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텐아시아=조현주 기자]
유인영 / 사진=필라멘트픽쳐스 제공
유인영 / 사진=필라멘트픽쳐스 제공
날카로운 눈매와 바비인형을 떠올리게 하는 완벽한 몸매는 배우 유인영의 트레이드마크다. 그래서 그런지 유인영은 주로 부잣집 딸에 질투심 강한 인물을 연기했다. 영화 ‘여교사’(감독 김태용)는 그런 유인영의 이미지를 사용하지만 사뭇 다른 결을 만들어내며 ‘맑은 악역’이라는 새로운 인물을 창조했다. ‘여교사’에서 유인영이 연기하는 혜영은 이사장 딸로 정규직 교사로 바로 임명되는 금수저다. 그는 계약직 교사 효주(김하늘)를 계속해서 자극한다. 악의 없이 주변에 우월감을 내뿜으며 효주를 비극으로 이끈다. 유인영은 사랑스럽지만 파멸을 이끄는, 그간 본 적 없는 캐릭터를 제대로 그려내며 존재감을 드러냈다.

10. ‘여교사’ 선택 이유가 궁금하다. 쉬운 작품은 아니지 않았나.
유인영 : 여러 가지 이유가 있다. 내가 시나리오를 받았을 때만 해도 여자가 끌고 갈 수 있는 영화가 많이 없었다. 그런 시나리오를 받는 것만으로도 흥분됐다. 사실 그것만으로도 안할 이유는 없었다. 시나리오 자체도 큰 사건 사고 없이 술술 잘 읽혔는데, 마지막에 한 대 맞은 것 같은 느낌이었다. 전혀 예측할 수 없었던 엔딩도 좋았다. 김태용 감독님의 전작도 재미있게 봐서 해보고 싶었다.

10. ‘베테랑’ 제작사인 외유내강과 ‘여교사’로 다시 만나게 됐다.
유인영 : ‘베테랑’에서 내가 맡은 다혜는 극의 비중이 크지 않았다. 그 역할을 한다고 했을 때 외유내강 측이 굉장히 고마워해줬다. 나는 그저 류승완 감독님과 선배님들과 호흡이라도 맞춰보고 싶다는 생각으로 임했는데, 제작사에서 고마워해서 내가 더 고마웠다. 이번에도 인연이 좋게 닿았다. 함께 하게 돼서 기쁘다.

10. 유인영은 혜영이 악역이라는 것에 동의하지 못했다고.
유인영 : 끝날 때까지 악역이라는 생각을 못했다. 악역이라는 단어가 나올 것조차 생각하지 못했다. 내가 시나리오를 읽었을 때는 전혀 그런 느낌이 아니었다. 악의가 있던 게 아니라 굉장히 순수했다. 나중에 ‘맑은 악역’이라는 소개를 들었을 때 ‘왜 그런 호칭이 들어가야 하는지 모르겠다’고 이야기하기도 했다. 그런데 영화를 보고 나니까 이해가 되더라. 혜영 입장이 아니라 관객의 입장이 되니까 충분히 악역으로 비춰질수 있겠더라. 촬영을 할 때는 내 감정만 쫓아가서 정말 몰랐다.

유인영 / 사진=필라멘트픽쳐스 제공
유인영 / 사진=필라멘트픽쳐스 제공
10. 결말이 굉장히 파격적이다.
유인영 : 연기자로서 뻔하지 않은 결말이라 더 매력이 있었다. 모두들 생각지도 못한 결말이었다. 나는 만족스럽다.

10. 혜영 캐릭터에 어떻게 접근했나.
유인영 : 오히려 단순했다. 감독님이 어린 아이처럼 순수하고 악의가 없고, 모든 걸 의도하지 않는 상황에서 말하고 행동하는 걸 예쁘게 담아내고 싶다고 말했다. 처음의 모습은 일차원적으로 해맑게 보이길 원했고, 효주와의 갈등이 커지면서는 감독님과 상의를 많이 하면서 캐릭터를 구축해나갔다.

10. 효주와 갈등 기폭제인 혜영과 재하(이원근)에 대한 설명이 영화 속에서 잘 나타나지는 않았다.
유인영 : 두 사람의 관계를 나타내주는 장면이 있었는데 편집이 됐다. 개인적으로는 아쉬웠다. 그런데 영화를 보니까 그 부분이 없는 게 더 깔끔하고 군더더기 없는 것처럼 느껴졌다. 우리 영화는 친절한 영화가 아니다. 다 설명하고 보여주지 않는다. 불친절하더라도 전체적으로 봤을 때 훨씬 매끄럽게 느껴졌다.

10. 도도하고 도시적인 이미지였는데 영화 속에서는 귀엽고 사랑스러운 면모도 많이 드러낸다.
유인영 : 나도 나의 그런 모습을 봐서 신기했고, 또 좋았다.(웃음) 초반의 혜영 같은 경우는 내 평상시 모습을 가져오려고 했다. 내가 친한 사람들에게 하는 진짜 행동들을 혜영에게 넣으려고 했다. 자연스럽게 내 모습이 많이 묻어나왔다. 여태껏 보여주지 못한 모습들이 많이 나왔을 것이다.

유인영 / 사진=필라멘트픽쳐스 제공
유인영 / 사진=필라멘트픽쳐스 제공
10. 김태용 감독은 1987년생으로 배우들보다 나이가 어렸다. 나이에서 오는 오는 사소한 갈등이나 의견이 맞지 않는 부분들이 있었는지.
유인영 : 감독님이 시나리오를 썼고 누구보다 캐릭터를 잘 알고 있는 사람이다. 이해가 되지 않은 부분은 감독님에게 물어봤고, 이해시켜줬다. 내가 생각하지 못한 부분은 감독님에게, 또 감독님이 생각하지 못한 여자의 심리는 내가 이야기를 하면서 작업을 했다. 사실 어리긴 해도 한 영화를 끌고 가는 수장이기 때문에 믿고 갔다. 나이가 어린 건 문제가 되지 않았다.

10. ‘여교사’의 매력을 꼽아 달라.
유인영 : 꼬리에 꼬리를 물고 계속 질문이 나오는 재미가 있다. 제목이나 소재 때문에 우리 영화를 뾰족하게 보시는 분들도 많은데, 영화를 보고 나오면 계속 토론을 하게 된다. 영화를 본 뒤 실망하는 분들도 있을 수 있지만 재미있게 얘기할 수 있는 부분이 많이 있을 것이다.

조현주 기자 jhjdhe@tenasia.co.kr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