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PIFAN 완전정복 스케줄AM 10:32, 왜 슬픈 예감은 틀린 적이 없나 예상 시간보다 약간 늦게 도착했지만 별로 불안할 건 없었다. 송내역에 내려서 길만 건너면 바로 셔틀버스를 탈 수 있다고 했으니까, 서둘러서 36분 버스를 타면 10분 안에 도착할 수 있을 것이다. 송내역에 내려 버스 정류장이 모여 있는 쪽으로 나오자 길 건너편에 혀를 빼 문 둘리 동상이 보인다. 영화제 안내 소책자 상영장 약도에는 ‘둘리 공원’이라는 글자 옆에 바로 버스 모양이 그려져 있다. 저기다! 막 출발하려는 붉은 셔틀버스에 올랐다. 44분, ‘여기는 중동공원, 프리머스, CGV, 경기아트홀 입니다’라는 말에 내릴 준비를 했다. 이제 극장까지 뛰어가면 될 것 같다. 버스에서 내리는 내게 버스와 똑같이 붉은색 티셔츠를 입은 자원봉사자들이 반짝반짝 작은 별 율동하듯 손을 흔들며 외친다. “즐거운 PIFAN 되십시오.” 발랄한 목소리에 어쩐지 PIFAN 놀이동산이라도 온 기분이다. 아, 45분. 서둘러 CGV 건물 쪽으로 뛰어간다. 아니 그런데 대체 건물 구조가 왜 이런 걸까? 엘리베이터를 찾으려 해도 찾을 수 없어 1층을 헤맨 끝에 에스컬레이터를 탔다. 에스컬레이터마저 뒤엉켜 있어 한 층에 한 번씩 헤매다가 겨우 58분에 도착. 극장 매표소 한 쪽 옆에 마련된 PIFAN 예매처로 가서 영화 제목을 외쳤다. “<불타는 내 심장> 하나요!” 안타깝다는 듯한 표정으로 나를 바라보는 자원봉사자와 눈이 마주치자 갑자기 불안감이 엄습한다. “<불타는 내 심장>은 매진되었습니다.” …왜 슬픈 예감은 틀린 적이 없나. 울고 싶다. 2시까지 뭘 하면 좋지? 예매처 옆 의자에 멍하니 앉아 있는데, 벽에 붙어있는 상영 스케줄에 ‘매진’ 스티커를 붙이는 자원봉사자의 모습이 보여, 어차피 딱히 할 일도 없겠다 잠시 이야기를 나누었다. “의미 있는 여름방학을 위해 PIFAN 자원봉사에 지원하게 되었다”는 박미란 씨는 영화를 놓친 내 사연을 듣고 진심으로 안타까워했다. “그런 분들이 많으세요. 옆에 백화점과도 이어져 있어서, 그 쪽으로 올라오신 분들은 극장을 못 찾으셔서 늦으시는 경우가 많거든요. 상영 시간이 지나면 입장이 안 되는데, 입장을 시켜달라고 하시거나 아니면 환불을 해 달라고 하셔서 자원봉사자들과 말다툼을 하게 되는 경우가 있죠.” 아, 나만 헤매 다닌 건 아니었구나. 한 극장에서 자원봉사만 하느라 정작 영화를 못 보는 게 아쉽다며, 목요일에 폐막하고 나면 수상작이 상영되는 일요일까지 영화를 마음껏 보겠다는 친절한 자원봉사 아가씨를 뒤로 하고, 2시 영화를 예매하러 옆 극장을 향해 갔다.
오전 10:30 송내역 도착 – 11:00 CGV 영화관람 – 오후 1:00 점심식사 – 2:00 프리머스 영화관람 – 5:00 복사골 문화센터 영화관람 – 7:00 저녁식사 – 8:00 부천시청 영화관람 – 10:30 귀가
11:30, 표는 미리미리 사둡시다.
ADVERTISEMENT
PM 12:23, “우리 같은 애들이 볼 수 있는 영화는 없는 거 아니에요?”
