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텐아시아=김하진 기자]
받아들일 준비도 없이 시작된 갑작스러운 만남이지만, 빠져드는 시간은 오래 걸리지 않는다. 15년 전을 이야기하는 두 남녀의 대화에 집중하다 보면, 어느새 고개를 끄덕이는 나를 발견한다. 연극 ‘블랙버드'(연출 문삼화)는 갇힌 공간을 통해 상황의 갑갑함, 혹은 멈춰버린 그때 그 기억을 상기시킨다.
배경은 콘테이너박스. 15년 전 마흔이었던 레이(조재현)는 어느새 흰머리의 중년이 됐고, 당시 12살이었던 우나(옥자연, 채수빈)는 20대 중반의 여성으로 성장했다. 두 사람이 다시 만나 과거의 기억을 더듬는데, 서로의 입장만 늘어놓는다. 어딘가 괴기스럽고, 과격하면서 또 어처구니가 없기도 하다.
둘의 대화는 움직임 없는 하나의 공간에서 이뤄지지만, 대화의 시공간은 현재와 과거를 마구 넘나들어 자연히 귀를 기울이게 만든다. 도대체 두 사람 사이에 어떤 일이 있었는지, 저절로 15년 전이 떠오른다.
원 캐스트로 나선 조재현의 눈빛은 어딘가 애처롭다. 과거 자신의 처절했던 심정을 온몸으로 설명하며 ‘이해’를 구하지만, 우나의 방어도 만만치 않다. 15년을 타인의 눈빛에 갇혀 살았던 그는 레이의 눈빛 따위 읽을 여유가 없다.
90분간의 두 남녀의 대화는 편집 없는 리얼 다큐멘터리처럼 느껴지고, 둘의 감정 충돌을 숨죽이며 바라볼 수밖에 없다.
옥자연의 우나는 강하다. 15년을 절저히 고립된 채 살았다는 것이 고스란히 전해지며, 대사 하나하나에 슬픔과 분노를 눌러 담았다. 채수빈의 우나는 가련하다. 또 환하게 웃는 미소에서는 15년 전 소녀와 같은 천진함이 묻어있다. 각기 다른 우나가 조재현의 레이를 만나 비로소 빛을 발한다.
분명 흐름은 불친절하게 이어지나, 극은 깊은 메시지를 녹여냈다. 가해자로 수감생활을 마친 이들이 사회로 나왔을 때, 그리고 피해자로 그 긴 세월을 보낸 이들의 울부짖음, 우리는 결코 간과해선 안 된다.
레이와 우나의 엇갈린 기억 속 감정 충돌에 끝은 없다. 실타래는 풀릴 듯 말듯하여, 모든 건 관객의 몫이다. 그리고 극이 저 깊숙한 곳에 숨겨둔 메시지 역시 모두 우리의 몫이다.
오는 11월 20일까지 서울 대학로 DCF대명문화공장 1관 비발디파크홀에서 공연된다.
김하진 기자 hahahajin@tenasia.co.kr
배경은 콘테이너박스. 15년 전 마흔이었던 레이(조재현)는 어느새 흰머리의 중년이 됐고, 당시 12살이었던 우나(옥자연, 채수빈)는 20대 중반의 여성으로 성장했다. 두 사람이 다시 만나 과거의 기억을 더듬는데, 서로의 입장만 늘어놓는다. 어딘가 괴기스럽고, 과격하면서 또 어처구니가 없기도 하다.
둘의 대화는 움직임 없는 하나의 공간에서 이뤄지지만, 대화의 시공간은 현재와 과거를 마구 넘나들어 자연히 귀를 기울이게 만든다. 도대체 두 사람 사이에 어떤 일이 있었는지, 저절로 15년 전이 떠오른다.
90분간의 두 남녀의 대화는 편집 없는 리얼 다큐멘터리처럼 느껴지고, 둘의 감정 충돌을 숨죽이며 바라볼 수밖에 없다.
옥자연의 우나는 강하다. 15년을 절저히 고립된 채 살았다는 것이 고스란히 전해지며, 대사 하나하나에 슬픔과 분노를 눌러 담았다. 채수빈의 우나는 가련하다. 또 환하게 웃는 미소에서는 15년 전 소녀와 같은 천진함이 묻어있다. 각기 다른 우나가 조재현의 레이를 만나 비로소 빛을 발한다.
분명 흐름은 불친절하게 이어지나, 극은 깊은 메시지를 녹여냈다. 가해자로 수감생활을 마친 이들이 사회로 나왔을 때, 그리고 피해자로 그 긴 세월을 보낸 이들의 울부짖음, 우리는 결코 간과해선 안 된다.
레이와 우나의 엇갈린 기억 속 감정 충돌에 끝은 없다. 실타래는 풀릴 듯 말듯하여, 모든 건 관객의 몫이다. 그리고 극이 저 깊숙한 곳에 숨겨둔 메시지 역시 모두 우리의 몫이다.
오는 11월 20일까지 서울 대학로 DCF대명문화공장 1관 비발디파크홀에서 공연된다.
김하진 기자 hahahajin@tenasia.co.kr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