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텐아시아=조현주 기자]
지창욱 : 엄청 긴장을 하면서 기다렸다. 막상 개봉이 다가오니까 생각보다 덤덤하다. 인터뷰나 무대인사 등 홍보는 하지만 내가 할 수 있는 건 다 끝났다는 생각이 든다. 이미 촬영이 다 끝났기 때문에 지금은 기다리는 것 밖에 없는 것 같다.
10. 작품 제안을 받고 처음에는 망설였다고 했었다.
지창욱 : 대본을 읽었을 때 내가 맡아야하는 권유라는 인물이 영화를 전체적으로 이끌고 중심을 잡아야하는데 ‘내가 잘해낼 수 있을까?’라는 두려움과 부담감이 있었다. 배우다 보니까 시나리오 속에서 개연성을 찾게 되는데, 시나리오만 봤을 때는 쉽게 찾을 수 없었다. 만화적인 포인트도 어떻게 나올지 상상이 가지 않았다. 그런데 박광현 감독님을 만나서 이 영화의 색깔을 봤다. 뚜렷한 생각이 느껴졌고, 감독님의 색깔과 시나리오가 만나면 재미있는 작업이 될 것 같았다. 믿고 갔다.
10. 지창욱이 나오는 분량이 그야말로 압도적이다.
지창욱 : 부담스러웠다. 그런 마음으로 촬영장에 갔는데 나 혼자서 만드는 작업이 아니더라. 감독님, 선배님은 물론이고 수많은 스태프들이 있었다. 이건 내 영화고, 내가 주인공이라는 부담감을 갖는 게 맞나싶었다. 감독님과 배우들을 믿고 부담도 덜어냈다.
10. 권유를 연기하면서 가장 중점을 뒀던 부분은?
지창욱 : 액션이라고 생각하실 것 같은데, 그러지는 않았다. 액션팀과 상황에 맞는 합을 짜고 훈련을 통해서 인물의 감정을 섞었다. 우리 영화는 액션만 있는 영화가 아니다. 권유의 감정을 관객들에게 어떻게 잘 전달할 수 있을지를 고민했다. 권유의 억울한 상황을 경험해보지 않았지만 상상만으로도 화가 나고 억울하고 슬프고 외로웠다. 그런데 상상했던 만큼 몸이 잘 표현이 안 될 때가 있어서 그 부분에 중점을 뒀다.
10. 그럼에도 쉽지 않은 액션을 소화했다.
지창욱 : 감정적으로 힘든 게 더 막막했다. 몸이 힘든 건 어떻게든 버티고 견뎌내면 되는데, 감정 표현이 잘 안 되거나 힘든 건 어떻게 할 수가 없었다. 막막하고 답답했다.
10. 권유가 교도소에서 고초를 겪는 장면이 인상적이었다. 힘들었을 것 같다.
지창욱 : 가장 힘이 들었던 장면이었다. 많이 맞기도 하고, 먼지도 먹었다. 체력적으로 확실히 지쳤다. 일반적인 교도소가 아니라 더욱 삭막하게 표현을 했는데, 기분이 이상했다. 감정적으로 몰아쳤는데 장소의 도움을 많이 받았다. 힘들었지만 좋아했던 공간이기도 했다. 신선했다. 교도소 입구부터 방안, 운동장 등이 신선한 충격으로 다가왔다.
10. 권유는 순식간에 흉악한 살인마로 낙인찍힌다. 만약 지창욱에게 극 속 권유 같은 일이 생기면 어떻게 행동했을 것 같은지.
지창욱 : 사실 나는 겁이 많다. 엄청 정의로운 사람은 아닌 거 같다. 물론 비겁하지도 않다. 그냥 보통의 사람이다. 촬영을 하면서 ‘내가 권유 같은 상황에 처한다면?’이라는 상상을 했다. 가늠할 수가 없었지만 권유처럼 몸을 다 내던질 수는 없을 것 같다는 생각을 했다. 나는 권유처럼 정의로운 인물에 끌리고 환호하고 응원하는 사람이다.