어이쿠, 깜짝이야! 점심을 먹으러 건물 밖으로 나가려고 하는 길에서 단체 사진 촬영 중인 여고생 좀비들을 보고 깜짝 놀랐다. 아, 저게 바로 기사에서 봤던 ‘황당무개 프로젝트’구나! 피 묻은 티셔츠를 입고 서 있는 단체 좀비들을 보자, 처음으로 PIFAN다운 모습을 봤다는 생각에 영화 한 편 보지 못했는데 몰려왔던 피곤이 달아나는 것 같다. 휴대폰 카메라로 찰칵 사진을 찍고 건물을 나와 보니 날은 덥고 딱히 갈 데는 없어 그냥 가장 가까운 곳에 있는 패스트 푸드점으로 발길을 옮겼다. 세트메뉴 할인 중이니 저렴한 가격으로 먹을 수 있는 건 장점이야, 라고 생각하기에는 집 앞에서도 먹을 수 있는 음식이라 괜히 서글퍼진다. 감자튀김을 케첩에 찍어먹고 있는데 옆 테이블에서 교복을 입은 중학생들이 끊임없이 재잘거리는 소리가 들린다. 이렇게 이른 시간에 왜 학생들이 패스트 푸드점에 있는 것일까? 괜한 호기심을 못 이겨 또 말을 걸었다. “국제영화제요? 알아요. <연예가중계>에서 한다고 나오던데.” PIFAN에 대해 관심이 있냐고 묻자 <연예가중계> 이야기부터 나온다. <연예가중계> 보기 전에는 언제 시작하는지도 잘 몰랐고, 본 영화도 없다고 한다. “우리 같은 애들이 볼 수 있는 영화는 없는 거 아니에요?” 하긴, 영화관에 가도 학생이나 어린이들은 <해리포터>와 <트랜스포머>시리즈를 기다리고 있었지. 박화영, 최미리, 하수연 학생들이 3살 때부터 시작해 매해 있는 행사인데, 아직 영화를 본 적도 없다니 부천 시민도 아닌 나까지 괜히 아쉬워지는 기분이다. 어찌됐건 궁금증은 해결했다. 방학식 날이라 일찍 끝났다고 한다.
ADVERTISEMENT
판타스틱! 올해 PIFAN에서 처음 만난 영화는 멋졌다. 영화가 끝나면 이제 막 영화계에 첫 발을 내 디딘 젊은 감독들과 대화를 할 수 있는 시간까지 있다. 이게 바로 영화제의 특권이지! 관객과의 대화를 마치고 나와 셔틀버스를 타고 다음 목적지인 복사골 문화센터 앞에 도착했는데, 아직도 더위가 가시지 않았다. 더위에 녹아내릴 것처럼 온 얼굴을 찌푸린 채 서있는 내게 옆에 서 계시던 친절한 아주머니가 슬그머니 양산을 씌워주신다. 감사하다며 인사를 하고 PIFAN에서 영화를 보려고 왔다고 하자, 아주머니가 대뜸 하시는 말씀. “아이고, 우리 같은 늙은이들도 그런 거 볼 수 있으면 좋을텐데.” 지금 이 앞에 복사골 문화센터에 가면 영화를 볼 수 있다고 말씀드리자 아주머니는 “그런 걸 아무도 안 알려줘!” 하신다. 부천에 살고 있어도 송내역 근처에 오지 않으면 영화제를 하고 있는지 느낄 수 없다고. “여기서도 뭘 한대고, 시청에서도 뭘 한다는데, 그냥 뭐 한다는 것만 알지…” 말끝을 흐리는 이선옥 아주머니께 PIFAN 티켓은 일반 극장보다 3천원이나 싸니까, 남은 날들 동안 꼭 보시면 좋겠다는 말을 전하고 양산 그늘에서 나와 복사골 문화센터로 들어갔다.
PM 7:05, PIFAN이여, 신화가 되어라!
ADVERTISEMENT
PM 10:35, 난 안될 거야, 아마.
세 번째 영화는 너무도 PIFAN다운 호러무비였다. 열정적인 장르 영화의 팬들은 감독과의 대화 시간에 다양한 질문을 쏟아냈다. 다섯 번이나 연거푸 손을 들었지만 결국 질문을 하지 못한 나는 영화에 대한 감독의 퀴즈를 맞혀 포스터를 받은 것으로 만족해야만 했다. 극장 밖에서 질문을 더 해도 된다는 말에 밖에서 기다리려고 하는데 포스터와 책자에 감독의 싸인을 받으려는 관객들의 줄이 길게 늘어서 있다. 결국 돌아서야 하는 아쉬움도 잠시. 이런! 늦은 밤에 서울로 가는 심야버스티켓 사는 걸 까먹었다! 아직 11시 30분에 광화문으로 가는 PIFAN 셔틀버스가 오려면 한 시간이나 남았는데… 내가 그렇지. 어쩐지 오늘 시작부터 꼬이더라니. 그러고 보니 까먹은 게 하나 더 생각났다. 내가 생각을 해봤는데, 폐막식 날 하는 영화 <반드시 크게 들을 것>을 보려면 오늘 미리 예매를 했어야 됐던 것 같아. 근데 나는 까맣게 잊고 있었잖아. 난 안될 거야, 아마.
ADVERTISEMENT
그림. 올드독
ADVERTISEMENT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