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더걸스는 최근 미국 시장 진출을 위해 활발한 프로모션 중이다. 그들은 아이돌 스타 조나스 브라더스의 순회공연에 서고, 미국 방송사의 토크쇼에도 출연했다. 유튜브에는 원더걸스의 미국 활동 동영상이 수시로 올라가고, 그들의 트위터에는 그들의 일상이 실시간으로 올라간다. 물론, 이것들이 원더걸스의 미국 내 인기를 보장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원더걸스의 모든 미국 활동은 일관성을 가지고 꾸준히 미국 메이저 시장을 향해 접근하고 있었다. L.A.로 간 <10 아시아>가 원더걸스의 미국 진출에 대한 전망과 미국에서 취재한 그들의 현재, 그리고 불가능할 것 같았던 미국 진출을 조금씩 현실로 만드는 그들의 전략에 대해 담아왔다.박진영은 요즘 ‘떡고’다. 원더걸스와 미국에서 함께 지내는 그가 길에서 떡을 먹는 모습이 인터넷에 공개 돼 ‘떡 먹는 고릴라’가 된 것이다. 물론 그가 떡만 먹고 살지는 않는다. 그는 미국에서 2PM의 새 싱글도 작곡했다. 다만 그는 그 사실을 트위터에 먼저 알렸을 뿐이다. JYP엔터테인먼트(이하 JYP)의 직원들도 트위터를 보고야 이 사실을 알았다. 미국에서 떡 먹는 모습이나 찍히고, 신곡 제작 사실을 직원들에게 알리지도 않는다. 요즘 박진영이 원더걸스 때문에 정신을 놓은 걸까? 하지만, 지난 8일 L.A.의 원더걸스 팬 사인회에 참가한 10대 소녀 에이미는 원더걸스를 어떻게 알았냐는 질문에 한 마디로 답했다. “트위터!” 트위터와 유튜브는 원더걸스의 힘
박진영이 미국에서 올린 사진으로 한국에서 ‘떡고’가 되는 시대. 이 새로운 풍경은 원더걸스가 미국 팝 주류 시장에 접근할 수 있는 실마리다. 원더걸스는 지난 6월부터 미국의 아이돌 스타 조나스 브라더스의 전미 순회공연에 참여했다. 그 사이 L.A.의 일부 10대들은 원더걸스가 L.A.에 오기 전부터 그들을 알게 됐다. 그들은 조나스 브라더스의 인터넷 팬 커뮤니티를 통해 원더걸스를 알고, 유튜브와 트위터를 통해 원더걸스의 순회공연에 대해 접한다. 원더걸스가 순회공연 두 달여 만에 FOX TV 토크쇼 <웬디 윌리암스쇼>에 출연하고, 지난 9일에는 <틴 초이스 어워드>의 레드 카펫을 밟은 것은 인터넷 프로모션의 역할이 컸다. JYP USA의 이우석 부사장은 “박진영의 트위터는 개인의 여가 활동이기도 하지만 원더걸스를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하는 베이스 캠프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원더걸스가 미국에서 어필해야할 것은 인종보다는 세대”
원더걸스가 <틴 초이스 어워드>에 참석하고, 팬들에게 디즈니 라디오 방송에 ‘Nobody’를 신청해달라고 하는 것은 이 때문이다. <틴 초이스 어워드>와 디즈니 채널은 트위터와 유튜브를 통해 형성되는 미국 10대의 트렌드를 기존 미디어에 가장 적극적으로 드러낸다. 조나스 브라더스의 현재 인기에도 디즈니의 리얼리티 쇼가 큰 역할을 했고, 원더걸스도 디즈니 채널의 고정 프로그램 출연을 타진 중이다. 원더걸스는 미국 10대에게 가장 인기 있는 스타와 함께 순회공연을 하고, 10대들이 쉽게 접근하는 미디어에 노출되며, 그들이 가장 즐겨 보는 채널에 입성하려 한다. JYP의 정욱 대표는 “원더걸스가 미국에서 궁극적으로 어필해야할 것은 인종보다는 세대다. 미국의 10대 시장에 접근하는 것이 첫 번째 목표”라고 말했다.
ADVERTISEMENT
누구와 일하느냐가 아닌 어떻게 일하느냐의 전략
이런 미국 10대들에게 원더걸스는 “재밌는 캐치송(catch song)”을 부르고, 재밌는 춤을 추는 그룹이다. 원더걸스가 공연에서 가장 먼저 한 것 역시 ‘Nobody’의 춤을 관객들에게 가르치는 것이었고, 그들은 그룹 어너 소사이어티의 제안을 받아 ‘Nobody’ 춤을 함께 추기도 했다. 이것이 원더걸스의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홍보된 것은 물론이다. 유튜브와 트위터의 세대에게 ’Nobody‘는 쉽고 빠르게 원더걸스를 알릴 수 있는 콘텐츠다. 여기에 ‘섹시함’보다 ‘귀여움’으로 받아들여지는 미국 내 원더걸스의 이미지는 10대에게 어필하는 또 하나의 요소다. 공연 뒤 열린 원더걸스의 팬미팅에 가장 먼저 줄을 선 재미교포 데론 리는 “원더걸스는 꼭 귀여운 만화 주인공처럼 생겼다”면서 “섹시한 이미지의 여자 가수들은 너무 많다. 하지만 원더걸스는 귀엽고, 그러면서도 다이내믹한 춤을 춘다”고 말했다. 한국에서 ‘Nobody’는 남녀노소 가리지 않고 따라했다. 반면 미국에서는 노래를 부르는 가수부터 콘텐츠가 퍼지는 과정까지 철저하게 10대에게 맞춰져 있었다.
ADVERTISEMENT
글. L.A.=강명석 (two@10asia.co.kr)
편집. 이지혜 (seven@10asia.co.kr)
ADVERTISEMENT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