10. 심은경과는 어색한 사이였다고.
지창욱 : 서로 낯을 많이 가렸다. 친하지 않은 건 아니었다. 같이 홍보를 하면서 점점 더 친해지고 있다.(웃음) 관계가 점차적으로 발전을 하고 있다.
10. 극 중 지창욱을 비롯해 심은경·안재홍 등은 사회에서 소외당하고, 무시당하는 비주류로 등장한다.
지창욱 : 촬영하는 내내 먹먹함이 있었다. 나도 일반적인 사람인데, 이렇게 당할 수 있지 않을까했다. 우리 작품에 대해 비주류의 사람들이 권력을 가진 나쁜 사람들 맞서 싸우는 이야기라고 소개했는데, 생각해보니까 주류와 비주류를 어떻게 나눌 수 있을까 했다. 비주류를 만드는 이 사회가 안타까웠다. 영화 속 인물들은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평범한 사람들인데 왜 이 사람들이 당하고 있나 싶어서 화가 나기도 했다.
10. 천상병 시인의 ‘나무’를 내레이션으로 읊조렸다.
지창욱 : 감독님한테 얘기를 들었는데 본인이 좋아하는 시라고 하더라. 그 시가 주는 메시지와 영화의 메시지가 닮아서 앞뒤로 넣었다고 했다. 나는 모두가 나쁜 사람이라고 이야기했지만, 실제로 그 사람은 나쁜 사람이 아니라는 걸 뜻한다고 여겼다. 물론 답은 없다. 관객들이 영화를 보고 느껴지는 게 맞을 거다.
조현주 기자 jhjdhe@tenasia.co.kr
차세대 액션 배우라는 칭호가 아깝지 않았다. 영화 ‘조작된 도시’(감독 박광현)로 돌아오는 배우 지창욱이 그야말로 화면 속을 날아다녔다. 드라마 ‘힐러’, ‘더 케이투’ 그리고 ‘조작된 도시’까지 어느덧 지창욱과 액션은 떼래야 뗄 수 없는 관계가 됐다. 물론 그에게서 액션만 찾을 수 있는 건 아니다. 관객들의 눈을 사로잡는 근사한 비주얼의 액션과 함께 한 순간에 살인자로 몰리게 된 억울함과 절망감 그리고 그걸 이겨내기 위해 행동하는 리더로서의 모습까지, 지창욱은 첫 스크린 데뷔작을 통해 폭넓은 스펙트럼을 유감없이 발휘했다.10. ‘조작된 도시’는 데뷔 후 첫 영화였다.
지창욱 : 엄청 긴장을 하면서 기다렸다. 막상 개봉이 다가오니까 생각보다 덤덤하다. 인터뷰나 무대인사 등 홍보는 하지만 내가 할 수 있는 건 다 끝났다는 생각이 든다. 이미 촬영이 다 끝났기 때문에 지금은 기다리는 것 밖에 없는 것 같다.
10. 작품 제안을 받고 처음에는 망설였다고 했었다.
지창욱 : 대본을 읽었을 때 내가 맡아야하는 권유라는 인물이 영화를 전체적으로 이끌고 중심을 잡아야하는데 ‘내가 잘해낼 수 있을까?’라는 두려움과 부담감이 있었다. 배우다 보니까 시나리오 속에서 개연성을 찾게 되는데, 시나리오만 봤을 때는 쉽게 찾을 수 없었다. 만화적인 포인트도 어떻게 나올지 상상이 가지 않았다. 그런데 박광현 감독님을 만나서 이 영화의 색깔을 봤다. 뚜렷한 생각이 느껴졌고, 감독님의 색깔과 시나리오가 만나면 재미있는 작업이 될 것 같았다. 믿고 갔다.
10. 지창욱이 나오는 분량이 그야말로 압도적이다.
