선물도 함께 마련했다.“이제 우리의 시간은 여기까지다.” 멈추었다. 탐라의 해녀가 새로운 세상에 나가겠다는 꿈이, 양반의 아들이 해녀의 딸을 보호하겠다는 희망이. 탐라가 아닌 한양에서 해녀와 양반은 친구가 될 수 없고, 집안의 구속이 싫어 바다를 건넌 이양인은 조선의 법에 의해 속박된다. 청춘은 자유롭고 평등하나, 그들이 사는 세상은 해녀와 사대부와 이양인을 갈라놓았다. MBC <탐나는도다>에서 박규(임주환)가 한양에 발을 디딘 장버진(서우)에게 그들의 시간이 종결됐음을 말할 때, 세 청춘의 희망은 좌절된다. 청춘의 꿈과 사랑과 희망은, 어른들의 현실과 신분과 억압 앞에서, 멈추었다. 대사가 아닌 영상으로 전달하는 진심
이 슬픈 선언은 마치 <탐나는도다>를 ‘우리의 시간’이라 여긴 사람들에 대한 고백처럼 들린다. 자유롭고자 했던 윌리엄(황찬빈)은 꿈을 펼치지 못한 채 서린(이승민) 상단의 노예가 됐고, 드라마의 형식에서 자유롭고자 했던 <탐나는도다>는 드라마 산업의 논리에 따라 4회분이 잘린 채 이번 주에 종영된다. 청춘의 치기어린 도전이었을까. 사전 제작이라니, 주연 배우가 모두 신인급이라니, 스스로 ‘드라마’임을 망각한 그 연출이라니. 탐라의 해녀와 이양인의 만남으로 시작한 이야기는 어느덧 탐라를 벗어나고픈 소녀의 이야기가 되고, 그것은 다시 천대 받은 채 평생을 탐라에서 산 해녀들의 인생이 된다. 그리고 그 뒤에는 탐라와 조선의 정치적 갈등이 깔린다. 탐라의 소녀가 꿈을 이루려면 한양의 왕부터 탐라의 포졸까지 모두 그의 행동을 용인해야 하는 ‘쇄국의 시대’의 갑갑함. <탐나는도다>는 그것을 뚫으려는 청춘의 움직임을 구심점으로, 조선시대의 정치와 신분, 조선 바깥의 세계를 아우르는 거대한 원을 만든다.
ADVERTISEMENT
어느 장르에도 속하지 않은 <탐도>만의 언어
매 회 시청자를 붙잡아 두는 이야기를 전개하는 것이 드라마의 미덕이라면, <탐나는도다>는 완벽한 드라마는 아니다. 작품 초반 박규와 윌리엄이 탐라에 정착하는 과정은 다른 드라마에서 남녀 주인공이 몇 번은 싸웠을 만큼 느슨하게 진행되고, 4회가 잘려나간 것을 감안해도 13-14회쯤에야 박규-서린-윌리엄이 서린 상단의 음모를 알아내기 시작한 것은 느리다. 제사장의 반란을 기점으로 서서히 호흡이 가빠지던 드라마가 세 사람이 한양에 오는 과정에서 장버진과 윌리엄의 고난이 반복되며 다시 느슨해진 것은 안타깝다. 청춘의 이야기가 현실 정치를 담은 더 넓은 세계의 이야기로 확장되는 순간, 동명의 원작만화의 내용과 뚜렷이 갈라지기 시작한 <탐나는도다>는 잠시 단단했던 원의 구심점이 풀린 듯 보였다.
ADVERTISEMENT
우리들의 아름다운 16시간이여, 안녕
이는 그룹 에이트의 발전이기도 하다. 그룹 에이트는 MBC <궁>, KBS <꽃보다 남자>등으로 순정만화를 드라마화 했고, 그것은 자신이 살던 세계와 다른 곳에 간 소녀의 이야기이기도 했다. 그러나 <궁>의 완성도는 황인뢰 감독 특유의 영상미가 중요한 역할을 했고, <꽃보다 남자>는 송병준 대표 스스로가 인정한 실패작이었다. 반면 <탐나는도다>는 황인뢰 감독 없이 기존의 다른 드라마와는 다른 영상들을 만들어냈다.
ADVERTISEMENT
글. 강명석 (two@10asia.co.kr)
편집. 이지혜 (seven@10asia.co.kr)
ADVERTISEMENT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