지창욱 : 부담스러웠다. 그런 마음으로 촬영장에 갔는데 나 혼자서 만드는 작업이 아니더라. 감독님, 선배님은 물론이고 수많은 스태프들이 있었다. 이건 내 영화고, 내가 주인공이라는 부담감을 갖는 게 맞나싶었다. 감독님과 배우들을 믿고 부담도 덜어냈다.
지창욱 : 액션이라고 생각하실 것 같은데, 그러지는 않았다. 액션팀과 상황에 맞는 합을 짜고 훈련을 통해서 인물의 감정을 섞었다. 우리 영화는 액션만 있는 영화가 아니다. 권유의 감정을 관객들에게 어떻게 잘 전달할 수 있을지를 고민했다. 권유의 억울한 상황을 경험해보지 않았지만 상상만으로도 화가 나고 억울하고 슬프고 외로웠다. 그런데 상상했던 만큼 몸이 잘 표현이 안 될 때가 있어서 그 부분에 중점을 뒀다.
10. 그럼에도 쉽지 않은 액션을 소화했다.
지창욱 : 감정적으로 힘든 게 더 막막했다. 몸이 힘든 건 어떻게든 버티고 견뎌내면 되는데, 감정 표현이 잘 안 되거나 힘든 건 어떻게 할 수가 없었다. 막막하고 답답했다.
10. 권유가 교도소에서 고초를 겪는 장면이 인상적이었다. 힘들었을 것 같다.
지창욱 : 가장 힘이 들었던 장면이었다. 많이 맞기도 하고, 먼지도 먹었다. 체력적으로 확실히 지쳤다. 일반적인 교도소가 아니라 더욱 삭막하게 표현을 했는데, 기분이 이상했다. 감정적으로 몰아쳤는데 장소의 도움을 많이 받았다. 힘들었지만 좋아했던 공간이기도 했다. 신선했다. 교도소 입구부터 방안, 운동장 등이 신선한 충격으로 다가왔다.
지창욱 : 사실 나는 겁이 많다. 엄청 정의로운 사람은 아닌 거 같다. 물론 비겁하지도 않다. 그냥 보통의 사람이다. 촬영을 하면서 ‘내가 권유 같은 상황에 처한다면?’이라는 상상을 했다. 가늠할 수가 없었지만 권유처럼 몸을 다 내던질 수는 없을 것 같다는 생각을 했다. 나는 권유처럼 정의로운 인물에 끌리고 환호하고 응원하는 사람이다.
10. 심은경과는 어색한 사이였다고.
지창욱 : 서로 낯을 많이 가렸다. 친하지 않은 건 아니었다. 같이 홍보를 하면서 점점 더 친해지고 있다.(웃음) 관계가 점차적으로 발전을 하고 있다.
10. 극 중 지창욱을 비롯해 심은경·안재홍 등은 사회에서 소외당하고, 무시당하는 비주류로 등장한다.
지창욱 : 촬영하는 내내 먹먹함이 있었다. 나도 일반적인 사람인데, 이렇게 당할 수 있지 않을까했다. 우리 작품에 대해 비주류의 사람들이 권력을 가진 나쁜 사람들 맞서 싸우는 이야기라고 소개했는데, 생각해보니까 주류와 비주류를 어떻게 나눌 수 있을까 했다. 비주류를 만드는 이 사회가 안타까웠다. 영화 속 인물들은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평범한 사람들인데 왜 이 사람들이 당하고 있나 싶어서 화가 나기도 했다.
10. 천상병 시인의 ‘나무’를 내레이션으로 읊조렸다.
지창욱 : 감독님한테 얘기를 들었는데 본인이 좋아하는 시라고 하더라. 그 시가 주는 메시지와 영화의 메시지가 닮아서 앞뒤로 넣었다고 했다. 나는 모두가 나쁜 사람이라고 이야기했지만, 실제로 그 사람은 나쁜 사람이 아니라는 걸 뜻한다고 여겼다. 물론 답은 없다. 관객들이 영화를 보고 느껴지는 게 맞을 거다.
조현주 기자 jhjdhe@tenasia.co.kr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